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el gwan'gwang yeon'gu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The influence of AI-based virtual influencers (hyper-realistic vs. animated) as service ambassadors on the trustworthiness of digital tourism content 基于人工智能的虚拟网红(超现实vs动画)作为服务大使对数字旅游内容可信度的影响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137
Miju Choi
{"title":"The influence of AI-based virtual influencers (hyper-realistic vs. animated) as service ambassadors on the trustworthiness of digital tourism content","authors":"Miju Choi","doi":"10.31667/jhts.2023.09.104.137","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3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을 통해 서비스 앰배서더로서 가상 인플루언서가 디지털 관광 콘텐츠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다. 주요 연구 목표는: 첫째, 가상 인플루언서(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에 의한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에 대한 지각된 역량 차이를 조사한다. 둘째, 가상 인플루언서(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와 해석 수준(높은 수준 vs.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Z 세대 관광객의 지각된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 결과로 디지털 관광 콘텐츠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지각된 역량이 가상 인플루언서와 디지털 관광 콘텐츠 신뢰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매개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는 2(가상 인플루언서: 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 × 2(해석 수준: 높은 수준 vs. 낮은 수준)의 집단 간 비교 실험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2023년 1월 350명의 Z 세대 유럽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는 애니메이션형보다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 역량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가 낮은 수준의 해석과 함께 사용될 때, 높은 수준의 해석에 비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반면, 애니메이션형 가상 인플루언서는 높은 수준의 해석과 결합할 때, 낮은 수준의 해석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역량이 가상 인플루언서와 디지털 관광 콘텐츠 신뢰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형식이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에 대한 지각 역량과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1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comparative study on the purposes of visiting, atmosphere, and popular topics of Jeju Island by using big and small tourism data 利用旅游大数据和小数据对济州岛旅游目的、旅游氛围和热门话题进行对比研究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121
Hagchin Han, Jung-mo Seo, Jaeseok Kim
{"title":"A comparative study on the purposes of visiting, atmosphere, and popular topics of Jeju Island by using big and small tourism data","authors":"Hagchin Han, Jung-mo Seo, Jaeseok Kim","doi":"10.31667/jhts.2023.09.104.121","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21","url":null,"abstract":"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공지능을 비롯하여 사물인터넷, 자율 주행 서비스 등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고, 개인과 기업 등 정보의 생성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데이터의 양적인 확대와 질적인 활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포스트 코로나 기간 제주도의 방문목적을 비롯하여 분위기 등 제주도의 전반적인 관광특성에 관한 관광객들의 행동과 인식을 관광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두 개의 분석결과를 항목별로 정리한 후 지역 맞춤형 시각화 기초분석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관광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의 분석결과에서 제주도 방문목적에서 ‘경치’와 ‘가족여행’은 일치하였고, 전반적인 만족도에 있어 관광 빅데이터(1차, 4.33)와 스몰데이터(2차, 4.36)간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분위기와 인기토픽은 분석결과 간 전체적인 순위 및 구간 내 순위에서 크고 작은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치를 즐기는 가족여행을 위한 방문객이 가장 높게 나타남에 따라 관계기관에서도 난개발을 자제하여 현재와 같은 무공해의 자연환경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목표하고 있는 관광객에 중점을 둔 맞춤형 관광상품의 개발, 숙박형태, 식음료 부분의 신규 메뉴개발과 지역 상인의 친절서비스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제주도에 맞는 관광 안내지도 시각화 기초자료를 작성하여 제시함으로써 지역 내 관광정책 및 홍보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관광지 시각화의 주요편익으로 잠재 관광객들의 재방문과 추천이 가능하며 잠재 관광수요를 예측하고, 연구결과의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2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research on visitors’ hotel selection attributes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with hotels: using text mining, sentiment analysis an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游客酒店选择属性评价酒店满意度研究:基于文本挖掘、情感分析和模糊集定性比较分析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1
Jae-Hyun Kim, Hyung-Ryong Lee
{"title":"A research on visitors’ hotel selection attributes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with hotels: using text mining, sentiment analysis an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authors":"Jae-Hyun Kim, Hyung-Ryong Lee","doi":"10.31667/jhts.2023.09.104.1","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4성 및 5성 호텔을 대상으로 고객 리뷰를 수집하여 코로나19 발생 전·후 호텔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호텔 선택속성을 새롭게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호텔 선택속성과 고객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충분조건 호텔 선택속성 조합과 단일 변수로도 큰 영향을 미치는 필요조건 호텔 선택속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첫번째, 4성 및 5성 호텔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트립어드바이저의 리뷰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성분석을 통해 긍정적 방향성을 지닌 리뷰를 선별하였다. 