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onAh Lee, Chan-hee Han, SungKwang Choi, Hayeon Kim
{"title":"Developing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for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authors":"SoonAh Lee, Chan-hee Han, SungKwang Choi, Hayeon Kim","doi":"10.15753/aje.2023.9.24.3.52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를 위한 교직 적·인성 질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것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직 적·인성 평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현직 초등교사 대상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s, FGI)을 실시하여 교직 적·인성 내용요소를 영역별로 구조화한 뒤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문가 그룹 다각화 및 예비초등교사 대상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개발 문항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4가지 평가 하위영역-인지 역량, 정서 역량, 교직수행 역량, 교직윤리 역량-에서 14개의 교직 적·인성 내용요소를 평가하는 11개의 현장 밀착형 질적 평가 문항이 개발되었고, 이는 현행 교직 적·인성 평가도구를 보완하거나 부분 대체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직 적·인성 질적 평가도구는 양적 평가 위주의 기존 평가도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예비교사의 교직 적·인성 질적 수준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교육적 함의가 있다. 이 평가도구가 향후 예비초등교사의 교직 적・인성을 타당하고 적절하게 평가하는 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52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를 위한 교직 적·인성 질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것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직 적·인성 평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현직 초등교사 대상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s, FGI)을 실시하여 교직 적·인성 내용요소를 영역별로 구조화한 뒤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문가 그룹 다각화 및 예비초등교사 대상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개발 문항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4가지 평가 하위영역-인지 역량, 정서 역량, 교직수행 역량, 교직윤리 역량-에서 14개의 교직 적·인성 내용요소를 평가하는 11개의 현장 밀착형 질적 평가 문항이 개발되었고, 이는 현행 교직 적·인성 평가도구를 보완하거나 부분 대체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직 적·인성 질적 평가도구는 양적 평가 위주의 기존 평가도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예비교사의 교직 적·인성 질적 수준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교육적 함의가 있다. 이 평가도구가 향후 예비초등교사의 교직 적・인성을 타당하고 적절하게 평가하는 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本研究的目的是开发针对预备小学教师的教职性、人性质量评价工具,并验证其妥当性。为此,对教职性、人性评价相关的先行研究进行分析,以现任小学教师为对象实施焦点集体面谈(Focus Group Interviews, FGI),将教职性、人性内容要素按领域结构化之后,开发了评价问题。另外,通过专家集团多元化及以预备小学教师为对象的飞行员测试,对开发项目的妥当性进行了验证。作为本研究的结果4种评价下游领域-认知能力、情绪力量、教职执行力量交织在伦理力量- 14个教职、人性内容要素的11个贴近现场质量评价开发出了题,这是现行的教职、完善人性평가도구或部分替代的方式,因此可以利用。通过本研究开发的教职性、人性质量评价工具与以量的评价为主的现有评价工具难以把握的预备教师的教职性、人性质量水平存在差异,从这一点来看,具有学术、教育意义。希望这一评价工具今后能够有效、适当地评价预备小学教师的教职性和人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