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lin'i mi'dieo yeon'gu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自尊对幼儿领导的影响:自我弹性的中介作用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6-30 DOI: 10.21183/kjcm.2023.06.22.2.25
Seung-Ri Oh, Hyun Seo
{"title":"The effects of self-esteem on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authors":"Seung-Ri Oh, Hyun Seo","doi":"10.21183/kjcm.2023.06.22.2.25","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6.22.2.2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 217명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황해익과 제희선(2016)이 개발한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채호와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ebuffe와 Naglieri(1999)가 개발한 The Devereux Early Child hood Assessment(DECA)를 구희정(2010)이 번안한 것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자아탄력성 및 유아 리더십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리더십 관게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13678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of concept mapp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 of teacher 幼儿教师对教师角色认知的概念映射分析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6-30 DOI: 10.21183/jcme.2023.06.22.2.79
Woo Soo Choi, Young Sil Sung
{"title":"Analysis of concept mapp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 of teacher","authors":"Woo Soo Choi, Young Sil Sung","doi":"10.21183/jcme.2023.06.22.2.79","DOIUrl":"https://doi.org/10.21183/jcme.2023.06.22.2.79","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역할에 대해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1명의 유아교육현장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브레인스토밍을 이용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초점 질문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진술하였으며, 진술문에 대한 유목화와 중요도 평정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자료는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46개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고,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놀이 지원하기-건강 및 안전관리하기’, ‘유아와의 놀이-부모와의 소통’ 2개 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진술문을 ‘전문성 함양하기’, ‘행정업무 수행하기’, ‘학부모와 상호작용하기’, ‘놀이 지원하기’, ‘기관 및 학급 운영하기’, ‘유아의 삶 지원하기’, ‘건강 및 안전 관리하기’, ‘교육 및 지도하기’, ‘유아 관찰 및 평가하기’ 등 9개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46개 진술문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군집별로는 ‘놀이 지원하기’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행정업무 수행하기’는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진술문별 중요도에서는 ‘유아와 상호작용하기’, ‘유아의 놀이 지원하기’ 등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기관평가 준비하기’, ‘교실 청소하기’ 등은 낮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역할이해와 역량개발, 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13697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with 3 to 5-year-old children 3 ~ 5岁幼儿教师与母亲的游戏信念研究
Eo'lin'i mi'dieo yeon'gu Pub Date : 2023-06-30 DOI: 10.21183/kjcm.2023.06.22.2.1
Jia Yi, Kyung Eun Jahng
{"title":"A study on the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with 3 to 5-year-old children","authors":"Jia Yi, Kyung Eun Jahng","doi":"10.21183/kjcm.2023.06.22.2.1","DOIUrl":"https://doi.org/10.21183/kjcm.2023.06.22.2.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교사와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어머니와 교사 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반 교사 123명과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42명이다. 교사와 어머니의 자기보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반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에서 유치원 교사의 놀이신념이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다. 둘째,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놀이신념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놀이신념을 보였다. 셋째, 유아반 교사와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교사의 놀이신념이 어머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놀이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놀이의 실행력을 확장하기 위한 기초 틀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1369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