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氧和阻力运动类型对肥胖老年妇女IGF-1、HOMA指数和甲状旁腺激素的影响

Chan-Yang Kim, Woo-Young Park
{"title":"有氧和阻力运动类型对肥胖老年妇女IGF-1、HOMA指数和甲状旁腺激素的影响","authors":"Chan-Yang Kim, Woo-Young Park","doi":"10.47684/jcd.2023.09.25.5.20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IGF-1, 인슐린 저항성, β-세포 기능 및 P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운동 집단은 유산소 운동(n=10), 저항 운동(n=10),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집단 별 동일 시점에서 시작해 일 60분씩 주 3일,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동일 기간 주 3회 미만의 가벼운 걷기 외 격렬한 운동은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골격근량은 저항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체지방률은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유산소 운동(p.01)과 저항 운동(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1),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TH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은 비만 노인여성의 체지방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 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향상과 인슐린 저항성 감소 및 PTH 감소 효과를 통해 노인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ype on IGF-1, HOMA Index and PTH in Obese Elderly Women\",\"authors\":\"Chan-Yang Kim, Woo-Young Park\",\"doi\":\"10.47684/jcd.2023.09.25.5.20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IGF-1, 인슐린 저항성, β-세포 기능 및 P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운동 집단은 유산소 운동(n=10), 저항 운동(n=10),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집단 별 동일 시점에서 시작해 일 60분씩 주 3일,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동일 기간 주 3회 미만의 가벼운 걷기 외 격렬한 운동은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골격근량은 저항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체지방률은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유산소 운동(p.01)과 저항 운동(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1),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TH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은 비만 노인여성의 체지방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 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향상과 인슐린 저항성 감소 및 PTH 감소 효과를 통해 노인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项研究的目的是分析有氧运动和抵抗运动对老年肥胖女性IGF-1、胰岛素抵抗、β-细胞功能和PTH的影响。运动组被随机分配为有氧运动(n=10)、抵抗运动(n=10)、对照组(n=10),按组从同一时间开始,每天60分钟,每周3天,每周12周。对照组的情况是,在同一期间,除了每周3次以下的轻微走路外,还提议进行激烈的运动。研究结果表明,对照组体重显著增加(p.05),有氧运动组体重显著减少(p.05)。骨骼肌量在抵抗运动组中显著增加(p.01),体脂肪率在组与期的相互作用(p.001),组内差异检验结果显示,对照组显著增加(p.05),有氧运动(p.01)和抵抗运动(p.001)显著减少。IGF-1的变化在群体和时期有显著的相互作用(p.01),有氧运动(p.05)和抵抗运动(p.01)显著增加。群体间事后鉴定结果显示,在有氧运动(p.05)和抵抗运动(p.05)中,胰岛素抵抗性比对照群明显减少。PTH的变化随群体和时期的相互作用(p.01),群体内差异鉴定结果显示,有氧运动(p.05)和抵抗运动(p.01)显著减少。综合以上结果来看,有氧运动和抵抗运动肥胖女性老人不仅减少体内脂肪及骨骼肌量增加生长激素的减少提高和胰岛素抵抗性及pth减少效果通过老人的代谢性疾病及慢性疾病的防治将有效的飞跃水战略。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ype on IGF-1, HOMA Index and PTH in Obese Elderly Women
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IGF-1, 인슐린 저항성, β-세포 기능 및 P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운동 집단은 유산소 운동(n=10), 저항 운동(n=10),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집단 별 동일 시점에서 시작해 일 60분씩 주 3일,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동일 기간 주 3회 미만의 가벼운 걷기 외 격렬한 운동은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골격근량은 저항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체지방률은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유산소 운동(p.01)과 저항 운동(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1),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TH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은 비만 노인여성의 체지방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 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향상과 인슐린 저항성 감소 및 PTH 감소 효과를 통해 노인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