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Medical Error Reporting Attitude and Knowledge, Nursing Professionalism on Willingness to Medical Error Reporting in Nursing Students","authors":"Seong-Soo Huh","doi":"10.21184/jkeia.2023.10.17.7.39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태도 및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의료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의료오류보고 촉진 전략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BR 본 연구는 G 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태도는 5점 만점에 3.47±0.43점, 의료오류보고 지식 3.20±0.93점, 간호전문직관 3.88±0.51점이었으며 위해사건보고 의향은 7점 만점에 5.89±0.94점, 근접오류보고 의향은 5.08±1.33점으로 나타났다.BR 간호대학생의 위해사건보고 의향과 근접오류보고 의향 모두 의료오류보고 태도 및 지식, 간호전문직관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위해사건보고 의향과 근접오류보고 의향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BR 위해사건보고 의향의 영향 요인은 간호전문직관으로 설명력은 34.7%였고, 근접오류보고 의향의 영향 요인은 의료오류보고 지식, 간호전문직관, 성별, 의료오류보고 교육 경험 순으로 설명력은 41.1%였다.BR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의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고 의료오류보고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오류보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 3","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태도 및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의료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의료오류보고 촉진 전략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BR 본 연구는 G 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태도는 5점 만점에 3.47±0.43점, 의료오류보고 지식 3.20±0.93점, 간호전문직관 3.88±0.51점이었으며 위해사건보고 의향은 7점 만점에 5.89±0.94점, 근접오류보고 의향은 5.08±1.33점으로 나타났다.BR 간호대학생의 위해사건보고 의향과 근접오류보고 의향 모두 의료오류보고 태도 및 지식, 간호전문직관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위해사건보고 의향과 근접오류보고 의향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BR 위해사건보고 의향의 영향 요인은 간호전문직관으로 설명력은 34.7%였고, 근접오류보고 의향의 영향 요인은 의료오류보고 지식, 간호전문직관, 성별, 의료오류보고 교육 경험 순으로 설명력은 41.1%였다.BR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의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고 의료오류보고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오류보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