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旅游参与、关系导向认同与人际关系能力的关系分析","authors":"Jung-Heun Yoon","doi":"10.31667/jhts.2023.09.104.6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관광참여,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광참여 및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부산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신뢰성 검정 및 타당성 검정을 거쳐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참여의 구성요소인 질적 참여 및 양적 참여 모두 유의도 1%수준에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가설 1),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은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가설 2). 또한 관광참여의 구성요소 즉, 질적 참여와 양적 참여는 각각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3). 이러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 강화를 위해 대학생을 비롯한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관광참여를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고,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등은 관광참여 프로그램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관광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방향을 가다듬고, 타인과의 관계설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하고 판단하게 함으로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양적 참여보다는 질적 참여가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에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침으로 관광정보획득, 관광활동 등과 관련된 지도를 통해 보다 질 높은 관광이 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기의 학생들에게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행동하도록 함으로서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6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ourism participation,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authors\":\"Jung-Heun Yoon\",\"doi\":\"10.31667/jhts.2023.09.104.6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관광참여,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광참여 및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부산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신뢰성 검정 및 타당성 검정을 거쳐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참여의 구성요소인 질적 참여 및 양적 참여 모두 유의도 1%수준에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가설 1),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은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가설 2). 또한 관광참여의 구성요소 즉, 질적 참여와 양적 참여는 각각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3). 이러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 강화를 위해 대학생을 비롯한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관광참여를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고,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등은 관광참여 프로그램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관광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방향을 가다듬고, 타인과의 관계설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하고 판단하게 함으로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양적 참여보다는 질적 참여가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에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침으로 관광정보획득, 관광활동 등과 관련된 지도를 통해 보다 질 높은 관광이 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기의 학생들에게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행동하도록 함으로서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6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9.104.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ourism participation,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본 연구는 관광참여,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광참여 및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부산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신뢰성 검정 및 타당성 검정을 거쳐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참여의 구성요소인 질적 참여 및 양적 참여 모두 유의도 1%수준에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가설 1),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은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가설 2). 또한 관광참여의 구성요소 즉, 질적 참여와 양적 참여는 각각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3). 이러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 강화를 위해 대학생을 비롯한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관광참여를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고,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등은 관광참여 프로그램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관광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방향을 가다듬고, 타인과의 관계설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하고 판단하게 함으로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양적 참여보다는 질적 참여가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에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침으로 관광정보획득, 관광활동 등과 관련된 지도를 통해 보다 질 높은 관광이 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기의 학생들에게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행동하도록 함으로서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