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职前幼儿教师教育项目“游戏引导”教材分析——以2019年以来出版的教材为例","authors":"Joo-Hye Lee, Nak-Heung Kim","doi":"10.21183/kjcm.2023.09.22.3.15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중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이 적용된 교재를 분석하여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재 16권을 대상으로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교재의 내용을 분류하고 내용별 구성 비율을 알아보았다. 각 교재는 다양한 체계와 형식으로 놀이사례가 기술되어 있었고 2019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기조에 근거하여 놀이지원 방법과 교사의 역할을 서술하였으며, 자유선택활동 관련 내용의 비중은 교육과정 개정 전의 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주제별 내용 구성비율은 ‘놀이지원의 실제’, ‘놀이지원 및 교사역할’, ‘놀이발달’, ‘놀이에 대한 이해’, ‘놀이와 교육’ 순이었다. 이를 토대로 ‘놀이지도’ 교재의 집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9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alysis of the textbooks of ‘play guidanc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extbooks published since 2019\",\"authors\":\"Joo-Hye Lee, Nak-Heung Kim\",\"doi\":\"10.21183/kjcm.2023.09.22.3.15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중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이 적용된 교재를 분석하여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재 16권을 대상으로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교재의 내용을 분류하고 내용별 구성 비율을 알아보았다. 각 교재는 다양한 체계와 형식으로 놀이사례가 기술되어 있었고 2019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기조에 근거하여 놀이지원 방법과 교사의 역할을 서술하였으며, 자유선택활동 관련 내용의 비중은 교육과정 개정 전의 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주제별 내용 구성비율은 ‘놀이지원의 실제’, ‘놀이지원 및 교사역할’, ‘놀이발달’, ‘놀이에 대한 이해’, ‘놀이와 교육’ 순이었다. 이를 토대로 ‘놀이지도’ 교재의 집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9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play guidanc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extbooks published since 2019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중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이 적용된 교재를 분석하여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재 16권을 대상으로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교재의 내용을 분류하고 내용별 구성 비율을 알아보았다. 각 교재는 다양한 체계와 형식으로 놀이사례가 기술되어 있었고 2019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기조에 근거하여 놀이지원 방법과 교사의 역할을 서술하였으며, 자유선택활동 관련 내용의 비중은 교육과정 개정 전의 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주제별 내용 구성비율은 ‘놀이지원의 실제’, ‘놀이지원 및 교사역할’, ‘놀이발달’, ‘놀이에 대한 이해’, ‘놀이와 교육’ 순이었다. 이를 토대로 ‘놀이지도’ 교재의 집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