이후 LDA 토픽모델링을 통해 리뷰 내용에 존재하는 주요 호텔 선택속성(토픽)을 도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FsQCA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발생 전·후 결과변수(호텔 만족도)를 평가하는 원인조건(호텔 선택속성)의 다양한 조합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 발생 전·후 호텔 만족도를 평가하는 리뷰에서 높은 비중으로 확인되는 원인조건조합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리뷰가 가지고 있는 정량적 데이터인 만족도 점수와 정성적 데이터는 텍스트를 활용하여 기초적인 빈도분석부터 LDA 토픽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토픽을 FsQCA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전후 토픽의 필요조건 일치도를 통해 필요조건에 변화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9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effects of oriental face culture on tourism behavior 东方面子文化对旅游行为的影响研究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79
Jung-Hwan Park
{"title":"A study on the effects of oriental face culture on tourism behavior","authors":"Jung-Hwan Park","doi":"10.31667/jhts.2023.09.104.79","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79","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체면문화 및 관광행동의 개념화와 측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그리고 이러한 체면문화가 관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편의표본 추출된 여행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국민 261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7(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ANOVA)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실증연구 결과, 특히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704)과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121)이 스마트 관광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의식 체면(회귀계수=-0.132)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독창성 관광행동에는 자아의식 체면(회귀계수=0.158)과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148)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229)의 경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시성 관광행동에는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273)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246)의 경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집단 간 차이검정 기법인 t-test와 ANOVA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 중 여성과 남성의 경우 타인의식 체면(여성 평균 5.00, 남성 평균 4.58)에서 특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샷 빈도에서 특히 타인의식 체면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24)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4.40)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회의식 체면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56)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5.06)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스마트 관광행동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94)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5.32)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시성 관광행동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50)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3.03)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3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1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ourism participation,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旅游参与、关系导向认同与人际关系能力的关系分析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67
Jung-Heun Yoon
{"title":"The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ourism participation,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authors":"Jung-Heun Yoon","doi":"10.31667/jhts.2023.09.104.67","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6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관광참여,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광참여 및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부산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신뢰성 검정 및 타당성 검정을 거쳐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참여의 구성요소인 질적 참여 및 양적 참여 모두 유의도 1%수준에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가설 1),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은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가설 2). 또한 관광참여의 구성요소 즉, 질적 참여와 양적 참여는 각각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3). 이러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 강화를 위해 대학생을 비롯한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관광참여를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고,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등은 관광참여 프로그램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관광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방향을 가다듬고, 타인과의 관계설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하고 판단하게 함으로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양적 참여보다는 질적 참여가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에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침으로 관광정보획득, 관광활동 등과 관련된 지도를 통해 보다 질 높은 관광이 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기의 학생들에게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행동하도록 함으로서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6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1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the effects of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DSR) of the subjects of tourism development perceived by tourists on the tourism satisfaction 感知价值对游客感知旅游发展主体目的地社会责任对旅游满意度影响的中介作用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103
