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longitudinal trends and major predi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Q2 Social Sciences
Eunah Jang, Hyewon Chung
{"title":"Exploring the longitudinal trends and major predi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authors":"Eunah Jang, Hyewon Chung","doi":"10.15753/aje.2023.9.24.3.58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적응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학교적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KELS2013) 3-5차년도(중1-중3) 데이터에 종단자료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법인 SEMforest(Structural Equation Model forest)를 적용함으로써, 중학생의 학교적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학생 및 부모, 학교 변인을 광범위하게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교적응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와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 변인 모형에서는 ‘자아개념’, ‘공동체의식’, ‘교사특성(교사열의)’, ‘수업방식(상호작용, 개별화)’, ‘진로성숙도’, ‘자기관리’, ‘정신건강’, ‘학생의견반영 정도’, ‘행동조절전략(노력조절)’이 학교적응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도 높은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부모 변인 모형에서는 ‘학업적 지원’, ‘학교 만족도(학교 만족도, 학교의 안전, 전반적 만족도)’, ‘전반적 정보 제공’,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이 선택되었으며, 학교 변인 모형에서는 ‘컴퓨터 보유 현황(교원용)’, ‘총 학급 수’, ‘총 교원 수’가 상위 중요도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5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적응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학교적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KELS2013) 3-5차년도(중1-중3) 데이터에 종단자료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법인 SEMforest(Structural Equation Model forest)를 적용함으로써, 중학생의 학교적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학생 및 부모, 학교 변인을 광범위하게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교적응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와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 변인 모형에서는 ‘자아개념’, ‘공동체의식’, ‘교사특성(교사열의)’, ‘수업방식(상호작용, 개별화)’, ‘진로성숙도’, ‘자기관리’, ‘정신건강’, ‘학생의견반영 정도’, ‘행동조절전략(노력조절)’이 학교적응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도 높은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부모 변인 모형에서는 ‘학업적 지원’, ‘학교 만족도(학교 만족도, 학교의 안전, 전반적 만족도)’, ‘전반적 정보 제공’,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이 선택되었으며, 학교 변인 모형에서는 ‘컴퓨터 보유 현황(교원용)’, ‘총 학급 수’, ‘총 교원 수’가 상위 중요도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中学生学校适应的纵向趋势及主要预测因素探讨
本研究的目的是观察中学生适应学校的变化情况,导出影响学校适应变化的主要预测因素。为此,韩国教育纵向研究,2013 (kels2013) 3 - 5次年度(中1 - 3)纵贯资料的特点,反映在数据机可以跑步的技法semforest (structural equation model适用国家公园),从而影响,中学生的学校适应变化的核心学生及父母、学校边的广泛探索尝试。主要研究结果是:第一,中学生对学校的适应随着年级的提高而有所减少,初期值和变化率在统计上被确认有明显的个人差异。第二,学生的模型,在“자아개념”、“共同体意识”、“教师特点(热情)”、“教师授课方式来打造最初)”、“真露(互动、成熟度”、“自我管理”、“健康”、“学生意见反映程度”、“行动战略(努力)”调节适应学校的变化来预测是一个重要也高的变化,得出了。父母边的模型中,“学业上的支援”,“学校满意度(满意度,学校的安全,整体满意度)”、“整体提供信息”、“与子女共同的活动,选择了学校边的模具中,《计算机拥有现状(教师用)”、“总班数”、“教师总数的人因上游重要也变得出了。以以上研究结果为基础,提出了帮助中学生适应学校的教育启示。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Social Sciences-Education
CiteScore
4.30
自引率
0.00%
发文量
94
审稿时长
20 week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