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跆拳道陪练运动员体格、体力与排名的相关性研究","authors":"Ju-Sik Park","doi":"10.47684/jcd.2023.09.25.5.23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아메리카 M 국가의 15세 ∼ 18세, 국내 랭킹 1위 ∼ 15위의 남자 태권도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요인과 랭킹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BMI와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신장과 체중(p.05), 체중과 BMI(p.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력 요인의 경우 랭킹과 유연성 및 최대산소섭취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고관절 유연성과 장좌전굴 및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수들의 랭킹과 체질량지수와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그 외 측정 항목에서는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점을 고려해 볼 때 국가별, 선수경력, 랭킹, 체급, 성별, 연구대상자 수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orrelation between Physique, Physical Strength and Ranking of Taekwondo Sparring Players\",\"authors\":\"Ju-Sik Park\",\"doi\":\"10.47684/jcd.2023.09.25.5.23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아메리카 M 국가의 15세 ∼ 18세, 국내 랭킹 1위 ∼ 15위의 남자 태권도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요인과 랭킹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BMI와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신장과 체중(p.05), 체중과 BMI(p.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력 요인의 경우 랭킹과 유연성 및 최대산소섭취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고관절 유연성과 장좌전굴 및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수들의 랭킹과 체질량지수와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그 외 측정 항목에서는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점을 고려해 볼 때 국가별, 선수경력, 랭킹, 체급, 성별, 연구대상자 수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7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3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3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Correlation between Physique, Physical Strength and Ranking of Taekwondo Sparring Players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아메리카 M 국가의 15세 ∼ 18세, 국내 랭킹 1위 ∼ 15위의 남자 태권도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체격 요인과 랭킹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BMI와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신장과 체중(p.05), 체중과 BMI(p.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력 요인의 경우 랭킹과 유연성 및 최대산소섭취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고관절 유연성과 장좌전굴 및 최대산소섭취량과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수들의 랭킹과 체질량지수와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그 외 측정 항목에서는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 요인과 랭킹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점을 고려해 볼 때 국가별, 선수경력, 랭킹, 체급, 성별, 연구대상자 수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