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effects of oriental face culture on tourism behavior","authors":"Jung-Hwan Park","doi":"10.31667/jhts.2023.09.104.7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체면문화 및 관광행동의 개념화와 측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그리고 이러한 체면문화가 관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편의표본 추출된 여행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국민 261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7(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ANOVA)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실증연구 결과, 특히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704)과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121)이 스마트 관광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의식 체면(회귀계수=-0.132)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독창성 관광행동에는 자아의식 체면(회귀계수=0.158)과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148)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229)의 경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시성 관광행동에는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273)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246)의 경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집단 간 차이검정 기법인 t-test와 ANOVA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 중 여성과 남성의 경우 타인의식 체면(여성 평균 5.00, 남성 평균 4.58)에서 특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샷 빈도에서 특히 타인의식 체면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24)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4.40)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회의식 체면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56)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5.06)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스마트 관광행동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94)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5.32)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시성 관광행동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50)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3.03)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3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7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체면문화 및 관광행동의 개념화와 측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그리고 이러한 체면문화가 관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편의표본 추출된 여행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국민 261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7(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ANOVA)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실증연구 결과, 특히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704)과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121)이 스마트 관광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의식 체면(회귀계수=-0.132)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독창성 관광행동에는 자아의식 체면(회귀계수=0.158)과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148)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229)의 경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시성 관광행동에는 타인의식 체면(회귀계수=0.273)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의식 체면(회귀계수=-0.246)의 경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집단 간 차이검정 기법인 t-test와 ANOVA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 중 여성과 남성의 경우 타인의식 체면(여성 평균 5.00, 남성 평균 4.58)에서 특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샷 빈도에서 특히 타인의식 체면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24)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4.40)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회의식 체면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56)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5.06)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스마트 관광행동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94)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5.32)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시성 관광행동의 경우 인증샷을 많이 하는 집단(평균 5.50)과 인증샷을 적게 하는 집단(평균 3.03)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