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肩胛骨稳定训练方案对颈椎间盘突出症患者颈部失能指数、活动度及肌功能的影响","authors":"Han-Su Cho, Myung-Rang Lee, Won-Moon Kim","doi":"10.47684/jcd.2023.09.25.5.196","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목뼈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 그리고 근 기능(myofunction)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은 40대 여성 24명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집단(SSG, n=12)과 전통적 재활운동 집단(TRG, n=12)으로 배정하였다. 중재 적용 전 검사로는 경부장애지수와 관절가동범위(굽힘, 폄, 돌림, 측굴), 근 기능(굽힘, 폄)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집단에 대해 60분씩, 주 3회, 8주간의 중재 적용 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재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시기, 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 결과 TRG에 비해 SSG에서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근 기능 개선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Range of Motion and Myofunc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authors\":\"Han-Su Cho, Myung-Rang Lee, Won-Moon Kim\",\"doi\":\"10.47684/jcd.2023.09.25.5.196\",\"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목뼈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 그리고 근 기능(myofunction)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은 40대 여성 24명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집단(SSG, n=12)과 전통적 재활운동 집단(TRG, n=12)으로 배정하였다. 중재 적용 전 검사로는 경부장애지수와 관절가동범위(굽힘, 폄, 돌림, 측굴), 근 기능(굽힘, 폄)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집단에 대해 60분씩, 주 3회, 8주간의 중재 적용 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재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시기, 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 결과 TRG에 비해 SSG에서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근 기능 개선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9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9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该研究的目的是,以颈椎间盘突出症患者为对象,了解适用肩胛骨稳定化运动计划对颈部障碍指数(neck disability index)、颈关节启动范围(range of motion)以及肌功能(myofunction)的变化产生的效果。研究对象是被诊断为颈椎间盘突出症的24名40多岁女性,分成两组,随机分成肩胛骨稳定化运动组(SSG, n=12)和传统康复运动组(TRG, n=12)。作为仲裁前的检查,测试颈部障碍指数和关节启动范围(弯曲、贬、转动、侧屈)、肌功能(屈、贬),对每组进行60分钟、每周3次、8周的仲裁后,通过同样的方法重新测试。研究结果显示,两个群体在时期、群体、相互作用效果方面都有显著差异,事后验证结果显示,SSG比TRG有更显著的提高。因此,对颈椎间盘突出症患者适用肩胛骨稳定化运动计划,在疼痛、关节启动范围、改善肌肉功能方面将更加有效。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Range of Motion and Myofunc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
이 연구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목뼈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 그리고 근 기능(myofunction)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은 40대 여성 24명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집단(SSG, n=12)과 전통적 재활운동 집단(TRG, n=12)으로 배정하였다. 중재 적용 전 검사로는 경부장애지수와 관절가동범위(굽힘, 폄, 돌림, 측굴), 근 기능(굽힘, 폄)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집단에 대해 60분씩, 주 3회, 8주간의 중재 적용 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재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시기, 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 결과 TRG에 비해 SSG에서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근 기능 개선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