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职前幼儿教师过去行为频率、未来时间观和气候变化知识对应对气候变化行为意愿的影响","authors":"Keum-Ho Shin","doi":"10.21183/kjcm.2023.09.22.3.1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0일까지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는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on behavioral inten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authors\":\"Keum-Ho Shin\",\"doi\":\"10.21183/kjcm.2023.09.22.3.1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0일까지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는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PeriodicalId\":491581,\"journal\":{\"name\":\"Eo'lin'i mi'dieo yeon'gu\",\"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lin'i mi'dieo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3/kjcm.2023.09.22.3.1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on behavioral inten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0일까지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는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