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有氧和阻力运动类型对肥胖老年妇女IGF-1、HOMA指数和甲状旁腺激素的影响","authors":"Chan-Yang Kim, Woo-Young Park","doi":"10.47684/jcd.2023.09.25.5.20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IGF-1, 인슐린 저항성, β-세포 기능 및 P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운동 집단은 유산소 운동(n=10), 저항 운동(n=10),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집단 별 동일 시점에서 시작해 일 60분씩 주 3일,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동일 기간 주 3회 미만의 가벼운 걷기 외 격렬한 운동은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골격근량은 저항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체지방률은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유산소 운동(p.01)과 저항 운동(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1),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TH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은 비만 노인여성의 체지방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 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향상과 인슐린 저항성 감소 및 PTH 감소 효과를 통해 노인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ype on IGF-1, HOMA Index and PTH in Obese Elderly Women\",\"authors\":\"Chan-Yang Kim, Woo-Young Park\",\"doi\":\"10.47684/jcd.2023.09.25.5.20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IGF-1, 인슐린 저항성, β-세포 기능 및 P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운동 집단은 유산소 운동(n=10), 저항 운동(n=10),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집단 별 동일 시점에서 시작해 일 60분씩 주 3일,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동일 기간 주 3회 미만의 가벼운 걷기 외 격렬한 운동은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골격근량은 저항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체지방률은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유산소 운동(p.01)과 저항 운동(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1),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TH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은 비만 노인여성의 체지방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 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향상과 인슐린 저항성 감소 및 PTH 감소 효과를 통해 노인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ype on IGF-1, HOMA Index and PTH in Obese Elderly Women
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IGF-1, 인슐린 저항성, β-세포 기능 및 P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운동 집단은 유산소 운동(n=10), 저항 운동(n=10),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집단 별 동일 시점에서 시작해 일 60분씩 주 3일,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의 경우 동일 기간 주 3회 미만의 가벼운 걷기 외 격렬한 운동은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골격근량은 저항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체지방률은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유산소 운동(p.01)과 저항 운동(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GF-1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p.01),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TH의 변화는 집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1), 집단 내 차이검정 결과 유산소 운동(p.05)과 저항 운동(p.01)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운동은 비만 노인여성의 체지방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 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향상과 인슐린 저항성 감소 및 PTH 감소 효과를 통해 노인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비약물적 전략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