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Study on Technological Change Scores of TKD Kyorugi Athletes afte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Protectors","authors":"Se-Jin Kim, Kwang-Keun Choi","doi":"10.47684/jcd.2023.09.25.5.11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태권도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른 점수 및 경기규칙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호구와 초기 태권도 경기에 사용되었던 호구를 통해 태권도가 추구하는 점수와 경기규칙의 변화, 초기 태권도 시합에 사용된 호구와 이후 발전된 호구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시대적 배경을 주로 기술하였다. 대한태권도협회에서 발간한 태권도 경기규칙을 바탕으로 태권도의 역사와 철학, 태권도 주요 대회와 관련된 문헌 및 각종 단행본을 고찰하였다. 또한 심층 면담을 통해 시대의 호구를 변화시킨다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경기에 있어서 몸통보호구의 변화는 태권도 경기기술의 발전과 국내·외 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태권도 선수보호를 통하여 올림픽에 시범종목과 정식종목으로 인정받아 명실공이 세계적인 무도스포츠로 성장한 쾌거를 이루어 내었다. 하지만 태권도 경기에서 호구 착용으로 인한 태권도의 가장 근본적인 본질인 무도적 성향이 많이 퇴색되었다. 특히 태권도 호구착용으로 인한 경기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는 있었으나 득점에 관한 사항이 타력감에 의존하다 보니 심판 판정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의문제기와 더불어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태권도 경기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한 전자호구 제도 도입으로 이에 대한 보완은 되었으나 태권도 경기내용면의 퇴색을 불러왔다. 특히 태권도 전자호구 제도 도입으로 기존의 화려한 기술이 많이 퇴보 되었으며 전자호구 자체의 오작동 내지는 무거운 무게로 인한 경기의 질적인 면이 떨어지는 효과를 불러왔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 기술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1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의 전자호구 도입에 따른 점수 및 경기규칙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호구와 초기 태권도 경기에 사용되었던 호구를 통해 태권도가 추구하는 점수와 경기규칙의 변화, 초기 태권도 시합에 사용된 호구와 이후 발전된 호구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시대적 배경을 주로 기술하였다. 대한태권도협회에서 발간한 태권도 경기규칙을 바탕으로 태권도의 역사와 철학, 태권도 주요 대회와 관련된 문헌 및 각종 단행본을 고찰하였다. 또한 심층 면담을 통해 시대의 호구를 변화시킨다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경기에 있어서 몸통보호구의 변화는 태권도 경기기술의 발전과 국내·외 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태권도 선수보호를 통하여 올림픽에 시범종목과 정식종목으로 인정받아 명실공이 세계적인 무도스포츠로 성장한 쾌거를 이루어 내었다. 하지만 태권도 경기에서 호구 착용으로 인한 태권도의 가장 근본적인 본질인 무도적 성향이 많이 퇴색되었다. 특히 태권도 호구착용으로 인한 경기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는 있었으나 득점에 관한 사항이 타력감에 의존하다 보니 심판 판정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의문제기와 더불어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태권도 경기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한 전자호구 제도 도입으로 이에 대한 보완은 되었으나 태권도 경기내용면의 퇴색을 불러왔다. 특히 태권도 전자호구 제도 도입으로 기존의 화려한 기술이 많이 퇴보 되었으며 전자호구 자체의 오작동 내지는 무거운 무게로 인한 경기의 질적인 면이 떨어지는 효과를 불러왔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 기술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