{"title":"儿童共情和心理理论对音乐能力的影响","authors":"Jae-Eun Jung","doi":"10.21183/kjcm.2023.09.22.3.17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그리고 음악적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총 284명으로 평균월령은 55.7개월이었다. 연구자료는 ‘공감능력 검사도구’, ‘마음이론 검사도구’, 그리고 ‘음악적성검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들이 일대일로 연구대상 유아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행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음악적 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이론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이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 별로 분석한 결과 마음이론의 하위요인인 이차틀린믿음이 음악적 능력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의 행복과 분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사회정서적 관점에서의 이해와 더불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s of children’s empathy and theory of mind on musical ability\",\"authors\":\"Jae-Eun Jung\",\"doi\":\"10.21183/kjcm.2023.09.22.3.17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그리고 음악적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총 284명으로 평균월령은 55.7개월이었다. 연구자료는 ‘공감능력 검사도구’, ‘마음이론 검사도구’, 그리고 ‘음악적성검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들이 일대일로 연구대상 유아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행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음악적 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이론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이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 별로 분석한 결과 마음이론의 하위요인인 이차틀린믿음이 음악적 능력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의 행복과 분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사회정서적 관점에서의 이해와 더불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7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7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s of children’s empathy and theory of mind on musical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그리고 음악적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총 284명으로 평균월령은 55.7개월이었다. 연구자료는 ‘공감능력 검사도구’, ‘마음이론 검사도구’, 그리고 ‘음악적성검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들이 일대일로 연구대상 유아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행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음악적 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이론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이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 별로 분석한 결과 마음이론의 하위요인인 이차틀린믿음이 음악적 능력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의 행복과 분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사회정서적 관점에서의 이해와 더불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