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AI-based virtual influencers (hyper-realistic vs. animated) as service ambassadors on the trustworthiness of digital tourism content

Miju Choi
{"title":"The influence of AI-based virtual influencers (hyper-realistic vs. animated) as service ambassadors on the trustworthiness of digital tourism content","authors":"Miju Choi","doi":"10.31667/jhts.2023.09.104.13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을 통해 서비스 앰배서더로서 가상 인플루언서가 디지털 관광 콘텐츠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다. 주요 연구 목표는: 첫째, 가상 인플루언서(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에 의한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에 대한 지각된 역량 차이를 조사한다. 둘째, 가상 인플루언서(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와 해석 수준(높은 수준 vs.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Z 세대 관광객의 지각된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 결과로 디지털 관광 콘텐츠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지각된 역량이 가상 인플루언서와 디지털 관광 콘텐츠 신뢰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매개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는 2(가상 인플루언서: 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 × 2(해석 수준: 높은 수준 vs. 낮은 수준)의 집단 간 비교 실험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2023년 1월 350명의 Z 세대 유럽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는 애니메이션형보다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 역량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가 낮은 수준의 해석과 함께 사용될 때, 높은 수준의 해석에 비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반면, 애니메이션형 가상 인플루언서는 높은 수준의 해석과 결합할 때, 낮은 수준의 해석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역량이 가상 인플루언서와 디지털 관광 콘텐츠 신뢰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형식이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에 대한 지각 역량과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3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을 통해 서비스 앰배서더로서 가상 인플루언서가 디지털 관광 콘텐츠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다. 주요 연구 목표는: 첫째, 가상 인플루언서(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에 의한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에 대한 지각된 역량 차이를 조사한다. 둘째, 가상 인플루언서(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와 해석 수준(높은 수준 vs.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Z 세대 관광객의 지각된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 결과로 디지털 관광 콘텐츠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지각된 역량이 가상 인플루언서와 디지털 관광 콘텐츠 신뢰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매개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는 2(가상 인플루언서: 인간형 vs 애니메이션형) × 2(해석 수준: 높은 수준 vs. 낮은 수준)의 집단 간 비교 실험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2023년 1월 350명의 Z 세대 유럽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는 애니메이션형보다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 역량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가 낮은 수준의 해석과 함께 사용될 때, 높은 수준의 해석에 비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반면, 애니메이션형 가상 인플루언서는 높은 수준의 해석과 결합할 때, 낮은 수준의 해석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역량이 가상 인플루언서와 디지털 관광 콘텐츠 신뢰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형식이 Z 세대 관광객의 디지털 관광 콘텐츠에 대한 지각 역량과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였다.
基于人工智能的虚拟网红(超现实vs动画)作为服务大使对数字旅游内容可信度的影响
本研究通过解释水平理论,查明作为服务大使的虚拟人物对数码旅游内容的信赖度产生怎样的影响。主要研究目标是:第一,通过虚拟人物(人类型vs动画型)调查Z世代游客对数字旅游内容的感知力量差异。第二,虚拟的布鲁恩(人形vs动画型)和解释水平(高水平vs低水平)的相互作用被z一代游客的地壳的力量什么样的影响,以及其结果数字旅游内容的可信度产生什么样的影响的验证。第三,验证感知力量假想的流感和数码旅游内容信赖度之间关系的媒介效果。本研究采用2(虚拟人物:人类型vs动画型)× 2(解释水平:高水平vs.低水平)的群体比较实验设计。2023年1月,在线平台收集了350名Z世代欧洲游客的资料。分析结果显示,与动画型相比,Z世代游客的数字旅游内容力量更高。特别是,人类的虚拟现实——布鲁恩与低水平的解释一起使用时,比高水平的解释产生了更大的影响。与此相反,动画虚拟人物在结合高水平的解释时,比低水平的解释产生更大的影响。最后,感知的力量对虚拟的流感和数码旅游内容信赖度之间的关系起到了媒介作用。本研究为Z世代游客对数字旅游内容的感知能力和信赖度带来了深刻的理解。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