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Influence of Change in Movement Type on Head Posture and Shoulder Posture for Turtle Neck Syndrome Patients","authors":"Won-Ho Choi, Won Shin","doi":"10.47684/jcd.2023.09.25.5.23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거북목 환자에 대해 기능적 운동 형태 2가지운동(신체운동, 밴드운동)를 적용하여 머리자세위치(CVA)와 어깨자세(SSP)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하였다. 피험자는 사무직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별 무작위로 10명씩 배정하여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은 10분간 주 4회 4주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24.0(SPSS Inc, Chicago, Illino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과 집단별 전ㆍ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결과의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고 결과처리 하였다. 첫째, CAV에 대한 운동 적용에서 신체운동집단과 밴드운동집단 그룹에서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별 전-후 시기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SSP에 대한 운동 적용에서도 신체운동집단과 밴드운동집단 그룹에서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별 전-후 시기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수치변화로 밴드 운동보다는 신체 운동집단에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거북목 환자에 대한 운동적용은 신체운동과 밴드운동 모두 활용가능하며 하나의 운동이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생활환경에서 올바른 자세와 머리 목 굽힘 운동을 통해 자극을 자주 주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운동도구의 활용도 필요하지만 자신의 신체를 이용한 운동을 통해 경추 부위를 자극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목 관련 통증 환자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21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3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거북목 환자에 대해 기능적 운동 형태 2가지운동(신체운동, 밴드운동)를 적용하여 머리자세위치(CVA)와 어깨자세(SSP)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하였다. 피험자는 사무직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별 무작위로 10명씩 배정하여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은 10분간 주 4회 4주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24.0(SPSS Inc, Chicago, Illino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과 집단별 전ㆍ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결과의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고 결과처리 하였다. 첫째, CAV에 대한 운동 적용에서 신체운동집단과 밴드운동집단 그룹에서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별 전-후 시기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SSP에 대한 운동 적용에서도 신체운동집단과 밴드운동집단 그룹에서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별 전-후 시기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수치변화로 밴드 운동보다는 신체 운동집단에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거북목 환자에 대한 운동적용은 신체운동과 밴드운동 모두 활용가능하며 하나의 운동이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생활환경에서 올바른 자세와 머리 목 굽힘 운동을 통해 자극을 자주 주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운동도구의 활용도 필요하지만 자신의 신체를 이용한 운동을 통해 경추 부위를 자극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목 관련 통증 환자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