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with 3 to 5-year-old children","authors":"Jia Yi, Kyung Eun Jahng","doi":"10.21183/kjcm.2023.06.22.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교사와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어머니와 교사 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반 교사 123명과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42명이다. 교사와 어머니의 자기보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반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에서 유치원 교사의 놀이신념이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다. 둘째,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놀이신념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놀이신념을 보였다. 셋째, 유아반 교사와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교사의 놀이신념이 어머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놀이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놀이의 실행력을 확장하기 위한 기초 틀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6.22.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와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어머니와 교사 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반 교사 123명과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42명이다. 교사와 어머니의 자기보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반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에서 유치원 교사의 놀이신념이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다. 둘째,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놀이신념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놀이신념을 보였다. 셋째, 유아반 교사와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교사의 놀이신념이 어머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놀이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놀이의 실행력을 확장하기 위한 기초 틀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