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selection factors and need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parents of 3-year-old infants: Focusing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itle":"Exploring the selection factors and need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parents of 3-year-old infants: Focusing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authors":"So Jung Lee, Yoon Hee Seo","doi":"10.21183/kjcm.2023.06.22.2.4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만 3세 유아 학부모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선택 요인과 요구에 대한 인식구조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충청권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유아 학부모 400명(유치원: 200명, 어린이집: 200명)이며, 개방형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처리와 분석을 위해 NetMiner 4를 활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응집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관 선택 요인을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거리’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중심성에서는 공통적으로 ‘교사’, ‘거리’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위세중심성에서는 유치원은 ‘교사’, 어린이집은 ‘거리’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등하원 편의’, ‘교사 및 조직풍토’, ‘다양한 교육 경험’이 나타났고, 유치원은 ‘주변 사람들의 평판’, 어린이집은 ‘돌봄 운영 관리’가 나타났다. 둘째, 기관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만족’, ‘활동’, ‘교사’, ‘교육’, ‘체험’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 위세중심성에서 공통적으로 ‘활동’과 ‘교육’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은 ‘친구’,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키워드가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결과 공통적으로 ‘다양한 교육 경험’, ‘학급당 유아 및 교사 수’, ‘등하원 편의’가 나타났고, 유치원에는 ‘특별활동’,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방지’가 나타났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7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6.22.2.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만 3세 유아 학부모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선택 요인과 요구에 대한 인식구조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충청권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유아 학부모 400명(유치원: 200명, 어린이집: 200명)이며, 개방형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처리와 분석을 위해 NetMiner 4를 활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응집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관 선택 요인을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거리’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중심성에서는 공통적으로 ‘교사’, ‘거리’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위세중심성에서는 유치원은 ‘교사’, 어린이집은 ‘거리’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등하원 편의’, ‘교사 및 조직풍토’, ‘다양한 교육 경험’이 나타났고, 유치원은 ‘주변 사람들의 평판’, 어린이집은 ‘돌봄 운영 관리’가 나타났다. 둘째, 기관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핵심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공통적으로 ‘만족’, ‘활동’, ‘교사’, ‘교육’, ‘체험’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 매개, 위세중심성에서 공통적으로 ‘활동’과 ‘교육’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은 ‘친구’,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키워드가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결과 공통적으로 ‘다양한 교육 경험’, ‘학급당 유아 및 교사 수’, ‘등하원 편의’가 나타났고, 유치원에는 ‘특별활동’, 어린이집은 ‘아동학대 방지’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