Seongbin Jang, Heeseung Lee
{"title":"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the effects of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DSR) of the subjects of tourism development perceived by tourists on the tourism satisfaction","authors":"Seongbin Jang, Heeseung Lee","doi":"10.31667/jhts.2023.09.104.103","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03","url":null,"abstract":"관광산업은 긍정적인 측면과 동시에 천연자원의 남발과 과잉개발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을 야기하기도 한다. 관광이 발달하면서 관광목적지의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 집단인 지역주민들이 관광개발로 인해 피해가 초래되고 있으며, 현 시점에서는 기업이 도입하고 있는 사회적책임의 개념을 관광목적지에 적용하여 시사점들을 도출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개발 주체들의 관광목적지 사회적책임(DSR)이 그들의 관광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보고 사회적책임과 관광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가 매개하는지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SR의 하위요인 중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으며, 둘째, DSR의 하위요인 중 환경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관광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DSR과 관광만족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DS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가지고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DSR의 개념을 좀 더 확장시켜 새로운 연구방향과 시각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관광지 개발 주체들이 친환경적인 활동에 더욱 힘써야 하며, 윤리적으로 모든 법적 의무를 잘 지키며 투명하게 개발을 진행한다면 더욱 관광객들의 만족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정책 수립 시 지역주민의 충분한 합의는 물론 환경과 문화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규제가 뒷받침 되어져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9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financial business in healing tourism area: focused on the business feasibility analysis of the mental and physical tourism business plan linked to the storytelling the first place of cultivation for medicinal ginseng herbs by scenario 疗愈旅游区金融业务的可行性研究:重点对身心旅游业务计划进行可行性分析,并以情景化的方式将人参药材种植的第一地联系起来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91
Hyuk Soo Kim
{"title":"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financial business in healing tourism area: focused on the business feasibility analysis of the mental and physical tourism business plan linked to the storytelling the first place of cultivation for medicinal ginseng herbs by scenario","authors":"Hyuk Soo Kim","doi":"10.31667/jhts.2023.09.104.91","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91","url":null,"abstract":"사례연구 부지에 세 가지 시나리오 형태별 사업구상과 그에 대한 재무적 사업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심신 관광지에 대한 구상으로서 사례부지에는 스토리텔링의 좋은 소재인 최초 재배지(시배지)인 약초인삼의 역사가 서려 있고, 경관 좋은 관광개발의 세가지 형태(천변, 산악, 호수 주변)개발을 시나리오 3가지 경우로 산정하여 개발 사업성 분석을 하였다. 전반적으로 양호한 사업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구체적 재무타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나리오 1의 재무타당성 분석 결과는 내부수익율(IRR) 18.59%, 300억 투자대비 순 현재가치(NPV) 50억 원, 회수기간(PP) 2.86년, 비용편익비율(B/C ratio) 1.93 으로 대단히 양호한 재무 사업 타당성 수치를 보이고 있다. 시나리오 2의 재무타당성 분석 결과는 내부수익율(IRR) 14.96%, 200억 투자대비 순 현재가치(NPV) 29억 원, 회수기간(PP) 2.98년, 비용편익비율(B/C ratio) 1.93 으로 대단히 양호한 재무 사업 타당성 수치를 보이고 있다. 시나리오 3의 재무타당성 분석 결과는 내부수익율(IRR) 12.52%, 100억 투자대비 순 현재가치(NPV) 10억 원, 회수기간(PP) 5.23년, 비용편익비율(B/C ratio) 1.80 으로 비교적 어느 정도 양호한 재무 사업 타당성 수치를 보이고 있다. 사례연구 부지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인삼의 역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인삼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약재로 사용되어 왔고, 해당 부지에서 최초로 재배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관광지로서의 가치는 물론, 문화 및 역사적 가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세 가지 다양한 시나리오에서의 개발이 고려되었는데, 천변, 산악, 호수 주변이라는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지역에서의 개발로 다양한 관광객들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시나리오 별로 투자 규모와 예상되는 수익률, 그리고 재무적 수치들을 통해 보면, 모든 시나리오가 안정적인 재무구조와 높은 수익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시나리오 1과 2는 뛰어난 재무적 효과를 보이며, 시나리오 3 역시 투자 규모에 비해 양호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7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9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impact of experiential value on satisfaction, brand love,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environmentally-certified hotel restaurants 体验价值对环境认证酒店餐厅满意度、品牌喜爱及行为意向的影响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21
Ju-hee Ko
