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areer Ident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authors":"You-Sun Jung","doi":"10.21184/jkeia.2023.10.17.7.327","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2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현장임상실습 시 겪게 되는 현장임상실습 시 스트레스와 진로정체감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3.75±0.79점이었으며,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3.62±0.97점이었으며, 환경스트레스는 2.62±0.73점,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1.94±0.80점, 역할 스트레스는 2.35±0.66점, 이상가치 스트레스는 2.56±0.75점, 진료차이 스트레스는 2.29±0.75점, 진로정체감은 2.65±0.58점이었다. 2. 전공만족도는 현장임상실습만족도와 진로정체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환경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역할스트레스, 이상가치스트레스, 진료차이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3.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전공만족도(β=0.398, p0.01)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4%로 나타났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45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76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ustainable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AR music Edutech in Elementary School by ‘Ludibell’ - Focusing on Barrier-Free -","authors":"Hyun-A Jeon, Seong-Hee Kim, Su-Been Kim","doi":"10.21184/jkeia.2023.10.17.7.30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05","url":null,"abstract":"코로나19 이후로 우리의 교육 현장은 학습자를 위한 개별 맞춤형 교육의 방법으로 에듀테크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행위 주체성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지리적·물리적·공간적 요소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BR 본 연구에서는 AR 에듀테크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루디벨(Ludibell)’의 교육사례를 통해 지속 가능한 교육의 가능성을 배리어프리 중심으로 살펴보았다.BR 이를 위해서 지속 가능한 교육의 의미와 배리어프리의 특징과 사례를 알아보고, AR을 활용해서 초등학교 음악교육을 수행하고 있는‘루디벨’의 기술적 특징과 교육적 활용사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BR 마지막으로 이러한 초등학교 AR 에듀테크를 다양한 교과목과 교육 현장에서 확대할 수 있는 기술적·내용적 전략 방법에 대한 교육과정 도입과 교수법 활용 및 지원, 교육콘텐츠와 기술적 확대 전략을 모색해보았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65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2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luster Based Transmission Method for Reliable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of WMSN","authors":"Sung-Il Jang, Seung-Kwon Choi, Sung-Jin Kim","doi":"10.21184/jkeia.2023.10.17.7.453","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453","url":null,"abstract":"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이 일반화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비 및 센서들의 저전력화, 소형화로 인해 IoT(Internet of Things)가 대중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IoT의 기반이 되는 WSN(Wireless Sensor Network)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WMSN(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저가의 소형 센서들을 사용하므로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전송 기법들이 연구되어왔으며, 이들 중 하나로 클러스터링 전송 기법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할 경우 센서 노드 간 에너지 소비의 공정성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 등에 문제가 있다.BR 본 논문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전송에 다중경로를 사용한다. 경로 설정 시, BS의 거리를 기준으로 다중경로를 형성하고 이 경로를 통해 단순한 센싱 데이터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시에 BS(Base Station)로 전송할 수 있다.BR 제안한 전송 기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수명, 에너지 소모량 등을 기존의 LEACH 방식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기법은 로드 밸런싱 및 균일한 에너지 소모를 통해 지연 시간을 줄이고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73 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38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Symbolism of “Mother” Used in the Drama “Mr. Sunshine”","authors":"Min-Ji Choi","doi":"10.21184/jkeia.2023.10.17.7.119","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19","url":null,"abstract":"이 논문은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역사의 과정을 담은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이 나라를 빼앗기는 슬픔과 그로 인한 고통의 서사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어머니’라는 표상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역사 드라마가 OTT를 통해 전 세계의 시청자와 만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만의 역사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은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BR 〈미스터 션샤인〉은 2018년 tvN에서 방영한 24부작의 드라마로 TV와 OTT를 통해 전 세계 동시 방영이 이뤄졌다. 작품은 ‘어머니’를 표상으로 활용해 시청자가 경험하지 못한 일제강점기의 폭압과 그로 인한 비극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공감과 감정이입에 이르게 하며, 결과적으로 작품의 정서와 주제를 심도 있게 받아들이도록 한다.BR 본 논문은 〈미스터 션샤인〉의 ‘어머니’가 어떤 방식으로 표상이 되어 역사를 은유하고 있는지 고찰하기 위해 ‘어머니’의 존재에 관한 실증적 연구자료 및 다각적 분야에서 다뤄지는 ‘어머니’의 의미에 관해 탐색한다. 그리고 작품 내에서 ‘어머니’의 표상이 구축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일제강점기’를 표현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되는지 고찰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4 5","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58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Equipmen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NFC","authors":"Sung-Il Jang, Seung-Kwon Choi, Sung-Jin Kim","doi":"10.21184/jkeia.2023.10.17.7.57","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57","url":null,"abstract":"최근 다양한 형태의 많은 공연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연을 위해서는 음향, 조명 등 많은 장비가 사용된다. 