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Range of Motion and Myofunc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
{"title":"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Range of Motion and Myofunc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authors":"Han-Su Cho, Myung-Rang Lee, Won-Moon Kim","doi":"10.47684/jcd.2023.09.25.5.196","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목뼈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 그리고 근 기능(myofunction)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은 40대 여성 24명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집단(SSG, n=12)과 전통적 재활운동 집단(TRG, n=12)으로 배정하였다. 중재 적용 전 검사로는 경부장애지수와 관절가동범위(굽힘, 폄, 돌림, 측굴), 근 기능(굽힘, 폄)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집단에 대해 60분씩, 주 3회, 8주간의 중재 적용 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재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시기, 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 결과 TRG에 비해 SSG에서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근 기능 개선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9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목뼈 관절 가동범위(range of motion), 그리고 근 기능(myofunction)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목뼈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은 40대 여성 24명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어깨뼈 안정화 운동 집단(SSG, n=12)과 전통적 재활운동 집단(TRG, n=12)으로 배정하였다. 중재 적용 전 검사로는 경부장애지수와 관절가동범위(굽힘, 폄, 돌림, 측굴), 근 기능(굽힘, 폄)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집단에 대해 60분씩, 주 3회, 8주간의 중재 적용 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재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 시기, 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증 결과 TRG에 비해 SSG에서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뼈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어깨뼈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근 기능 개선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