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口腔卫生专业学生临床实习压力与职业认同的关系","authors":"You-Sun Jung","doi":"10.21184/jkeia.2023.10.17.7.32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현장임상실습 시 겪게 되는 현장임상실습 시 스트레스와 진로정체감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3.75±0.79점이었으며,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3.62±0.97점이었으며, 환경스트레스는 2.62±0.73점,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1.94±0.80점, 역할 스트레스는 2.35±0.66점, 이상가치 스트레스는 2.56±0.75점, 진료차이 스트레스는 2.29±0.75점, 진로정체감은 2.65±0.58점이었다. 2. 전공만족도는 현장임상실습만족도와 진로정체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환경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역할스트레스, 이상가치스트레스, 진료차이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3.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전공만족도(β=0.398, p0.01)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4%로 나타났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45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areer Ident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authors\":\"You-Sun Jung\",\"doi\":\"10.21184/jkeia.2023.10.17.7.32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현장임상실습 시 겪게 되는 현장임상실습 시 스트레스와 진로정체감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3.75±0.79점이었으며,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3.62±0.97점이었으며, 환경스트레스는 2.62±0.73점,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1.94±0.80점, 역할 스트레스는 2.35±0.66점, 이상가치 스트레스는 2.56±0.75점, 진료차이 스트레스는 2.29±0.75점, 진로정체감은 2.65±0.58점이었다. 2. 전공만족도는 현장임상실습만족도와 진로정체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환경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역할스트레스, 이상가치스트레스, 진료차이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3.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전공만족도(β=0.398, p0.01)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4%로 나타났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45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2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2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areer Ident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본 연구는 현장임상실습 시 겪게 되는 현장임상실습 시 스트레스와 진로정체감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3.75±0.79점이었으며,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3.62±0.97점이었으며, 환경스트레스는 2.62±0.73점,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1.94±0.80점, 역할 스트레스는 2.35±0.66점, 이상가치 스트레스는 2.56±0.75점, 진료차이 스트레스는 2.29±0.75점, 진로정체감은 2.65±0.58점이었다. 2. 전공만족도는 현장임상실습만족도와 진로정체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환경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역할스트레스, 이상가치스트레스, 진료차이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3.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전공만족도(β=0.398, p0.01)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4%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