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自尊对幼儿领导的影响:自我弹性的中介作用","authors":"Seung-Ri Oh, Hyun Seo","doi":"10.21183/kjcm.2023.06.22.2.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 217명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황해익과 제희선(2016)이 개발한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채호와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ebuffe와 Naglieri(1999)가 개발한 The Devereux Early Child hood Assessment(DECA)를 구희정(2010)이 번안한 것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자아탄력성 및 유아 리더십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리더십 관게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s of self-esteem on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authors\":\"Seung-Ri Oh, Hyun Seo\",\"doi\":\"10.21183/kjcm.2023.06.22.2.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 217명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황해익과 제희선(2016)이 개발한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채호와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ebuffe와 Naglieri(1999)가 개발한 The Devereux Early Child hood Assessment(DECA)를 구희정(2010)이 번안한 것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자아탄력성 및 유아 리더십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리더십 관게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6.22.2.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6.22.2.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的目的是在幼儿的自我尊重感对幼儿领导能力的影响中,观察幼儿自我弹性的媒介效果。研究对象是在G地区幼儿教育机关财源的3 ~ 5岁的217名幼儿。为了测定幼儿的自我尊重感,使用了黄海益和齐熙善(2016)开发的幼儿自我尊重感尺度。为了了解幼儿的自我调节能力,使用了李采浩和崔仁洙(2008)开发的“教师幼儿领导能力评价尺度”。为了测定幼儿的自我弹性,研究工具使用了由Lebuffe和Naglieri(1999)开发的The Devereux Early Child hood Assessment(DECA)。收集的问卷数据进行了Pearson的乘积关系分析、Baron和Kenny提出的回归分析和Sobel ' s Test。本研究的结果如下。第一,幼儿的自我尊重感和幼儿自我弹性及幼儿领导能力整体上具有静态关系。第二,在幼儿的自我尊重感和幼儿领导能力观上,幼儿自我弹性的媒介效果作为部分媒介变数具有显著的效果。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 217명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황해익과 제희선(2016)이 개발한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채호와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ebuffe와 Naglieri(1999)가 개발한 The Devereux Early Child hood Assessment(DECA)를 구희정(2010)이 번안한 것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자아탄력성 및 유아 리더십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 리더십 관게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