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感知价值对游客感知旅游发展主体目的地社会责任对旅游满意度影响的中介作用","authors":"Seongbin Jang, Heeseung Lee","doi":"10.31667/jhts.2023.09.104.103","DOIUrl":null,"url":null,"abstract":"관광산업은 긍정적인 측면과 동시에 천연자원의 남발과 과잉개발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을 야기하기도 한다. 관광이 발달하면서 관광목적지의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 집단인 지역주민들이 관광개발로 인해 피해가 초래되고 있으며, 현 시점에서는 기업이 도입하고 있는 사회적책임의 개념을 관광목적지에 적용하여 시사점들을 도출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개발 주체들의 관광목적지 사회적책임(DSR)이 그들의 관광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보고 사회적책임과 관광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가 매개하는지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SR의 하위요인 중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으며, 둘째, DSR의 하위요인 중 환경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관광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DSR과 관광만족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DS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가지고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DSR의 개념을 좀 더 확장시켜 새로운 연구방향과 시각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관광지 개발 주체들이 친환경적인 활동에 더욱 힘써야 하며, 윤리적으로 모든 법적 의무를 잘 지키며 투명하게 개발을 진행한다면 더욱 관광객들의 만족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정책 수립 시 지역주민의 충분한 합의는 물론 환경과 문화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규제가 뒷받침 되어져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the effects of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DSR) of the subjects of tourism development perceived by tourists on the tourism satisfaction\",\"authors\":\"Seongbin Jang, Heeseung Lee\",\"doi\":\"10.31667/jhts.2023.09.104.103\",\"DOIUrl\":null,\"url\":null,\"abstract\":\"관광산업은 긍정적인 측면과 동시에 천연자원의 남발과 과잉개발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을 야기하기도 한다. 관광이 발달하면서 관광목적지의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 집단인 지역주민들이 관광개발로 인해 피해가 초래되고 있으며, 현 시점에서는 기업이 도입하고 있는 사회적책임의 개념을 관광목적지에 적용하여 시사점들을 도출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개발 주체들의 관광목적지 사회적책임(DSR)이 그들의 관광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보고 사회적책임과 관광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가 매개하는지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SR의 하위요인 중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으며, 둘째, DSR의 하위요인 중 환경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관광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DSR과 관광만족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DS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가지고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DSR의 개념을 좀 더 확장시켜 새로운 연구방향과 시각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관광지 개발 주체들이 친환경적인 활동에 더욱 힘써야 하며, 윤리적으로 모든 법적 의무를 잘 지키며 투명하게 개발을 진행한다면 더욱 관광객들의 만족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정책 수립 시 지역주민의 충분한 합의는 물론 환경과 문화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규제가 뒷받침 되어져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the effects of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DSR) of the subjects of tourism development perceived by tourists on the tourism satisfaction
관광산업은 긍정적인 측면과 동시에 천연자원의 남발과 과잉개발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을 야기하기도 한다. 관광이 발달하면서 관광목적지의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 집단인 지역주민들이 관광개발로 인해 피해가 초래되고 있으며, 현 시점에서는 기업이 도입하고 있는 사회적책임의 개념을 관광목적지에 적용하여 시사점들을 도출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개발 주체들의 관광목적지 사회적책임(DSR)이 그들의 관광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보고 사회적책임과 관광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가 매개하는지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SR의 하위요인 중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으며, 둘째, DSR의 하위요인 중 환경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관광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DSR과 관광만족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윤리적 책임만 지각된 가치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DS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가지고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DSR의 개념을 좀 더 확장시켜 새로운 연구방향과 시각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관광지 개발 주체들이 친환경적인 활동에 더욱 힘써야 하며, 윤리적으로 모든 법적 의무를 잘 지키며 투명하게 개발을 진행한다면 더욱 관광객들의 만족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정책 수립 시 지역주민의 충분한 합의는 물론 환경과 문화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규제가 뒷받침 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