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 Phenomenological Stud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护生文科英语课堂体验的现象学研究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275
In-Ju Jeong, Sook Heo
{"title":"A Phenomenological Stud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Liberal Arts English Classes","authors":"In-Ju Jeong, Sook Heo","doi":"10.21184/jkeia.2023.10.17.7.27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7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양 영어 수업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다. 연구대상자는 G 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서 교양 영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총 10명이었다. 연구자는 학생들과 1:1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자는 가장 중요한 16개의 주제를 선정하였고, 유사한 주제를 모아 4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연구를 통해 분석한 4가지 범주는 ‘영어에 대한 변화’,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다양한 문화 간접경험’, ‘해외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양 영어 수업이 영어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의학 용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 해외 봉사 또는 간호사로서의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어 공부에 동기를 부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양 영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10 6","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84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Operation of Changemaker Project Class in the Age of Untact 非接触时代变革者项目课的运作研究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317
Jung-Kyoung Huh
{"title":"A Study on the Operation of Changemaker Project Class in the Age of Untact","authors":"Jung-Kyoung Huh","doi":"10.21184/jkeia.2023.10.17.7.317","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1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 체인지메이커 프로젝트는 어떻게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기존의 메이커 교육의 모형을 기반으로 체인지 메이커 프로젝트를 구성하였다. 특히 TMSI(Tinkering-Making-Improving-Sharing)모형의 만들기(Making)단계에서 디자인사고 방법론의 공감(Empathy)영역을 추가하여 개인의 참여를 넘어서 사회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하는 체인지메이커 정신을 고취하고자 했다. 그리고,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교육과 인성교육을 기반으로 언택트 체인지메이커 프로젝트가 실제 수업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 하브루타식 토론과 질문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무엇보다, 비대면 환경에서 체인지메이커 프로젝트는 먼저 온라인 학습 환경을 분석해서 제시되어야 한다. 이는 언택트 시대의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으로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협업활동, 제작, 평가, 순환의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여 구현하되, 수업안은 문제 발견하기, 솔루션 찾기, 행동하기, 퍼뜨리기 단계로 진행되었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28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2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s of Sprinter Pattern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Pain and Static Balance in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 短跑式本体感觉神经肌肉促进运动对急性腰痛患者疼痛和静态平衡的影响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375
Won-Jye Choi
{"title":"The Effects of Sprinter Pattern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Pain and Static Balance in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authors":"Won-Jye Choi","doi":"10.21184/jkeia.2023.10.17.7.37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7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스프린터 패턴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정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3명의 전체 대상자를 무작위로 대조군 22명, 실험군 2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물리치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은 스프린터 패턴 운동을 6주 동안, 주당 3회, 일당 30분을 수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중재 후 시각통증척도(VAS)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압통역치(PPT)는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정적 균형능력은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X,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눈뜨고, 눈감고 모두 X, 실험군에서 정적 균형 능력은 모든 자세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군 간 비교에서 눈뜨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눈뜨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Y, V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프린터 패턴 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에게 통증 감소와 정적 균형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요통에 적용 가능한 웰니스 모형 중 하나의 운동프로그램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27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22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Deokjil(Fanaticism) and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New Content “狂热”与新内容的生产和接受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295
Ok-Hee Kang
{"title":"Deokjil(Fanaticism) and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New Content","authors":"Ok-Hee Kang","doi":"10.21184/jkeia.2023.10.17.7.29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9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실천현상을 연구는 질적방법론인 인터넷 에스노그라피를 연구방법론으로 삼아, 디시인사이드의 조성진 갤러리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팬덤의 생산자인 온라인 팬 커뮤니티의 유저들이 그들이 덕질하는 대상이 아닌 팬덤의 생산자를 위한 놀이콘텐츠의 생산이라는 독특한 사례의 관찰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온라인 덕질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BR 코로나 국면으로 인한 외부와의 단절이 보플이라는 기술적인 결과물과 결합하면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악기를 활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조케스트라라는 자발적인 놀이를 만들었다. 이들이 만들어낸 조케스트라는 클래식을 수용중심의 문화에서 자발적인 놀이문화로 만든 것이다. 이것은 조성진 갤러리에서 일어난 팬들의 놀이가 놀이를 통한 창조 활동이라는 호모 루덴스로서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26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2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s of Hotel Chatbot Characteristics on Positive Emotion, Rapport Building, Reliability, and Reuse Intention 酒店聊天机器人特征对积极情绪、关系建立、可靠性和重用意愿的影响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17
Hyun-Jun Choi, Jong-Sik Yu
