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ffects of Teachers\" Motivating Style on th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authors":"Chang-Ha Im, Yong-Gwan Song","doi":"10.47684/jcd.2023.09.25.5.95","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95","url":null,"abstract":"이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사회-정서적 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P시 소재 중학교 2곳과 고등학교 1곳에서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187명)과 고등학생(1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느끼는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 만족과 좌절 그리고 사회적/정서적 행동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기술, 신뢰도, 타당도, 상관 및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과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통제적 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체육교사의 통제적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경험하게 하고, 자율성지지 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 경험을 감소 및 예방하는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정적으로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자율성지지를 통한 체육교사의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발달하는데 실제적이고 중요한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체육교육 현장에 시사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17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Range of Motion and Myofunc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authors":"Han-Su Cho, Myung-Rang Lee, Won-Moon Kim","doi":"10.47684/jcd.2023.09.25.5.196","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96","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목뼈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 그리고 근 기능(myofunction)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은 40대 여성 24명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집단(SSG, n=12)과 전통적 재활운동 집단(TRG, n=12)으로 배정하였다. 중재 적용 전 검사로는 경부장애지수와 관절가동범위(굽힘, 폄, 돌림, 측굴), 근 기능(굽힘, 폄)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집단에 대해 60분씩, 주 3회, 8주간의 중재 적용 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재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시기, 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 결과 TRG에 비해 SSG에서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근 기능 개선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18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Effect of Feedback by Vibration Sensor on Flexion and Muscle Activity of the Knee Joint during Squat Movement","authors":"Sung-Kyun Choi, Woo-Kwang Cheon, Ji-Dong Tian, Myung-Soo Choi","doi":"10.47684/jcd.2023.09.25.5.223","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23","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동작 수행에 따른 진동센서의 피드백이 슬관절의 굴곡과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즉,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운동프로그램의 유효성과 타당성이 제시된다면 이는 이후 임상에서의 적용 시 대상에게 언어, 시각적 피드백과 진동을 이용한 운동 중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스쿼트 동작의 숙련 정도가 없는 일반인 8명과 경험이 있는 8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고, 2022년 12월 12일부터 23일까지 총 2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진동센서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하는 무선 웨어러블 센서(wireless wearable sensor)로 6축기반(가속도 및 자이로)의 IMU센서, 심박측정이 가능한 PPG센서 및 진동소자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교정을 유도하는 장치로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그룹 내 진동센서를 착용 전·후의 근활성도(전경골근, 비복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을 측정하고 고정된 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슬관절의 각도를 비교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실험 결과 진동센서의 착용 전·후 각 군의 슬관절의 변화를 그룹 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스쿼트 동작의 경험유무와 성별 등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동센서의 착용 후 그룹이 슬관절의 굴곡의 변화가 착용 전 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위 결과들을 통해 비숙련자는 스쿼트 동작 시 진동센서에 의한 자극이 고관절 내회전과 슬관절 굽힘 움직임이 더 크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 운동 올바른 동작 지도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1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ype on IGF-1, HOMA Index and PTH in Obese Elderly Women","authors":"Chan-Yang Kim, Woo-Young Park","doi":"10.47684/jcd.2023.09.25.5.205","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05","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IGF-1, 인슐린 저항성, β-세포 기능 및 P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운동 집단은 유산소 운동(n=10), 저항 운동(n=10),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집단 별 동일 시점에서 시작해 일 60분씩 주 3일,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동일 기간 주 3회 미만의 가벼운 걷기 외 격렬한 