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Linking Health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Health Behavioral Intentions 健康风险信息寻求与健康行为意向的关联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7-05-01 DOI: 10.21074/KJLCAP.2017.18.2.293
O. Kwon
{"title":"Linking Health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Health Behavioral Intentions","authors":"O. Kwon","doi":"10.21074/KJLCAP.2017.18.2.293","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2.293","url":null,"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s if people can vary in their seeking of health information depending on their health-related orientations, which are affected by perceived health-related risks. The results suggest perceived health risk has a positive impact on disease-prevention information seeking and disease prevention behaviors whereas it negatively affects health-promotion information seeking and has no impact on intentions to perform health promotion behaviors. People seeking disease prevention information showed greater likelihood to perform disease prevention behaviors without intentions to perform health promotion behaviors. However, people seeking health promotion information only had positive intentions to perform health promotion behaviors irrespective of disease prevention behaviors.","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5806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심리적 거리가 여행사 패키지 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心理距离对旅游套餐商品喜好度的影响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7-05-01 DOI: 10.21074/KJLCAP.2017.18.2.251
송시연, 박종철
{"title":"심리적 거리가 여행사 패키지 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authors":"송시연, 박종철","doi":"10.21074/KJLCAP.2017.18.2.251","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2.251","url":null,"abstract":"기존의 심리적 거리(psychology distance)연구는 시간적 거리(구매시점으로 조작)가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해외여행을 하는 여행지의 공간적 거리의 멀고 가까움. 그리고 여행지의 계절을 시간적 거리로 조작(우리나라와 유사한지, 반대인지)하여, 이것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태도 및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사람들은 바람직함(desira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품질과 관련된 속성에 더 집중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실행가능성(feasi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가격이나 사용의 편리함 등의 속성에 더 집중한 의사결정을 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바람직함 속성과 실행가능성 속성을 여행사 패키지 상품에 맞게 구성하여, 실험 1에서는 공간적 거리에 따른 여행사 패키지 상품의 태도에 대해, 실험 2에서는 계절에 따른 시간적 거리에 의한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실험1의 결과, 사전 국가친숙도 및 매력도가 유사한 2개 나라 중, 공간적 거리가 가까운 나라일 경우, 여행패키지 상품이 고품질 & 고가격상품 일 때보다는 저품질 & 저가격상품일 때 더 선호되었고, 공간적 거리가 먼 나라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공간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항상 고가격 & 고품질의 상품이 선호되는 것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계절에 의한 시간적 거리를 조작하였다. 그 결과 여행지의 계절이 우리나라와 유사할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보다 고품질 &고가격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 구성에 있어 공간적 거리와 계절과 같은 시간적 거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관련 마케팅 실무자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공해준다.","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7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4427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온라인 뉴스 환경에서 태도강도와 과제 유무에 따른 선택적 노출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영향 在网络新闻环境中,态度强度和有无课题的选择性暴露对态度戏剧化的影响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7-05-01 DOI: 10.21074/KJLCAP.2017.18.2.221
Kim, Gho, 신은지
{"title":"온라인 뉴스 환경에서 태도강도와 과제 유무에 따른 선택적 노출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영향","authors":"Kim, Gho, 신은지","doi":"10.21074/KJLCAP.2017.18.2.221","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2.221","url":null,"abstract":"인쇄된 형태의 신문을 보던 시대에서 온라인 뉴스 시대로 변모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정보의 양은 극대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들이 정보처리를 할 때 태도강도와 과제 유무에 따른 선택적 노출과 태도극화를 비교하였다.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과제(유/무)와 태도강도(강한 집단/약한 집단)에 따른 선택적 노출과 태도극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가 없는 조건에서 태도강도가 강한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와 일치하는 정보를 더 많이 자주 보았다. 둘째, 과제가 없는 조건일 때 태도강도가 강한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와 일치하는 정보에 대해 더 많이 회상하였다. 셋째, 선택적 노출을 통해 집단 간 태도극화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태도강도가 강한 집단은 태도가 기존 태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중화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태도강도가 약한 집단은 태도극화가 발생하였다. 이는 태도강도가 강하고 시간적 제약이 없는 과제 없는 조건에 노출된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와 일치하는 정보에 대해 더 많이 보고, 더 많이 기억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이러한 선택적 노출은 기존 태도에도 영향을 미쳐 태도강도가 약한 사람의 경우 극화를, 강한 사람의 경우 중화되는 결과를 초래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 기사를 보는 상황에서 기존 태도에 따른 선택적 노출과 태도극화를 태도강도와 과제 유무에 따라 비교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49940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주제와 모델 유형 및 메시지 전략에 따른 CSR광고효과 根据企业社会贡献活动主题、模特类型及信息战略的CSR广告效果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7-05-01 DOI: 10.21074/KJLCAP.2017.18.2.267
김나미, 유승엽
{"title":"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주제와 모델 유형 및 메시지 전략에 따른 CSR광고효과","authors":"김나미, 유승엽","doi":"10.21074/KJLCAP.2017.18.2.267","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2.26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CSR) 광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SR광고의 주제와 모델 유형 및 메시지 전략에 따른 CSR광고의 광고태도, 구매의도, CSR활동 참여의도에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3 × 2 × 2 요인설계를 통해 12개의 CSR광고물을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CSR광고의 주제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는 없었으나, CSR광고의 모델 유형과 메시지 전략에 따른 광고효과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광고의 경제주제와 환경주제에서는 전문가 유형의 모델이, 사회주제에서는 유명인 유형의 모델이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CSR 광고의 경제주제와 환경주제에서는 정보적 전략이, 사회주제에서는 감정적 전략이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CSR광고의 모델유형과 메시지 전략에 따른 광고효과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CSR광고를 제작할 때 사회공헌 활동 주제에 따라 모델유형과 메시지 전략을 달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하며, CSR광고의 개별 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고려한 효과제고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CSR광고의 제작에 대한 실무적인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11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2947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건강 관련 위험 기저율 정보의 제시 방식에 따른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사회적 거리 지각을 중심으로 健康相关风险基底信息的有效信息策略——以社会距离感知为中心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7-02-01 DOI: 10.21074/kjlcap.2017.18.1.1
