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Fitness Factors According to Competition Levels in Female Long-distance Cycling Athletes for the National Junior Team","authors":"Ki-Rak Choi","doi":"10.47684/jcd.2023.09.25.5.18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사이클 국가대표 후보 여자 중장거리 선수들을 대상으로 전국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들과 비메달 선수들과의 신체구성, 최대근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근기능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한자전거연맹의 선발규정에 따라 국내 및 국제대회에서 획득한 메달을 점수화하여 선발된 여자 중장거리 선수 10명으로, 제 100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입상을 한 메달 그룹(n=5)과 입상을 하지 못한 비메달 그룹(n=5)으로 구분하였다. 사이클 경기력 관련 체력요인으로는 신체구성, 최대근력, 무산소성 윈게이트 검사와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신체구성에서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모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달 그룹이 비메달 그룹에 비해 골격근량이 높고, 체지방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근력,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그리고 60°/sec와 180°/sec 등속성 무릎 신전 최대근력 모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달 그룹이 비메달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여자 사이클 국가대표 후보선수들의 경기력은 근육량, 최대근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무릎 근기능 등 체력적 측면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높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최고 수준의 경기력을 가진 여자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사이클 국가대표 후보 여자 중장거리 선수들을 대상으로 전국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들과 비메달 선수들과의 신체구성, 최대근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근기능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한자전거연맹의 선발규정에 따라 국내 및 국제대회에서 획득한 메달을 점수화하여 선발된 여자 중장거리 선수 10명으로, 제 100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입상을 한 메달 그룹(n=5)과 입상을 하지 못한 비메달 그룹(n=5)으로 구분하였다. 사이클 경기력 관련 체력요인으로는 신체구성, 최대근력, 무산소성 윈게이트 검사와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신체구성에서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모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달 그룹이 비메달 그룹에 비해 골격근량이 높고, 체지방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근력, 무산소성 페달링 파워 그리고 60°/sec와 180°/sec 등속성 무릎 신전 최대근력 모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달 그룹이 비메달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여자 사이클 국가대표 후보선수들의 경기력은 근육량, 최대근력, 무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무릎 근기능 등 체력적 측면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높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최고 수준의 경기력을 가진 여자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