운동은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골격근량은 저항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체지방률은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유산소 운동(p.01)과 저항 운동(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1),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TH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은 비만 노인여성의 체지방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 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향상과 인슐린 저항성 감소 및 PTH 감소 효과를 통해 노인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5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Effects of Sports Event and Isokinetic Knee Strength Levels on Isokinetic Joint Angles at Peak Torque in the K Area Athletes","authors":"Jong-Baek Lee, Kyu-Min Park","doi":"10.47684/jcd.2023.09.25.5.141","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4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 중 최대토크각와 종목, 근력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선수들의 훈련과 재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K지역 13개의 운동종목 총 134명의 남자 일반(38명), 대학부(60명), 고등부(34명)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과 함께 등속성 무릎근력과 근파워의 최대토크각을 평가하였다. 최대토크각은 종목과 근력수준별 상호작용, 근력과 근파워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운동종목과 근력수준은 등속성 무릎 최대토크각과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운동종목은 좌·우측 굽힘근과 폄근의 최대 토크각과(p.05), 근력수준은 우측 굽힘근의 최대토크각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좌·우측 등속성 굽힘근 최대근력토크각과 최대파워토크각은 등속성 굽힘근(p.001)과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측 굽힘근 최대파워토크각의 경우 우측 굽힘근 근파워(p.01), 좌측 폄근 최대근력토크각은 좌측 근력과 근파워 모두와(p.05)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목과 근력수준이 최대토크각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선수들의 종목특성에 따른 등속성 근력 평가에 있어서 최대토크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훈련평가와 부상 후 재활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8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alysis of the Parallel Bars Performances of the 2023 Junior Gymnasts","authors":"Yong-Jae Hwang","doi":"10.47684/jcd.2023.09.25.5.180","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80","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미래의 국가대표로 발돋움할 수 있는 주니어 대표선수들의 남자체조 평행봉 종목의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EG, Dscore, Escore, 난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D난도를 기반으로 하는 E난도의 수행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되고, Dscore가 낮으면 상위권으로 올라서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며, 시니어에서는 고난도를 습득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EGⅠ은 상위기술로 변형이 가능한 기술들로 기초를 만들고, 특히, Diamidov는 EGⅡ, EGⅢ의 고난도 기술에서도 신체의 회전이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선수들이 습득해야 할 기초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EGⅡ는 주니어부터 상위 난도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을 설정하여 연습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EGⅢ는 C난도 Giant swing bwd. to hdst가 기초동작으로 Giant swg. bwd with Diamidov to hdst를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Dscore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것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D난도의 Tippelt, E난도 Bhavsar는 수행 동작이 동일하다. 꾸준한 연습으로 E난도까지 수행 가능한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다섯째, 평행봉 종목의 마지막 동작인 EGⅣ에서 D난도 이상의 정확하고 완벽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고, 선수들이 가장 선호하는 내리기 동작인 D난도의 Double salto bwd. p를 완벽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내리기 동작에서는 고난도의 수행으로 0.1점의 상승보다는 완벽한 착지가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1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0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Fitness Factors According to Competition Levels in Female Long-distance Cycling Athletes for the National Junior Team","authors":"Ki-Rak Choi","doi":"10.47684/jcd.2023.09.25.5.189","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8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사이클 국가대표 후보 여자 중장거리 선수들을 대상으로 전국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들과 비메달 선수들과의 신체구성, 최대근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근기능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한자전거연맹의 선발규정에 따라 국내 및 국제대회에서 획득한 메달을 점수화하여 선발된 여자 중장거리 선수 10명으로, 제 100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입상을 한 메달 그룹(n=5)과 입상을 하지 못한 비메달 그룹(n=5)으로 구분하였다. 