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eedback by Vibration Sensor on Flexion and Muscle Activity of the Knee Joint during Squat Movement

Sung-Kyun Choi, Woo-Kwang Cheon, Ji-Dong Tian, Myung-Soo Choi
{"title":"The Effect of Feedback by Vibration Sensor on Flexion and Muscle Activity of the Knee Joint during Squat Movement","authors":"Sung-Kyun Choi, Woo-Kwang Cheon, Ji-Dong Tian, Myung-Soo Choi","doi":"10.47684/jcd.2023.09.25.5.22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동작 수행에 따른 진동센서의 피드백이 슬관절의 굴곡과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즉,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운동프로그램의 유효성과 타당성이 제시된다면 이는 이후 임상에서의 적용 시 대상에게 언어, 시각적 피드백과 진동을 이용한 운동 중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스쿼트 동작의 숙련 정도가 없는 일반인 8명과 경험이 있는 8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고, 2022년 12월 12일부터 23일까지 총 2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진동센서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하는 무선 웨어러블 센서(wireless wearable sensor)로 6축기반(가속도 및 자이로)의 IMU센서, 심박측정이 가능한 PPG센서 및 진동소자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교정을 유도하는 장치로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그룹 내 진동센서를 착용 전·후의 근활성도(전경골근, 비복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을 측정하고 고정된 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슬관절의 각도를 비교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실험 결과 진동센서의 착용 전·후 각 군의 슬관절의 변화를 그룹 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스쿼트 동작의 경험유무와 성별 등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동센서의 착용 후 그룹이 슬관절의 굴곡의 변화가 착용 전 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위 결과들을 통해 비숙련자는 스쿼트 동작 시 진동센서에 의한 자극이 고관절 내회전과 슬관절 굽힘 움직임이 더 크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 운동 올바른 동작 지도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동작 수행에 따른 진동센서의 피드백이 슬관절의 굴곡과 근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즉,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운동프로그램의 유효성과 타당성이 제시된다면 이는 이후 임상에서의 적용 시 대상에게 언어, 시각적 피드백과 진동을 이용한 운동 중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스쿼트 동작의 숙련 정도가 없는 일반인 8명과 경험이 있는 8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고, 2022년 12월 12일부터 23일까지 총 2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진동센서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하는 무선 웨어러블 센서(wireless wearable sensor)로 6축기반(가속도 및 자이로)의 IMU센서, 심박측정이 가능한 PPG센서 및 진동소자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교정을 유도하는 장치로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그룹 내 진동센서를 착용 전·후의 근활성도(전경골근, 비복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을 측정하고 고정된 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슬관절의 각도를 비교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실험 결과 진동센서의 착용 전·후 각 군의 슬관절의 변화를 그룹 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스쿼트 동작의 경험유무와 성별 등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동센서의 착용 후 그룹이 슬관절의 굴곡의 변화가 착용 전 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위 결과들을 통해 비숙련자는 스쿼트 동작 시 진동센서에 의한 자극이 고관절 내회전과 슬관절 굽힘 움직임이 더 크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 운동 올바른 동작 지도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振动传感器反馈对深蹲运动中膝关节屈曲和肌肉活动的影响
这项研究的目的是通过振动传感器对深蹲动作的反馈来了解膝关节弯曲和肌活性的差异。也就是说,如果对对象提出了运动程序的有效性和妥当性,那么这就为以后临床应用的对象提示了利用语言、视觉反馈和振动的运动中有效的深蹲运动的方向性。研究对象是选出8名没有深蹲动作熟练程度的普通人和8名有经验的人进行的,从2022年12月12日开始到23日为止,共进行2周。实验中使用的振动传感器是用户佩戴在人体上的无线可穿戴传感器(wireless wearable sensor),使用6轴基础(加速度和陀螺仪)的IMU传感器、可测定心跳的PPG传感器和振动元件,引导用户矫正姿势。实验群和对照群的各组内振动传感器测定了佩戴前、后的肌活性度(前颈骨肌、非腹肌、大退休肌、脊椎起立肌),并根据固定摄像机的位置比较了膝关节的角度。数据处理使用PASW 18.0统计程序进行对应样本t-test、二元重复测量方差分析(two-way repeated measure ANOVA)。第一,实验结果显示,对振动传感器佩戴前、后各群膝关节的变化,利用组间对应标本t-检验法进行了了解,结果统计上存在显著差异(p.01)。没有深蹲动作经验和性别等相互作用的效果。第二,在佩戴振动传感器后,一组膝关节的弯曲变化比佩戴前一组在统计上有显著差异(p.001)。上述结果表明,非熟练者在蹲动作时,振动传感器的刺激会使髋关节内的旋转和膝关节弯曲运动更大。本研究结果希望能作为进行壁球运动过程中运动正确动作指导的基础资料使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