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Role and Strategy of the Leitmotif Technique in Correlating Drama and Music in Disney’s Musical 〈The Hunchback of Notre Dame〉","authors":"Seul-Ki Kim, Eun-Hye Lee","doi":"10.21184/jkeia.2023.10.17.7.161","DOIUrl":null,"url":null,"abstract":"라이트모티브는 극음악 분야에서 극과 음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음악 기법으로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즈니 뮤지컬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 Dame)〉(2014)에 사용된 라이트 모티브 기법의 역할과 전략을 통해 극과 음악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의 내용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뮤지컬 〈노틀담의 꼽추〉의 2014년도 대본과 2016년도 음원을 기준으로 인물 별 라이트모티브 기법의 특징을 구분하였다. 세부연구 기준으로 극 중 3명의 대표 인물을 설정함으로써 각 인물의 극적 역할과 각 인물의 라이트모티브의 역할, 그로 인해 나타나는 극과 음악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라이트모티브 기법이 단순 선율 반복을 넘어 극적인 전개와 상황의 변화에 기여하며, 이 기법으로 극과 음악의 유기적인 상관성으로 인해 극의 주제와 메시지가 더욱 명확해지고 그에 따른 인물 별 특성이 더욱 부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근간으로 디즈니 뮤지컬 작품의 연대기별 특징과 라이트모티브의 사용 및 극과의 상관성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로 확장해가고자 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6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라이트모티브는 극음악 분야에서 극과 음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음악 기법으로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즈니 뮤지컬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 Dame)〉(2014)에 사용된 라이트 모티브 기법의 역할과 전략을 통해 극과 음악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의 내용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뮤지컬 〈노틀담의 꼽추〉의 2014년도 대본과 2016년도 음원을 기준으로 인물 별 라이트모티브 기법의 특징을 구분하였다. 세부연구 기준으로 극 중 3명의 대표 인물을 설정함으로써 각 인물의 극적 역할과 각 인물의 라이트모티브의 역할, 그로 인해 나타나는 극과 음악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라이트모티브 기법이 단순 선율 반복을 넘어 극적인 전개와 상황의 변화에 기여하며, 이 기법으로 극과 음악의 유기적인 상관성으로 인해 극의 주제와 메시지가 더욱 명확해지고 그에 따른 인물 별 특성이 더욱 부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근간으로 디즈니 뮤지컬 작품의 연대기별 특징과 라이트모티브의 사용 및 극과의 상관성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로 확장해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