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Execution of Micro-Credentials in Malaysia: The Challenges and Readiness of Higher Education Leaders 马来西亚微型证书的执行情况:高等教育领导者面临的挑战和准备情况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10-31 DOI: 10.24191/ajue.v19i4.24782
Ahmad Aizuddin Md Rami, Ismi Arif Ismail, Mohd Amin Sarman, N. A. Zulkifly
{"title":"Execution of Micro-Credentials in Malaysia: The Challenges and Readiness of Higher Education Leaders","authors":"Ahmad Aizuddin Md Rami, Ismi Arif Ismail, Mohd Amin Sarman, N. A. Zulkifly","doi":"10.24191/ajue.v19i4.24782","DOIUrl":"https://doi.org/10.24191/ajue.v19i4.24782","url":null,"abstract":"","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140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93089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Meeting the Demands of Higher Education: Examining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nd Academic Challenges 满足高等教育的需求:考察教学实践和学术挑战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10-31 DOI: 10.24191/ajue.v19i4.24795
Nurul Fitriah Alias, Rafiza Abdul Razak
{"title":"Meeting the Demands of Higher Education: Examining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nd Academic Challenges","authors":"Nurul Fitriah Alias, Rafiza Abdul Razak","doi":"10.24191/ajue.v19i4.24795","DOIUrl":"https://doi.org/10.24191/ajue.v19i4.24795","url":null,"abstract":"","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10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93063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Gamification in Learning: Students’ Motiv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Business Using Quizizz 学习中的游戏化:使用 Quizizz 学习商务:学生的学习动机和认知参与度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10-31 DOI: 10.24191/ajue.v19i4.24928
Zainun Amirah Zainudin, Norehan Zulkiply
{"title":"Gamification in Learning: Students’ Motiv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Business Using Quizizz","authors":"Zainun Amirah Zainudin, Norehan Zulkiply","doi":"10.24191/ajue.v19i4.24928","DOIUrl":"https://doi.org/10.24191/ajue.v19i4.24928","url":null,"abstract":"","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12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930727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of Stigma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利用关键词网络分析柱头病研究趋势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09-30 DOI: 10.15753/aje.2023.9.24.3.475
Hyeseon Son, Jeonghu Seol, Seongmoon Cheon
{"title":"Analysis of Stigma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authors":"Hyeseon Son, Jeonghu Seol, Seongmoon Cheon","doi":"10.15753/aje.2023.9.24.3.475","DOIUrl":"https://doi.org/10.15753/aje.2023.9.24.3.47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티그마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들 중 ‘스티그마’, ‘낙인’과 관련된 연구 112편에서 논문의 키워드 1200개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 과정을 거쳐 고빈도 단어를 기반으로 주요 단어 50개를 추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 Textom과 UCINET 6로 키워드 간 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낙인과 동시에 출현한 키워드 중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자아존중감, 스티그마, 사회적낙인, 질적연구 순이었다. 둘째,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낙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우울 키워드는 스티그마 전체네트워크에서 높은 밀도로 영향력이 있는 키워드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충족적, 보호요인, 조직적 스티그마, 연관성에 의한 스티그마적 요소들에 집중적으로 연결된 군집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스티그마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Developing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for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职前小学教师教学能力与人格品质评估工具之开发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09-30 DOI: 10.15753/aje.2023.9.24.3.527
SoonAh Lee, Chan-hee Han, SungKwang Choi, Hayeon Kim
{"title":"Developing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for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authors":"SoonAh Lee, Chan-hee Han, SungKwang Choi, Hayeon Kim","doi":"10.15753/aje.2023.9.24.3.527","DOIUrl":"https://doi.org/10.15753/aje.2023.9.24.3.52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를 위한 교직 적·인성 질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것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직 적·인성 평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현직 초등교사 대상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s, FGI)을 실시하여 교직 적·인성 내용요소를 영역별로 구조화한 뒤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문가 그룹 다각화 및 예비초등교사 대상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개발 문항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4가지 평가 하위영역-인지 역량, 정서 역량, 교직수행 역량, 교직윤리 역량-에서 14개의 교직 적·인성 내용요소를 평가하는 11개의 현장 밀착형 질적 평가 문항이 개발되었고, 이는 현행 교직 적·인성 평가도구를 보완하거나 부분 대체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직 적·인성 질적 평가도구는 양적 평가 위주의 기존 평가도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예비교사의 교직 적·인성 질적 수준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교육적 함의가 있다. 이 평가도구가 향후 예비초등교사의 교직 적・인성을 타당하고 적절하게 평가하는 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2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参与寄宿制托儿机构儿童网上基本识字教育计划之成员之经验与感悟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09-30 DOI: 10.15753/aje.2023.9.24.3.443
Pyung-Gang Jung, Gahee Jung, Gayeong Kim, Jung Hun Kim
{"title":"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authors":"Pyung-Gang Jung, Gahee Jung, Gayeong Kim, Jung Hun Kim","doi":"10.15753/aje.2023.9.24.3.443","DOIUrl":"https://doi.org/10.15753/aje.2023.9.24.3.44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13명과 기관 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시작, 내가 경험한 프로그램의 특징,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 프로그램의 보완점, 새로운 발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 5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14개 주제모음과 36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에는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해 의심과 기대가 공존하였으나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점차 효과성에 만족하고, 아동과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하는 등의 인식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에게 실행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적인 제안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toward a new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教育共同体概念的系统文献综述:迈向教育共同体的新概念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09-30 DOI: 10.15753/aje.2023.9.24.3.499