Kim Sue-Jung
{"title":"건강 관련 위험 기저율 정보의 제시 방식에 따른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사회적 거리 지각을 중심으로","authors":"Kim Sue-Jung","doi":"10.21074/kjlcap.2017.18.1.1","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1.1","url":null,"abstract":"","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5946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자기해석, 사고유형, 시간적 거리에 따른 가격-품질 판단 根据自我解释、思维类型、时间距离来判断价格和品质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7-02-01 DOI: 10.21074/kjlcap.2017.18.1.67
양윤, 이한슬
{"title":"자기해석, 사고유형, 시간적 거리에 따른 가격-품질 판단","authors":"양윤, 이한슬","doi":"10.21074/kjlcap.2017.18.1.67","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1.67","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개인차 변수인 자기해석, 사고유형과 상황변수인 시간적 거리가 소비자의 가격-품질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1의 결과, 분석적 사고가 점화된 경우보다 종합적 사고가 점화된 경우에 가격-품질 판단이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독립적 자기해석자보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가격-품질 판단을 더 많이 하였다. 실험 2의 결과, 실험 1의 결과와 동일하게 독립적 자기해석자보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가격-품질 판단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시간적 거리가 가까운 경우보다 시간적 거리가 먼 경우에 가격-품질 판단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시간적 거리가 가까운 경우 독립적 자기해석자보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가격-품질 판단을 더 많이 한 반면, 시간적 거리가 먼 경우에는 독립적 자기해석자와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 모두 가격-품질 판단을 보였다.","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20979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유명인 광고모델이 부정적 사건의 피해자가 된 상황에서 소비자의 정당화 과정이 광고모델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 在知名广告模特成为负面事件受害者的情况下,消费者的正当化过程对广告模特的反应产生的影响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7-02-01 DOI: 10.21074/KJLCAP.2017.18.1.27
최지은
{"title":"유명인 광고모델이 부정적 사건의 피해자가 된 상황에서 소비자의 정당화 과정이 광고모델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authors":"최지은","doi":"10.21074/KJLCAP.2017.18.1.27","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1.27","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유명인 광고모델이 연루된 부정적 사건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명인 광고모델에 대한 부정적 사건 중 해당 광고모델의 고의성이 낮은 사건에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사건을 정당화함으로써 해당 광고모델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지 않으려는 소비자 집단의 반응을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보의 정당화 기제를 도덕적 합리화와 도덕적 분리로 분류하였으며, 이러한 정당화가 광고모델의 신뢰성 등에 영향을 미칠 때 사건의 심각성 지각이나 소비자의 자아해석이 이러한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사건의 심각성 지각이 높을수록 도덕적 합리화보다는 도덕적 분리가 소비자 반응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기질적 특성인 자아해석에 따라서 정당화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경향성이 높을수록 도덕적 분리보다는 도덕적 합리화가 소비자 반응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문적으로는 유명인 광고모델 활용과 관련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실무적으로는 유명인 광고모델의 활용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1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32513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Influence of sell-by-date related knowledge and regulatory focus on the intention of consumption about product after sell-by-date 保质期相关知识和监管重点对保质期后产品消费意愿的影响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6-11-01 DOI: 10.21074/KJLCAP.2016.17.4.665
Cheolmin Gim
{"title":"The Influence of sell-by-date related knowledge and regulatory focus on the intention of consumption about product after sell-by-date","authors":"Cheolmin Gim","doi":"10.21074/KJLCAP.2016.17.4.665","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6.17.4.665","url":null,"abstract":"","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4326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Fear,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efficacy in the fear appeal:in the context of cigarette graphic warning 恐惧诉求中的恐惧、感知威胁和感知效能:以香烟图形警告为背景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6-11-01 DOI: 10.21074/KJLCAP.2016.17.4.645
Chun, Seungwoo, P. Woo, JooHyun Kim, Park Junho
{"title":"Fear,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efficacy in the fear appeal:in the context of cigarette graphic warning","authors":"Chun, Seungwoo, P. Woo, JooHyun Kim, Park Junho","doi":"10.21074/KJLCAP.2016.17.4.645","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6.17.4.645","url":null,"abstract":"","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09811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Devote to the Welfare of Human Beings: Types, Motives, and Emotions of Ethical Consumption as Revealed by Social Big Data 致力于人类福祉:社会大数据揭示的伦理消费类型、动机与情感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Pub Date : 2016-11-01 DOI: 10.21074/KJLCAP.2016.17.4.875
정혜정, OhKyungWha
{"title":"Devote to the Welfare of Human Beings: Types, Motives, and Emotions of Ethical Consumption as Revealed by Social Big Data","authors":"정혜정, OhKyungWha","doi":"10.21074/KJLCAP.2016.17.4.875","DOIUrl":"https://doi.org/10.21074/KJLCAP.2016.17.4.875","url":null,"abstract":"","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35 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72733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4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