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jin Kim, YoonJung Cho, Junyeop Kim, Minseong Kim
{"title":"从韩国儿童青少年社会情感技能潜在群体类型探讨学校生活适应","authors":"Hyunjin Kim, YoonJung Cho, Junyeop Kim, Minseong Kim","doi":"10.15753/aje.2023.9.24.3.55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 잠재집단 유형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OECD 국가별 1개 도시의 10세와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비교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D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의 10세 초등학생(10세 코호트)과 15세 중·고등학생(15세 코호트)을 대상으로 한 자료이다. 5개 요인(과제수행, 정서조절, 협력, 개방성, 타인관계)으로 구성된 사회정서역량의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잠재집단을 추출하고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사회적·학업적 적응)을 살펴볼 수 있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정서역량 수준에 따른 4집단(상- 중상-중하-하 집단)이 도출되었고, 사회정서역량이 낮은 ‘하’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상’집단에 속한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적응(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 소속감)과 학업적 적응(학업 적응·부적응, 학업 불안)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정서역량이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교육적 실행 방안을 논의하였다는 데 교육적 함의가 있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xploring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atent group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of Korean child and adolescents\",\"authors\":\"Hyunjin Kim, YoonJung Cho, Junyeop Kim, Minseong Kim\",\"doi\":\"10.15753/aje.2023.9.24.3.55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 잠재집단 유형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OECD 국가별 1개 도시의 10세와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비교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D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의 10세 초등학생(10세 코호트)과 15세 중·고등학생(15세 코호트)을 대상으로 한 자료이다. 5개 요인(과제수행, 정서조절, 협력, 개방성, 타인관계)으로 구성된 사회정서역량의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잠재집단을 추출하고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사회적·학업적 적응)을 살펴볼 수 있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정서역량 수준에 따른 4집단(상- 중상-중하-하 집단)이 도출되었고, 사회정서역량이 낮은 ‘하’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상’집단에 속한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적응(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 소속감)과 학업적 적응(학업 적응·부적응, 학업 불안)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정서역량이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교육적 실행 방안을 논의하였다는 데 교육적 함의가 있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5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5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Exploring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atent group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of Korean child and adolescents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 잠재집단 유형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OECD 국가별 1개 도시의 10세와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비교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D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의 10세 초등학생(10세 코호트)과 15세 중·고등학생(15세 코호트)을 대상으로 한 자료이다. 5개 요인(과제수행, 정서조절, 협력, 개방성, 타인관계)으로 구성된 사회정서역량의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잠재집단을 추출하고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사회적·학업적 적응)을 살펴볼 수 있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정서역량 수준에 따른 4집단(상- 중상-중하-하 집단)이 도출되었고, 사회정서역량이 낮은 ‘하’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상’집단에 속한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적응(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 소속감)과 학업적 적응(학업 적응·부적응, 학업 불안)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정서역량이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교육적 실행 방안을 논의하였다는 데 교육적 함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