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authors":"Se-Hyeon Bang, Hyun Seo","doi":"10.21183/kjcm.2023.09.22.3.5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의 학급담임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 211명과 유아 211명이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 친사회적행동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9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의 학급담임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 211명과 유아 211명이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 친사회적행동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