Kyubin Lee, Sung-Sang Yoo
{"title":"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toward a new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authors":"Kyubin Lee, Sung-Sang Yoo","doi":"10.15753/aje.2023.9.24.3.499","DOIUrl":"https://doi.org/10.15753/aje.2023.9.24.3.49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육공동체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총 16편의 ‘교육공동체’ 개념을 다루는 문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로 초기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교육공동체’의 형태를 구상하다가, 이후에는 ‘개별 주체를 드러내는 교육공동체’ 개념을 논의했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타자를 향하며 다름을 인정하는 교육공동체’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육공동체의 ‘참여주체’와 ‘교육’의 정의가 교육공동체 정의방식에 따라 상이함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공동체 사유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기존의 논의가 ‘기존 공동체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공동체를 사유’한다는 점을 들어 낭시와 블랑쇼의 존재론적 공동체를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살핌으로써 공동체 사유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교육공동체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를 비판적으로 망라하고자 했던 시도는 극히 드물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그 간극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1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xploring the longitudinal trends and major predi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中学生学校适应的纵向趋势及主要预测因素探讨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09-30 DOI: 10.15753/aje.2023.9.24.3.587
Eunah Jang, Hyewon Chung
{"title":"Exploring the longitudinal trends and major predi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authors":"Eunah Jang, Hyewon Chung","doi":"10.15753/aje.2023.9.24.3.587","DOIUrl":"https://doi.org/10.15753/aje.2023.9.24.3.58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적응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학교적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KELS2013) 3-5차년도(중1-중3) 데이터에 종단자료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법인 SEMforest(Structural Equation Model forest)를 적용함으로써, 중학생의 학교적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학생 및 부모, 학교 변인을 광범위하게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교적응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와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 변인 모형에서는 ‘자아개념’, ‘공동체의식’, ‘교사특성(교사열의)’, ‘수업방식(상호작용, 개별화)’, ‘진로성숙도’, ‘자기관리’, ‘정신건강’, ‘학생의견반영 정도’, ‘행동조절전략(노력조절)’이 학교적응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도 높은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부모 변인 모형에서는 ‘학업적 지원’, ‘학교 만족도(학교 만족도, 학교의 안전, 전반적 만족도)’, ‘전반적 정보 제공’,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이 선택되었으며, 학교 변인 모형에서는 ‘컴퓨터 보유 현황(교원용)’, ‘총 학급 수’, ‘총 교원 수’가 상위 중요도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1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y 大学生开放性与心理健康的关系:情绪智力和自我弹性的序贯中介作用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09-30 DOI: 10.15753/aje.2023.9.24.3.613
Na-Rae Kim, Ji Geun Kim
{"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y","authors":"Na-Rae Kim, Ji Geun Kim","doi":"10.15753/aje.2023.9.24.3.613","DOIUrl":"https://doi.org/10.15753/aje.2023.9.24.3.61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학생 346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 심리적 안녕감, 정서지능, 자아탄력성은 서로 간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개방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부분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개방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개방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방성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개방성 향상, 정서지능 훈련 프로그램, 자아탄력성 증진 방안 등 대학생을 위한 심리 및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논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44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xploring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atent group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of Korean child and adolescents 从韩国儿童青少年社会情感技能潜在群体类型探讨学校生活适应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Pub Date : 2023-09-30 DOI: 10.15753/aje.2023.9.24.3.557
Hyunjin Kim, YoonJung Cho, Junyeop Kim, Minseong Kim
{"title":"Exploring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atent group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of Korean child and adolescents","authors":"Hyunjin Kim, YoonJung Cho, Junyeop Kim, Minseong Kim","doi":"10.15753/aje.2023.9.24.3.557","DOIUrl":"https://doi.org/10.15753/aje.2023.9.24.3.55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 잠재집단 유형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OECD 국가별 1개 도시의 10세와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비교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D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의 10세 초등학생(10세 코호트)과 15세 중·고등학생(15세 코호트)을 대상으로 한 자료이다. 5개 요인(과제수행, 정서조절, 협력, 개방성, 타인관계)으로 구성된 사회정서역량의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잠재집단을 추출하고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사회적·학업적 적응)을 살펴볼 수 있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정서역량 수준에 따른 4집단(상- 중상-중하-하 집단)이 도출되었고, 사회정서역량이 낮은 ‘하’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상’집단에 속한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적응(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 소속감)과 학업적 적응(학업 적응·부적응, 학업 불안)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정서역량이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교육적 실행 방안을 논의하였다는 데 교육적 함의가 있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45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