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Dance Media Consumption Behavior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authors":"Hyun-Jae Kim, Seung-Heon Back","doi":"10.21184/jkeia.2023.10.17.7.26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확장적 기술수용모형(ETAM)을 활용하여 외부 변인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이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과 지속적 이용의도로 이어지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정보기술을 통한 무용문화 저변확대, 무용 지식정보의 향유, 정보수혜자가 인식하는 무용콘텐츠의 유용성과 용이성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무용문화 생태계의 잠재적 고객유입 확보와 선순환 구조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BR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광주, 전남, 전북지역의 무용 미디어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무용 전공자 및 관련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4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서 작성방법(자기행정으로 설문조사 실시)을 실시하였으며, 420명의 유효표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무용미디어 콘텐츠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미디어 콘텐츠 추구 편익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콘텐츠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콘텐츠 애착은 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최종 연구가설을 위한 모형에서는 콘텐츠 품질,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중에서 채택을 선택하고, 혜택추구와 기술수용모형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선택하였다. 콘텐츠 애착에서는 채택,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나타났고, 콘텐츠 애착과 지속적 사용 의도에서는 채택을 선택하여 적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6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확장적 기술수용모형(ETAM)을 활용하여 외부 변인인 콘텐츠 품질과 추구 편익이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과 지속적 이용의도로 이어지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정보기술을 통한 무용문화 저변확대, 무용 지식정보의 향유, 정보수혜자가 인식하는 무용콘텐츠의 유용성과 용이성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무용문화 생태계의 잠재적 고객유입 확보와 선순환 구조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BR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광주, 전남, 전북지역의 무용 미디어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무용 전공자 및 관련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4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평가서 작성방법(자기행정으로 설문조사 실시)을 실시하였으며, 420명의 유효표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무용미디어 콘텐츠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미디어 콘텐츠 추구 편익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콘텐츠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콘텐츠 애착은 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최종 연구가설을 위한 모형에서는 콘텐츠 품질,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중에서 채택을 선택하고, 혜택추구와 기술수용모형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선택하였다. 콘텐츠 애착에서는 채택,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나타났고, 콘텐츠 애착과 지속적 사용 의도에서는 채택을 선택하여 적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