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短跑式本体感觉神经肌肉促进运动对急性腰痛患者疼痛和静态平衡的影响","authors":"Won-Jye Choi","doi":"10.21184/jkeia.2023.10.17.7.37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스프린터 패턴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정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3명의 전체 대상자를 무작위로 대조군 22명, 실험군 2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물리치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은 스프린터 패턴 운동을 6주 동안, 주당 3회, 일당 30분을 수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중재 후 시각통증척도(VAS)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압통역치(PPT)는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정적 균형능력은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X,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눈뜨고, 눈감고 모두 X, 실험군에서 정적 균형 능력은 모든 자세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군 간 비교에서 눈뜨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눈뜨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Y, V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프린터 패턴 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에게 통증 감소와 정적 균형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요통에 적용 가능한 웰니스 모형 중 하나의 운동프로그램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27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s of Sprinter Pattern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Pain and Static Balance in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authors\":\"Won-Jye Choi\",\"doi\":\"10.21184/jkeia.2023.10.17.7.37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스프린터 패턴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정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3명의 전체 대상자를 무작위로 대조군 22명, 실험군 2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물리치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은 스프린터 패턴 운동을 6주 동안, 주당 3회, 일당 30분을 수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중재 후 시각통증척도(VAS)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압통역치(PPT)는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정적 균형능력은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X,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눈뜨고, 눈감고 모두 X, 실험군에서 정적 균형 능력은 모든 자세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군 간 비교에서 눈뜨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눈뜨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Y, V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프린터 패턴 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에게 통증 감소와 정적 균형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요통에 적용 가능한 웰니스 모형 중 하나의 운동프로그램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27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3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s of Sprinter Pattern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Pain and Static Balance in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스프린터 패턴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정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3명의 전체 대상자를 무작위로 대조군 22명, 실험군 2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물리치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은 스프린터 패턴 운동을 6주 동안, 주당 3회, 일당 30분을 수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중재 후 시각통증척도(VAS)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압통역치(PPT)는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정적 균형능력은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X,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에서 눈뜨고, 눈감고 모두 X, 실험군에서 정적 균형 능력은 모든 자세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군 간 비교에서 눈뜨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왼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눈뜨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V, 눈감고 오른쪽 다리로 선 자세의 X, Y, V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프린터 패턴 운동이 급성 요통 환자에게 통증 감소와 정적 균형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요통에 적용 가능한 웰니스 모형 중 하나의 운동프로그램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