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Community Disorder on the Depression of a School Dropout Adolesc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er Attachment and the Self-Resilience
{"title":"The Effect of the Community Disorder on the Depression of a School Dropout Adolesc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er Attachment and the Self-Resilience","authors":"Il-Young Jeong","doi":"10.21184/jkeia.2023.10.17.7.40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가 청소년의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단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현실화를 위해, 본 연구는 중심적 분석자료로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3년 학업중단청소년패널(PSSDY) 5차년도(2017년도) 자료에서 선별된 315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핵심적인 분석방법으로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응용하였으며, sobel test로써 간접경로의 유의도를 파악하였다. 제시된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가 무질서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침을 파악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의 개선이 학업중단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 개선 및 인식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네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참여 등의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 4","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4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가 청소년의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단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현실화를 위해, 본 연구는 중심적 분석자료로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3년 학업중단청소년패널(PSSDY) 5차년도(2017년도) 자료에서 선별된 315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핵심적인 분석방법으로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응용하였으며, sobel test로써 간접경로의 유의도를 파악하였다. 제시된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가 무질서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침을 파악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의 개선이 학업중단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질서 개선 및 인식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네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참여 등의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