{"title":"The Effects of Hotel Chatbot Characteristics on Positive Emotion, Rapport Building, Reliability, and Reuse Intention","authors":"Hyun-Jun Choi, Jong-Sik Yu","doi":"10.21184/jkeia.2023.10.17.7.17","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7","url":null,"abstract":"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호텔 Chatbot의 특성이 긍정적 감정, 라포, 신뢰성 및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기반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호텔 Chatbot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호텔에서 도입되고 있다. Chatbot을 통해 개인 맞춤형 정보가 제공되고 처리된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한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 제한이 없기 때문에 고객에게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프론트 창구와 Chatbot이라는 창구를 구성함에 따라 호텔 서비스 품질이 다양해지며 고객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 대상으로는 호텔 Chatbot 사용자 대상으로 온라인 서치 업체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397부가 활용되었다. SPSS, AMOS를 통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호텔경영자에게 고객확보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경쟁업체에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Chatbot의 다양한 활용을 기대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4 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5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How Does Health-related Presenteeism Affect In-role Behavior Through Social Loafing Among Employees?: A Moderated-mediation Analysis 与健康相关的出勤如何通过员工的社会懒惰影响角色内行为?:一个有调节的中介分析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199
Byung-Yoon Chun, Seung-Ok Yoo
{"title":"How Does Health-related Presenteeism Affect In-role Behavior Through Social Loafing Among Employees?: A Moderated-mediation Analysis","authors":"Byung-Yoon Chun, Seung-Ok Yoo","doi":"10.21184/jkeia.2023.10.17.7.199","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9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직장에 만연해 있는 건강 관련 영향변수인 프리젠티즘이 중요한 조직 유효성의 하나인 역할 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태만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상황변수로서 과업과시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프리젠티즘으로 인해 개인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435명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을 SPSS 27과 LISREL 8.5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rocess Macro 통계모델을 통해 5000회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리젠티즘과 역할 내 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태만의 매개효과(B=-.12, p.001)를 확인했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과업가시성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B=-.04,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가설과는 달리 과업가시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태만을 매개로 프리젠티즘이 역할 내 행동에 미치는 부적인 조건부 간접효과는 더 강해진다(-1 SD=-.09, M=-.11, +1 SD=-.13)는 것을 밝혀냈다. 이에 대한 논의를 포함했으며, 또한 과업가시성이 사회적 태만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는 달리 과업가시성과 다른 변수들과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력은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학문적 시사점과 과업가시성의 효과적 관리가 중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제안도 포함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10 6","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90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Dance Media Consumption Behavior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 基于扩展技术接受模型(ETAM)的舞蹈媒介消费行为研究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263
Hyun-Jae Kim, Seung-Heon Back
{"title":"A Study on Dance Media Consumption Behavior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authors":"Hyun-Jae Kim, Seung-Heon Back","doi":"10.21184/jkeia.2023.10.17.7.263","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6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확장적 기술수용모형(ETAM)을 활용하여 외부 변인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이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과 지속적 이용의도로 이어지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정보기술을 통한 무용문화 저변확대, 무용 지식정보의 향유, 정보수혜자가 인식하는 무용콘텐츠의 유용성과 용이성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무용문화 생태계의 잠재적 고객유입 확보와 선순환 구조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BR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광주, 전남, 전북지역의 무용 미디어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무용 전공자 및 관련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4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서 작성방법(자기행정으로 설문조사 실시)을 실시하였으며, 420명의 유효표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무용미디어 콘텐츠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미디어 콘텐츠 추구 편익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콘텐츠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콘텐츠 애착은 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최종 연구가설을 위한 모형에서는 콘텐츠 품질,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중에서 채택을 선택하고, 혜택추구와 기술수용모형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선택하였다. 콘텐츠 애착에서는 채택,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나타났고, 콘텐츠 애착과 지속적 사용 의도에서는 채택을 선택하여 적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6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767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 of Flow Experience Upper Extremity Robot Rehabilitation Therapy Group in Subacute Stroke Patients 流动体验上肢机器人康复治疗组对亚急性脑卒中患者的影响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345
Jeong-Hoon Lee, Seong-Kyu Ha
