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toward a new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Q2 Social Sciences
Kyubin Lee, Sung-Sang Yoo
{"title":"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toward a new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authors":"Kyubin Lee, Sung-Sang Yoo","doi":"10.15753/aje.2023.9.24.3.49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육공동체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총 16편의 ‘교육공동체’ 개념을 다루는 문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로 초기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교육공동체’의 형태를 구상하다가, 이후에는 ‘개별 주체를 드러내는 교육공동체’ 개념을 논의했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타자를 향하며 다름을 인정하는 교육공동체’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육공동체의 ‘참여주체’와 ‘교육’의 정의가 교육공동체 정의방식에 따라 상이함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공동체 사유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기존의 논의가 ‘기존 공동체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공동체를 사유’한다는 점을 들어 낭시와 블랑쇼의 존재론적 공동체를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살핌으로써 공동체 사유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교육공동체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를 비판적으로 망라하고자 했던 시도는 극히 드물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그 간극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4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육공동체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총 16편의 ‘교육공동체’ 개념을 다루는 문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로 초기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교육공동체’의 형태를 구상하다가, 이후에는 ‘개별 주체를 드러내는 교육공동체’ 개념을 논의했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타자를 향하며 다름을 인정하는 교육공동체’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육공동체의 ‘참여주체’와 ‘교육’의 정의가 교육공동체 정의방식에 따라 상이함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공동체 사유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기존의 논의가 ‘기존 공동체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공동체를 사유’한다는 점을 들어 낭시와 블랑쇼의 존재론적 공동체를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살핌으로써 공동체 사유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교육공동체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를 비판적으로 망라하고자 했던 시도는 극히 드물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그 간극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教育共同体概念的系统文献综述:迈向教育共同体的新概念
本研究的目的是批判地考察教育共同体是如何概念化的,进而观察如何思维新的教育共同体。为此,使用系统的文献考察方法,查看了2000年以后在国内出版的共16篇关于“教育共同体”概念的文献。研究结果表明,主要在初期研究中构想“为达到共同目的的教育共同体”的形态,之后又讨论了“体现个别主体的教育共同体”的概念。而且,最近讨论的方向是重新定义为“向着他人承认不同的教育共同体”。另外,教育共同体的“参与主体”和“教育”的定义根据教育共同体定义的方式有所不同。以研究结果为基础,讨论了新的教育共同体思维的可能性。以现有的讨论“克服现有共同体概念的局限性”、“以关系为中心思维教育共同体”为例,以朗西和布朗肖的存在论共同体为基础,观察了新的共同体如何实现。本研究通过观察此前韩国对“教育共同体”的处理方式,探索了共同体思维转换的可能性,从这一点来看具有重大意义。此前,韩国对教育共同体进行了很多讨论,但很少有人试图批判性地将其包括在内,从这一点看,该研究起到了弥补这一差距的作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Social Sciences-Education
CiteScore
4.30
自引率
0.00%
发文量
94
审稿时长
20 week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