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心理距离对旅游套餐商品喜好度的影响","authors":"송시연, 박종철","doi":"10.21074/KJLCAP.2017.18.2.251","DOIUrl":null,"url":null,"abstract":"기존의 심리적 거리(psychology distance)연구는 시간적 거리(구매시점으로 조작)가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해외여행을 하는 여행지의 공간적 거리의 멀고 가까움. 그리고 여행지의 계절을 시간적 거리로 조작(우리나라와 유사한지, 반대인지)하여, 이것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태도 및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사람들은 바람직함(desira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품질과 관련된 속성에 더 집중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실행가능성(feasi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가격이나 사용의 편리함 등의 속성에 더 집중한 의사결정을 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바람직함 속성과 실행가능성 속성을 여행사 패키지 상품에 맞게 구성하여, 실험 1에서는 공간적 거리에 따른 여행사 패키지 상품의 태도에 대해, 실험 2에서는 계절에 따른 시간적 거리에 의한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실험1의 결과, 사전 국가친숙도 및 매력도가 유사한 2개 나라 중, 공간적 거리가 가까운 나라일 경우, 여행패키지 상품이 고품질 & 고가격상품 일 때보다는 저품질 & 저가격상품일 때 더 선호되었고, 공간적 거리가 먼 나라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공간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항상 고가격 & 고품질의 상품이 선호되는 것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계절에 의한 시간적 거리를 조작하였다. 그 결과 여행지의 계절이 우리나라와 유사할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보다 고품질 &고가격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 구성에 있어 공간적 거리와 계절과 같은 시간적 거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관련 마케팅 실무자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공해준다.","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7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심리적 거리가 여행사 패키지 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authors\":\"송시연, 박종철\",\"doi\":\"10.21074/KJLCAP.2017.18.2.251\",\"DOIUrl\":null,\"url\":null,\"abstract\":\"기존의 심리적 거리(psychology distance)연구는 시간적 거리(구매시점으로 조작)가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해외여행을 하는 여행지의 공간적 거리의 멀고 가까움. 그리고 여행지의 계절을 시간적 거리로 조작(우리나라와 유사한지, 반대인지)하여, 이것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태도 및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사람들은 바람직함(desira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품질과 관련된 속성에 더 집중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실행가능성(feasi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가격이나 사용의 편리함 등의 속성에 더 집중한 의사결정을 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바람직함 속성과 실행가능성 속성을 여행사 패키지 상품에 맞게 구성하여, 실험 1에서는 공간적 거리에 따른 여행사 패키지 상품의 태도에 대해, 실험 2에서는 계절에 따른 시간적 거리에 의한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실험1의 결과, 사전 국가친숙도 및 매력도가 유사한 2개 나라 중, 공간적 거리가 가까운 나라일 경우, 여행패키지 상품이 고품질 & 고가격상품 일 때보다는 저품질 & 저가격상품일 때 더 선호되었고, 공간적 거리가 먼 나라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공간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항상 고가격 & 고품질의 상품이 선호되는 것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계절에 의한 시간적 거리를 조작하였다. 그 결과 여행지의 계절이 우리나라와 유사할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보다 고품질 &고가격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 구성에 있어 공간적 거리와 계절과 같은 시간적 거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관련 마케팅 실무자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공해준다.\",\"PeriodicalId\":41140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volume\":\"7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2.2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2.2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기존의 심리적 거리(psychology distance)연구는 시간적 거리(구매시점으로 조작)가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해외여행을 하는 여행지의 공간적 거리의 멀고 가까움. 그리고 여행지의 계절을 시간적 거리로 조작(우리나라와 유사한지, 반대인지)하여, 이것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태도 및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사람들은 바람직함(desira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품질과 관련된 속성에 더 집중하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실행가능성(feasibility)속성에 해당되는, 제품의 가격이나 사용의 편리함 등의 속성에 더 집중한 의사결정을 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바람직함 속성과 실행가능성 속성을 여행사 패키지 상품에 맞게 구성하여, 실험 1에서는 공간적 거리에 따른 여행사 패키지 상품의 태도에 대해, 실험 2에서는 계절에 따른 시간적 거리에 의한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실험1의 결과, 사전 국가친숙도 및 매력도가 유사한 2개 나라 중, 공간적 거리가 가까운 나라일 경우, 여행패키지 상품이 고품질 & 고가격상품 일 때보다는 저품질 & 저가격상품일 때 더 선호되었고, 공간적 거리가 먼 나라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공간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항상 고가격 & 고품질의 상품이 선호되는 것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계절에 의한 시간적 거리를 조작하였다. 그 결과 여행지의 계절이 우리나라와 유사할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보다 고품질 &고가격 패키지 상품의 선택확률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 구성에 있어 공간적 거리와 계절과 같은 시간적 거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관련 마케팅 실무자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공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