{"title":"Effect of Flow Experience Upper Extremity Robot Rehabilitation Therapy Group in Subacute Stroke Patients","authors":"Jeong-Hoon Lee, Seong-Kyu Ha","doi":"10.21184/jkeia.2023.10.17.7.34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4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회복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뉴로피드백 Neuro Plasticity System\" 장비를 활용한 몰입형 상지 로봇재활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32명의 대상자를 몰입형 상지 로봇재활치료군과 전통적 작업 치료군으로 나누어 4주간 치료를 진행하였다. 효과확인을 위해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FMA), Box and Block Test(BBT), Grip Strength Test(GST),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몰입형 상지 로봇재활치료군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러한 효과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비교하여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몰입형 상지로봇재활치료가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서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다양한 접근 방법 중 하나로 몰입형 상지 로봇재활치료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이를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연구 대상자 수가 적고, 치료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대상자 수를 늘려 다양한 변수에 대한 분석을 통해 더욱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low Experience upper-limb robotic rehabilitation using \"Neurofeedback Neuro Plasticity System\" equipmen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during the recovery phase. The study was designed 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volving 32 patients diagnosed with hemiplegia due to a subacute stroke. They were treat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6 patients underwent Flow Experience upper-limb robotic rehabilitation and 16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Both interventions were administered for 4 weeks, 5 times a week, for 30 minutes each session, totaling 20 sess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was measured using the Box and Block Test(BBT),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FMA),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 and Grip Strength Test(GS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group undergoing Flow Experience robotic therapy experienced a notable enhancement in both upper extremity functionality and daily living activities (p < .05). Crucially, there was no substantial discrepancy between the two groups when evaluating the extent of improvement in upper-arm functionality and tasks related to daily life. This research validates that Flow Experience upper-limb robotic rehabilitation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upper-limb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of subacute stroke patients during the recovery phase. It confirms that this form of rehabilitation can be incorporated as a strategy within the scope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However, the study does have its limitations, such as a small sample size and relatively short treatment duration, which hinder its generalizability. Future research should aim to include more participants and examine various variables to conduct a more systematic and in-depth study.","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30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2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Medical Error Reporting Attitude and Knowledge, Nursing Professionalism on Willingness to Medical Error Reporting in Nursing Students 医疗差错报告态度与知识、护理专业对护生医疗差错报告意愿的影响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395
Seong-Soo Huh
{"title":"The Effect of Medical Error Reporting Attitude and Knowledge, Nursing Professionalism on Willingness to Medical Error Reporting in Nursing Students","authors":"Seong-Soo Huh","doi":"10.21184/jkeia.2023.10.17.7.395","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9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태도 및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의료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의료오류보고 촉진 전략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BR 본 연구는 G 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태도는 5점 만점에 3.47±0.43점, 의료오류보고 지식 3.20±0.93점, 간호전문직관 3.88±0.51점이었으며 위해사건보고 의향은 7점 만점에 5.89±0.94점, 근접오류보고 의향은 5.08±1.33점으로 나타났다.BR 간호대학생의 위해사건보고 의향과 근접오류보고 의향 모두 의료오류보고 태도 및 지식, 간호전문직관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위해사건보고 의향과 근접오류보고 의향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BR 위해사건보고 의향의 영향 요인은 간호전문직관으로 설명력은 34.7%였고, 근접오류보고 의향의 영향 요인은 의료오류보고 지식, 간호전문직관, 성별, 의료오류보고 교육 경험 순으로 설명력은 41.1%였다.BR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의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고 의료오류보고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오류보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 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38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Case Study on Journalistic Philanthropy Campaign in Terrestrial Broadcasting: Focusing on the SBS Nado-funding Case 地面广播新闻公益运动个案研究——以SBS nado资助案为例
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Pub Date : 2023-10-31 DOI: 10.21184/jkeia.2023.10.17.7.69
Seul-Kee Lee, Dong-Keun Ahn
{"title":"The Case Study on Journalistic Philanthropy Campaign in Terrestrial Broadcasting: Focusing on the SBS Nado-funding Case","authors":"Seul-Kee Lee, Dong-Keun Ahn","doi":"10.21184/jkeia.2023.10.17.7.69","DOIUrl":"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69","url":null,"abstract":"방송 채널들과 뉴미디어 플랫폼, 포털 등이 다각화 됨에 따라 방송시장은 전례 없는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다. 이에 지상파 방송들은 채널(방송사들) 간의 경쟁을 넘어 케이블 또는 뉴미디어와도 경쟁을 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지상파 방송은 내부의 분열 또는 경영적 위기로 광고와 협찬이 프로그램 제작과 혼재되면서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지상파 방송은 미디어 수용자의 신뢰를 지혜롭게 회복하고, 저널리즘과 기술의 평형상태를 추구하며,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시청자와 지상파 방송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신뢰회복의 방안으로 저널리스틱 필란트로피(journalistic philantrophy)를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사례로 SBS 뉴스의 ‘나도펀딩’을 분석하였다. SBS 나도펀딩은 언론사가 시도하지 않았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행동을 진행하였으며 지상파 방송 뉴스와 온라인 뉴스 그리고 크라우드펀딩을 결합하여 실시간 대중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필란트로피 전략을 개척했다. 또한 뉴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나도펀딩은 뉴스 수용자와 참여자의 폭을 넓혔고 생산자에 미치는 영향도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지상파 방송의 경영 위기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journalistic philanthropy를 제시하고 그 효용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책임과 ESG 등 미디어가 더 넓은 의미의 공적인 의무를 실천하기 위해 재검토하고 발전시켜야 할 새로운 형식에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유용한 관점을 제시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58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