사이클 경기력 관련 체력요인으로는 신체구성, 최대근력, 무산소성 윈게이트 검사와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신체구성에서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모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달 그룹이 비메달 그룹에 비해 골격근량이 높고, 체지방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근력,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그리고 60°/sec와 180°/sec 등속성 무릎 신전 최대근력 모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달 그룹이 비메달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여자 사이클 국가대표 후보선수들의 경기력은 근육량, 최대근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무릎 근기능 등 체력적 측면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높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최고 수준의 경기력을 가진 여자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1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tudy on Technological Change Scores of TKD Kyorugi Athletes afte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Protectors","authors":"Se-Jin Kim, Kwang-Keun Choi","doi":"10.47684/jcd.2023.09.25.5.115","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15","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태권도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른 점수 및 경기규칙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호구와 초기 태권도 경기에 사용되었던 호구를 통해 태권도가 추구하는 점수와 경기규칙의 변화, 초기 태권도 시합에 사용된 호구와 이후 발전된 호구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시대적 배경을 주로 기술하였다. 대한태권도협회에서 발간한 태권도 경기규칙을 바탕으로 태권도의 역사와 철학, 태권도 주요 대회와 관련된 문헌 및 각종 단행본을 고찰하였다. 또한 심층 면담을 통해 시대의 호구를 변화시킨다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경기에 있어서 몸통보호구의 변화는 태권도 경기기술의 발전과 국내·외 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태권도 선수보호를 통하여 올림픽에 시범종목과 정식종목으로 인정받아 명실공이 세계적인 무도스포츠로 성장한 쾌거를 이루어 내었다. 하지만 태권도 경기에서 호구 착용으로 인한 태권도의 가장 근본적인 본질인 무도적 성향이 많이 퇴색되었다. 특히 태권도 호구착용으로 인한 경기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는 있었으나 득점에 관한 사항이 타력감에 의존하다 보니 심판 판정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의문제기와 더불어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태권도 경기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한 전자호구 제도 도입으로 이에 대한 보완은 되었으나 태권도 경기내용면의 퇴색을 불러왔다. 특히 태권도 전자호구 제도 도입으로 기존의 화려한 기술이 많이 퇴보 되었으며 전자호구 자체의 오작동 내지는 무거운 무게로 인한 경기의 질적인 면이 떨어지는 효과를 불러왔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 기술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4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Influence of Change in Movement Type on Head Posture and Shoulder Posture for Turtle Neck Syndrome Patients","authors":"Won-Ho Choi, Won Shin","doi":"10.47684/jcd.2023.09.25.5.238","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38","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거북목 환자에 대해 기능적 운동 형태 2가지운동(신체운동, 밴드운동)를 적용하여 머리자세위치(CVA)와 어깨자세(SSP)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하였다. 피험자는 사무직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별 무작위로 10명씩 배정하여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은 10분간 주 4회 4주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24.0(SPSS Inc, Chicago, Illino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과 집단별 전ㆍ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결과의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고 결과처리 하였다. 첫째, CAV에 대한 운동 적용에서 신체운동집단과 밴드운동집단 그룹에서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별 전-후 시기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SSP에 대한 운동 적용에서도 신체운동집단과 밴드운동집단 그룹에서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별 전-후 시기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수치변화로 밴드 운동보다는 신체 운동집단에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거북목 환자에 대한 운동적용은 신체운동과 밴드운동 모두 활용가능하며 하나의 운동이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생활환경에서 올바른 자세와 머리 목 굽힘 운동을 통해 자극을 자주 주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운동도구의 활용도 필요하지만 자신의 신체를 이용한 운동을 통해 경추 부위를 자극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목 관련 통증 환자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2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53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orrelation between Physique, Physical Strength and Ranking of Taekwondo Sparring Players","authors":"Ju-Sik Park","doi":"10.47684/jcd.2023.09.25.5.232","DOIUrl":"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32","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아메리카 M 국가의 15세 ∼ 18세, 국내 랭킹 1위 ∼ 15위의 남자 태권도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요인과 랭킹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BMI와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신장과 체중(p.05), 체중과 BMI(p.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력 요인의 경우 랭킹과 유연성 및 최대산소섭취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고관절 유연성과 장좌전굴 및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수들의 랭킹과 체질량지수와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그 외 측정 항목에서는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점을 고려해 볼 때 국가별, 선수경력, 랭킹, 체급, 성별, 연구대상자 수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