{"title":"The impact of experiential value on satisfaction, brand love,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environmentally-certified hotel restaurants","authors":"Ju-hee Ko","doi":"10.31667/jhts.2023.09.104.21","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2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친환경인증 호텔레스토랑에 대한 행동의도의 선행요인으로 경험적 가치와 만족, 브랜드 사랑을 적용하여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을 전체 호텔이 아니라 레스토랑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레스토랑이 많은 부정적인 환경적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점점 더 인정받고 있으므로 호텔 내 다른 부서보다도 친환경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대산업 전문가들이 효과적인 친환경 차원의 경영전략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표본추출을 위한 조사대상 호텔은 친환경 호텔 인증을 획득한 서울특별시 소재 3곳의 5성급 호텔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최근 3개월 이내 선정된 3개 친환경인증 호텔의 레스토랑 중 한 곳 이상을 방문한 적이 있는 남녀 한국 내 거주자로 선정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친환경인증 호텔레스토랑에 대한 경험적 가치의 4가지 요인 중 서비스 우수성과 유희성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비자 효용성과 심미성은 만족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만족은 브랜드 사랑과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사랑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환대산업의 친환경 레스토랑에 관한 문헌에 공헌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검증된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레스토랑 비즈니스에 있어서 친환경 레스토랑에 대한 고객경험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1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on work engagement, work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hotel enterprise: focusing on the luxury hotels in Jeju 酒店企业组织伦理氛围对工作投入、工作满意度和主观幸福感的影响——以济州豪华酒店为例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35
Jin-Ho Shin, Sung-Hwa Hong
{"title":"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on work engagement, work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hotel enterprise: focusing on the luxury hotels in Jeju","authors":"Jin-Ho Shin, Sung-Hwa Hong","doi":"10.31667/jhts.2023.09.104.35","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3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호텔 종사원이 지각하는 조직 윤리풍토가 직무열의와 직무만족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5개의 연구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제주지역 5성급 호텔에서 근무하는 300명의 호텔 종사원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설정된 가설 및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척도를 사용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보였다. 첫째, 조직 윤리풍토는 직무열의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윤리풍토는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열의는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주관적 웰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은 주관적 웰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조직 윤리풍토가 호텔 기업에서 인적자원관리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환대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다. 호텔 기업에서 조직 내의 윤리적 분위기를 강화하고, 종사원들의 직무열의와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이 주관적 웰빙을 개선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인적자원관리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노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경쟁이 치열한 환대 산업에서 종사원과 조직의 전략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근거자료를 제시한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10 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72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s of attitudes on sustainable tourism on daily behavior and behavior in tourist destinations: targeted on tourism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可持续旅游态度对旅游目的地日常行为和行为的影响:以旅游专业高中学生为研究对象
Hotel gwan'gwang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31667/jhts.2023.09.104.51
So-Youn Ahn, Hany Kim
{"title":"The effects of attitudes on sustainable tourism on daily behavior and behavior in tourist destinations: targeted on tourism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authors":"So-Youn Ahn, Hany Kim","doi":"10.31667/jhts.2023.09.104.51","DOIUrl":"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5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관광 분야의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미래세대인 관광 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속 가능 관광에 대한 실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행동증진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관광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 가능 관광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후 각 태도가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일상적 행동과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관광지에서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일상적 행동이 지속 가능 관광에 대한 태도와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관광지에서 행동에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관광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414부의 표본이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환경적 태도, 사회적 태도, 경제적 태도 모두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일상적 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태도, 경제적 태도는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관광지에서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일상적 행동이 지속 가능한 환경적 태도, 경제적 태도와 지속 가능한 관광 행동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관광으로서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확장하여 일상에서의 행동과 관광지에서의 행동을 연결하여 일상적 행동의 강화가 관광지에서의 지속 가능한 행동을 끌어낼 수 있는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속 가능 관광을 위한 환경 교육의 확대와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2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97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