공연 장비는 특성상 이동과 설치가 많아 유지보수 및 사용현황을 지속적으로 갱신해야 하는데 현재는 장비의 사용을 위해 인력과 보고에 의존하고 있다.BR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NFC 기능을 이용해 공연장비의 이동, 설치 및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과 이에 대한 구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상세 기능으로는 모바일 NFC 기능을 활용한 장비 정보 및 NFC 태그 등록, 장비 현황 통계 및 목록 구성, 장비 정보 및 유지보수 이력 저장 및 확인, 상태 변경 등의 기능을 설정하고 업무 로직과 GUI, DB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수동적인 관리 방법 및 QR 코드 등을 이용한 시스템과 비교하였다.BR 비교 결과를 통한 제안 시스템의 장점으로는 첫째, 장비 관리 및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둘째, 장비 이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별도의 비용없이 시스템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넷째, QR 코드 사용과 비교하여 더욱 긴 수명을 제공하며 빠른 속도로 장비의 인식과 처리가 가능하였다.BR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기능의 고도화가 가능하며 공연 장비 관리 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59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Relevant Factors of Injury Patients Aged over 65 in Gwangju and Jeonnam -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authors":"Yeon-Ja Jeong","doi":"10.21184/jkeia.2023.10.17.7.417","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41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전남지역 65세이상 손상환자의 특성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질병 관리청의 퇴원손상심층조사(2017-2021) 원시 자료 1,472,865건 중 거주지가 광주·전남인 65세 이상 손상 환자 총 5,839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광주·전남지역 65세 이상 손상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관성에서는 년도, 성별, 수술여부, 주 진단, 진료비 지불 방법에서 유의한 연관이 있었고, 외인정보에 따른 재원일수는 손상의도성, 손상 발생 장소, 손상시 활동, 손상기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수술에서 수술함, 주 진단에 엉덩이 손상, 치료결과에 호전됨, 손상시 활동은 이동 중, 지불방법에서는 산재, 손상기전에서는 운수사고, 손상의도에는 비의도성에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전남지역 65세이상 손상환자의 발생률을 줄이고 손상 환자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35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37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n Analysis of the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derly Happiness for 6 Years through Community Health Survey","authors":"Hwan-Hui Kim","doi":"10.21184/jkeia.2023.10.17.7.383","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8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질병관리청 주관으로 시행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 문항 중 행복감 지수를 포함하는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1년 총 6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도별 노인들의 행복감 변화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398,979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BR 연구결과 연도별 행복감 지수는 2021년 행복감지수 추정값은 6.76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 6.70, 2017년 6.50, 2015년 6.40, 2013년 6.16, 2011년 6.03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연도에 따른 행복감 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총 6년간 자료에서 공통으로 거주지역, 주택유형, 기초수급자, 경제활동여부, 최종학력, 평생음주여부, 평생흡연여부, 연간미충족의료여부, 나이, 주관적건강수준이 행복감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BR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행복한 노년의 삶을 계획할 수 있도록 노인들의 행복감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반영한 교육 및 건강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지원을 위한 노인복지정책 개발이 필요하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34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38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Role and Strategy of the Leitmotif Technique in Correlating Drama and Music in Disney’s Musical 〈The Hunchback of Notre Dame〉","authors":"Seul-Ki Kim, Eun-Hye Lee","doi":"10.21184/jkeia.2023.10.17.7.161","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61","url":null,"abstract":"라이트모티브는 극음악 분야에서 극과 음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음악 기법으로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즈니 뮤지컬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 Dame)〉(2014)에 사용된 라이트 모티브 기법의 역할과 전략을 통해 극과 음악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의 내용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뮤지컬 〈노틀담의 꼽추〉의 2014년도 대본과 2016년도 음원을 기준으로 인물 별 라이트모티브 기법의 특징을 구분하였다. 세부연구 기준으로 극 중 3명의 대표 인물을 설정함으로써 각 인물의 극적 역할과 각 인물의 라이트모티브의 역할, 그로 인해 나타나는 극과 음악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라이트모티브 기법이 단순 선율 반복을 넘어 극적인 전개와 상황의 변화에 기여하며, 이 기법으로 극과 음악의 유기적인 상관성으로 인해 극의 주제와 메시지가 더욱 명확해지고 그에 따른 인물 별 특성이 더욱 부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근간으로 디즈니 뮤지컬 작품의 연대기별 특징과 라이트모티브의 사용 및 극과의 상관성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로 확장해가고자 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58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Effect of the Community Disorder on the Depression of a School Dropout Adolesc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er Attachment and the Self-Resilience","authors":"Il-Young Jeong","doi":"10.21184/jkeia.2023.10.17.7.407","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40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가 청소년의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단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현실화를 위해, 본 연구는 중심적 분석자료로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3년 학업중단청소년패널(PSSDY) 5차년도(2017년도) 자료에서 선별된 315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핵심적인 분석방법으로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응용하였으며, sobel test로써 간접경로의 유의도를 파악하였다. 제시된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가 무질서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침을 파악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의 개선이 학업중단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 개선 및 인식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네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참여 등의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 4","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6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Effe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Middle School Teachers - A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uthors":"Young-Hwan Kim","doi":"10.21184/jkeia.2023.10.17.7.231","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31","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지시적 리더십을 대체하여 조직차원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임파워먼트와 자기효능감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임파워먼트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고 자기효능감이 조직시민행동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부산지역 중등학교 교사이며, 총 3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불성실한 응답 1명을 제외한 최종 352명을 분석단위로 확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임파워먼트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임파워먼트는 조직시민행동을 직접 촉진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조직시민행동을 촉진시킨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중등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임파워먼트와 자기효능감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35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2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