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Equipment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NFC","authors":"Sung-Il Jang, Seung-Kwon Choi, Sung-Jin Kim","doi":"10.21184/jkeia.2023.10.17.7.57","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다양한 형태의 많은 공연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연을 위해서는 음향, 조명 등 많은 장비가 사용된다. 공연 장비는 특성상 이동과 설치가 많아 유지보수 및 사용현황을 지속적으로 갱신해야 하는데 현재는 장비의 사용을 위해 인력과 보고에 의존하고 있다.BR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NFC 기능을 이용해 공연장비의 이동, 설치 및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과 이에 대한 구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상세 기능으로는 모바일 NFC 기능을 활용한 장비 정보 및 NFC 태그 등록, 장비 현황 통계 및 목록 구성, 장비 정보 및 유지보수 이력 저장 및 확인, 상태 변경 등의 기능을 설정하고 업무 로직과 GUI, DB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수동적인 관리 방법 및 QR 코드 등을 이용한 시스템과 비교하였다.BR 비교 결과를 통한 제안 시스템의 장점으로는 첫째, 장비 관리 및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둘째, 장비 이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별도의 비용없이 시스템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넷째, QR 코드 사용과 비교하여 더욱 긴 수명을 제공하며 빠른 속도로 장비의 인식과 처리가 가능하였다.BR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기능의 고도화가 가능하며 공연 장비 관리 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최근 다양한 형태의 많은 공연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연을 위해서는 음향, 조명 등 많은 장비가 사용된다. 공연 장비는 특성상 이동과 설치가 많아 유지보수 및 사용현황을 지속적으로 갱신해야 하는데 현재는 장비의 사용을 위해 인력과 보고에 의존하고 있다.BR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NFC 기능을 이용해 공연장비의 이동, 설치 및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과 이에 대한 구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상세 기능으로는 모바일 NFC 기능을 활용한 장비 정보 및 NFC 태그 등록, 장비 현황 통계 및 목록 구성, 장비 정보 및 유지보수 이력 저장 및 확인, 상태 변경 등의 기능을 설정하고 업무 로직과 GUI, DB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수동적인 관리 방법 및 QR 코드 등을 이용한 시스템과 비교하였다.BR 비교 결과를 통한 제안 시스템의 장점으로는 첫째, 장비 관리 및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둘째, 장비 이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별도의 비용없이 시스템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넷째, QR 코드 사용과 비교하여 더욱 긴 수명을 제공하며 빠른 속도로 장비의 인식과 처리가 가능하였다.BR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기능의 고도화가 가능하며 공연 장비 관리 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