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戏剧《阳光先生》中“母亲”的象征意义研究","authors":"Min-Ji Choi","doi":"10.21184/jkeia.2023.10.17.7.11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역사의 과정을 담은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이 나라를 빼앗기는 슬픔과 그로 인한 고통의 서사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어머니’라는 표상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역사 드라마가 OTT를 통해 전 세계의 시청자와 만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만의 역사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은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BR 〈미스터 션샤인〉은 2018년 tvN에서 방영한 24부작의 드라마로 TV와 OTT를 통해 전 세계 동시 방영이 이뤄졌다. 작품은 ‘어머니’를 표상으로 활용해 시청자가 경험하지 못한 일제강점기의 폭압과 그로 인한 비극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공감과 감정이입에 이르게 하며, 결과적으로 작품의 정서와 주제를 심도 있게 받아들이도록 한다.BR 본 논문은 〈미스터 션샤인〉의 ‘어머니’가 어떤 방식으로 표상이 되어 역사를 은유하고 있는지 고찰하기 위해 ‘어머니’의 존재에 관한 실증적 연구자료 및 다각적 분야에서 다뤄지는 ‘어머니’의 의미에 관해 탐색한다. 그리고 작품 내에서 ‘어머니’의 표상이 구축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일제강점기’를 표현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되는지 고찰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4 5","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Symbolism of “Mother” Used in the Drama “Mr. Sunshine”\",\"authors\":\"Min-Ji Choi\",\"doi\":\"10.21184/jkeia.2023.10.17.7.11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역사의 과정을 담은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이 나라를 빼앗기는 슬픔과 그로 인한 고통의 서사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어머니’라는 표상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역사 드라마가 OTT를 통해 전 세계의 시청자와 만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만의 역사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은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BR 〈미스터 션샤인〉은 2018년 tvN에서 방영한 24부작의 드라마로 TV와 OTT를 통해 전 세계 동시 방영이 이뤄졌다. 작품은 ‘어머니’를 표상으로 활용해 시청자가 경험하지 못한 일제강점기의 폭압과 그로 인한 비극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공감과 감정이입에 이르게 하며, 결과적으로 작품의 정서와 주제를 심도 있게 받아들이도록 한다.BR 본 논문은 〈미스터 션샤인〉의 ‘어머니’가 어떤 방식으로 표상이 되어 역사를 은유하고 있는지 고찰하기 위해 ‘어머니’의 존재에 관한 실증적 연구자료 및 다각적 분야에서 다뤄지는 ‘어머니’의 의미에 관해 탐색한다. 그리고 작품 내에서 ‘어머니’의 표상이 구축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일제강점기’를 표현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되는지 고찰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4 5\",\"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Symbolism of “Mother” Used in the Drama “Mr. Sunshine”
이 논문은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역사의 과정을 담은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이 나라를 빼앗기는 슬픔과 그로 인한 고통의 서사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어머니’라는 표상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역사 드라마가 OTT를 통해 전 세계의 시청자와 만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만의 역사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은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BR 〈미스터 션샤인〉은 2018년 tvN에서 방영한 24부작의 드라마로 TV와 OTT를 통해 전 세계 동시 방영이 이뤄졌다. 작품은 ‘어머니’를 표상으로 활용해 시청자가 경험하지 못한 일제강점기의 폭압과 그로 인한 비극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공감과 감정이입에 이르게 하며, 결과적으로 작품의 정서와 주제를 심도 있게 받아들이도록 한다.BR 본 논문은 〈미스터 션샤인〉의 ‘어머니’가 어떤 방식으로 표상이 되어 역사를 은유하고 있는지 고찰하기 위해 ‘어머니’의 존재에 관한 실증적 연구자료 및 다각적 분야에서 다뤄지는 ‘어머니’의 의미에 관해 탐색한다. 그리고 작품 내에서 ‘어머니’의 표상이 구축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일제강점기’를 표현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되는지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