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ni'meisyeon yeon'gu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Animation Investment Based on the Case of Loc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Investment Associations 基于地方机构参与投资协会案例的动漫投资研究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108
So-Young Kim
{"title":"Animation Investment Based on the Case of Loc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Investment Associations","authors":"So-Young Kim","doi":"10.51467/asko.2023.09.19.3.108","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108","url":null,"abstract":"지역 기관의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지역의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투자는 지역 내 문화콘텐츠 기업에 대한 투자로 이어지는데, 이는 기존에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도권 쏠림화 현상을 막고, 관련 인력들의 지자체로의 유입을 통해 지역 활성화를 이루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지역 내 문화콘텐츠 기업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서울시의 서울경제진흥원과 광주광역시의 아시아문화산업 중심도시가 있다. 두 곳 모두 지역 내 문화콘텐츠 기업에 대한 활발한 투자를 위해 펀드 출자자로 투자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지만, 세부적으로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경우, 높은 제작비가 필요한 산업이라는 점에서 제작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지원 사업을 통해 제작비를 유치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인 투자 방안이지만, 지원 사업은 한정된 재원 내에서 소규모 투자만 진행된다는 점에서 지원 사업 외의 자금 투자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특히나 애니메이션 산업이 기존의 지역 연계 콘텐츠 투자 펀드로부터 투자받은 사실이 있다는 점은 또 다른 투자 방안이라는 점에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목할만하다. 이는 해당 지역의 문화콘텐츠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지역의 기업에겐 또 다른 좋은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 논문에서는 지역 공기관의 애니메이션 투자 사례를 통해 지역에서의 문화콘텐츠 산업 투자 의의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지역에서의 애니메이션 산업과 같은 문화콘텐츠 산업 투자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사례와 광주광역시의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두 사례의 의의와 현황, 그리고 한계점 연구를 통해 향후 지역 연계 콘텐츠 투자 펀드 조성 시 주목할 만한 몇몇 사안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5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79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imation 〈Toy Story〉 Changes in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 Focusing on Feminist Perspective 动画片《玩具总动员》女性角色表现的变化:以女性主义视角为中心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308
Young-Won Jo, Sang-Jung Kwon
{"title":"Animation 〈Toy Story〉 Changes in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 Focusing on Feminist Perspective","authors":"Young-Won Jo, