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运动项目和等速膝关节力量水平对K区运动员峰值扭矩等速关节角的影响","authors":"Jong-Baek Lee, Kyu-Min Park","doi":"10.47684/jcd.2023.09.25.5.1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 중 최대토크각와 종목, 근력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선수들의 훈련과 재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K지역 13개의 운동종목 총 134명의 남자 일반(38명), 대학부(60명), 고등부(34명)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과 함께 등속성 무릎근력과 근파워의 최대토크각을 평가하였다. 최대토크각은 종목과 근력수준별 상호작용, 근력과 근파워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운동종목과 근력수준은 등속성 무릎 최대토크각과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운동종목은 좌·우측 굽힘근과 폄근의 최대 토크각과(p.05), 근력수준은 우측 굽힘근의 최대토크각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좌·우측 등속성 굽힘근 최대근력토크각과 최대파워토크각은 등속성 굽힘근(p.001)과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측 굽힘근 최대파워토크각의 경우 우측 굽힘근 근파워(p.01), 좌측 폄근 최대근력토크각은 좌측 근력과 근파워 모두와(p.05)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목과 근력수준이 최대토크각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선수들의 종목특성에 따른 등속성 근력 평가에 있어서 최대토크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훈련평가와 부상 후 재활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s of Sports Event and Isokinetic Knee Strength Levels on Isokinetic Joint Angles at Peak Torque in the K Area Athletes\",\"authors\":\"Jong-Baek Lee, Kyu-Min Park\",\"doi\":\"10.47684/jcd.2023.09.25.5.1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 중 최대토크각와 종목, 근력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선수들의 훈련과 재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K지역 13개의 운동종목 총 134명의 남자 일반(38명), 대학부(60명), 고등부(34명)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과 함께 등속성 무릎근력과 근파워의 최대토크각을 평가하였다. 최대토크각은 종목과 근력수준별 상호작용, 근력과 근파워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운동종목과 근력수준은 등속성 무릎 최대토크각과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운동종목은 좌·우측 굽힘근과 폄근의 최대 토크각과(p.05), 근력수준은 우측 굽힘근의 최대토크각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좌·우측 등속성 굽힘근 최대근력토크각과 최대파워토크각은 등속성 굽힘근(p.001)과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측 굽힘근 최대파워토크각의 경우 우측 굽힘근 근파워(p.01), 좌측 폄근 최대근력토크각은 좌측 근력과 근파워 모두와(p.05)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목과 근력수준이 최대토크각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선수들의 종목특성에 따른 등속성 근력 평가에 있어서 최대토크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훈련평가와 부상 후 재활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ffects of Sports Event and Isokinetic Knee Strength Levels on Isokinetic Joint Angles at Peak Torque in the K Area Athletes
본 연구는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 중 최대토크각와 종목, 근력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선수들의 훈련과 재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K지역 13개의 운동종목 총 134명의 남자 일반(38명), 대학부(60명), 고등부(34명)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과 함께 등속성 무릎근력과 근파워의 최대토크각을 평가하였다. 최대토크각은 종목과 근력수준별 상호작용, 근력과 근파워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운동종목과 근력수준은 등속성 무릎 최대토크각과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운동종목은 좌·우측 굽힘근과 폄근의 최대 토크각과(p.05), 근력수준은 우측 굽힘근의 최대토크각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좌·우측 등속성 굽힘근 최대근력토크각과 최대파워토크각은 등속성 굽힘근(p.001)과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측 굽힘근 최대파워토크각의 경우 우측 굽힘근 근파워(p.01), 좌측 폄근 최대근력토크각은 좌측 근력과 근파워 모두와(p.05)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목과 근력수준이 최대토크각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선수들의 종목특성에 따른 등속성 근력 평가에 있어서 최대토크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훈련평가와 부상 후 재활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