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purposes of visiting, atmosphere, and popular topics of Jeju Island by using big and small tourism data

Hagchin Han, Jung-mo Seo, Jaeseok Kim
{"title":"A comparative study on the purposes of visiting, atmosphere, and popular topics of Jeju Island by using big and small tourism data","authors":"Hagchin Han, Jung-mo Seo, Jaeseok Kim","doi":"10.31667/jhts.2023.09.104.121","DOIUrl":null,"url":null,"abstract":"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공지능을 비롯하여 사물인터넷, 자율 주행 서비스 등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고, 개인과 기업 등 정보의 생성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데이터의 양적인 확대와 질적인 활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포스트 코로나 기간 제주도의 방문목적을 비롯하여 분위기 등 제주도의 전반적인 관광특성에 관한 관광객들의 행동과 인식을 관광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두 개의 분석결과를 항목별로 정리한 후 지역 맞춤형 시각화 기초분석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관광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의 분석결과에서 제주도 방문목적에서 ‘경치’와 ‘가족여행’은 일치하였고, 전반적인 만족도에 있어 관광 빅데이터(1차, 4.33)와 스몰데이터(2차, 4.36)간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분위기와 인기토픽은 분석결과 간 전체적인 순위 및 구간 내 순위에서 크고 작은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치를 즐기는 가족여행을 위한 방문객이 가장 높게 나타남에 따라 관계기관에서도 난개발을 자제하여 현재와 같은 무공해의 자연환경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목표하고 있는 관광객에 중점을 둔 맞춤형 관광상품의 개발, 숙박형태, 식음료 부분의 신규 메뉴개발과 지역 상인의 친절서비스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제주도에 맞는 관광 안내지도 시각화 기초자료를 작성하여 제시함으로써 지역 내 관광정책 및 홍보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관광지 시각화의 주요편익으로 잠재 관광객들의 재방문과 추천이 가능하며 잠재 관광수요를 예측하고, 연구결과의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공지능을 비롯하여 사물인터넷, 자율 주행 서비스 등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고, 개인과 기업 등 정보의 생성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데이터의 양적인 확대와 질적인 활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포스트 코로나 기간 제주도의 방문목적을 비롯하여 분위기 등 제주도의 전반적인 관광특성에 관한 관광객들의 행동과 인식을 관광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두 개의 분석결과를 항목별로 정리한 후 지역 맞춤형 시각화 기초분석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관광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의 분석결과에서 제주도 방문목적에서 ‘경치’와 ‘가족여행’은 일치하였고, 전반적인 만족도에 있어 관광 빅데이터(1차, 4.33)와 스몰데이터(2차, 4.36)간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분위기와 인기토픽은 분석결과 간 전체적인 순위 및 구간 내 순위에서 크고 작은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치를 즐기는 가족여행을 위한 방문객이 가장 높게 나타남에 따라 관계기관에서도 난개발을 자제하여 현재와 같은 무공해의 자연환경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목표하고 있는 관광객에 중점을 둔 맞춤형 관광상품의 개발, 숙박형태, 식음료 부분의 신규 메뉴개발과 지역 상인의 친절서비스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제주도에 맞는 관광 안내지도 시각화 기초자료를 작성하여 제시함으로써 지역 내 관광정책 및 홍보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관광지 시각화의 주요편익으로 잠재 관광객들의 재방문과 추천이 가능하며 잠재 관광수요를 예측하고, 연구결과의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利用旅游大数据和小数据对济州岛旅游目的、旅游氛围和热门话题进行对比研究
随着第四次产业革命时代的到来,以人工智能为首的物联网、自由行驶服务等技术正在高度化,个人和企业等信息的生成量急速增加,数据的量的扩大和质的活用。本研究日冕19和邮报日冕期间,氛围等济州岛济州岛的、关于整体旅游特点的游客的旅游行为和认识,利用大数据和小数据,分析,两个分析结果,整理项目后地区量身提供视觉化基础分析资料,为。旅游大数据和小数据的分析结果显示,在访问济州岛的目的上,“景色”和“家庭旅行”是一致的,在整体满意度上,旅游大数据(第一次,4.33)和小数据(第二次,4.36)几乎是一致的。尽管如此,氛围和人气话题的分析结果显示,在整体排名及区间内排名上,还是出现了大大小小的差异。以分析结果为基础,随着享受风景的家庭旅行的访客最多,相关机关也提出了克制乱开发,维持像现在这样无公害的自然环境的重要性。同时强调要更加关注以目标游客为重点的量身定做型旅游商品的开发、住宿形态、饮食部分的新菜单的开发和地区商人的亲切服务。综合分析结果,制作并出示符合济州岛的旅游指南地图视觉化基础资料,以积极活用地区内的旅游政策及宣传营销。特别是,旅游景点视觉化的主要好处是,潜在游客可以再次访问和推荐,预测潜在旅游需求,研究结果可能会扩散到其他地区。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