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Phenomenological Study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Liberal Arts English Classes","authors":"In-Ju Jeong, Sook Heo","doi":"10.21184/jkeia.2023.10.17.7.27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양 영어 수업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다. 연구대상자는 G 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서 교양 영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총 10명이었다. 연구자는 학생들과 1:1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자는 가장 중요한 16개의 주제를 선정하였고, 유사한 주제를 모아 4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연구를 통해 분석한 4가지 범주는 ‘영어에 대한 변화’,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다양한 문화 간접경험’, ‘해외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양 영어 수업이 영어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의학 용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 해외 봉사 또는 간호사로서의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어 공부에 동기를 부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양 영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10 6","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양 영어 수업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다. 연구대상자는 G 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서 교양 영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총 10명이었다. 연구자는 학생들과 1:1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자는 가장 중요한 16개의 주제를 선정하였고, 유사한 주제를 모아 4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연구를 통해 분석한 4가지 범주는 ‘영어에 대한 변화’,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다양한 문화 간접경험’, ‘해외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양 영어 수업이 영어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의학 용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 해외 봉사 또는 간호사로서의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어 공부에 동기를 부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양 영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