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ffects of Teachers\" Motivating Style on th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authors":"Chang-Ha Im, Yong-Gwan Song","doi":"10.47684/jcd.2023.09.25.5.9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사회-정서적 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P시 소재 중학교 2곳과 고등학교 1곳에서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187명)과 고등학생(1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느끼는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 만족과 좌절 그리고 사회적/정서적 행동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기술, 신뢰도, 타당도, 상관 및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과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통제적 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체육교사의 통제적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경험하게 하고, 자율성지지 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 경험을 감소 및 예방하는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정적으로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자율성지지를 통한 체육교사의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발달하는데 실제적이고 중요한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체육교육 현장에 시사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사회-정서적 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P시 소재 중학교 2곳과 고등학교 1곳에서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187명)과 고등학생(1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느끼는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 만족과 좌절 그리고 사회적/정서적 행동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기술, 신뢰도, 타당도, 상관 및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과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통제적 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체육교사의 통제적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경험하게 하고, 자율성지지 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 경험을 감소 및 예방하는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정적으로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자율성지지를 통한 체육교사의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발달하는데 실제적이고 중요한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체육교육 현장에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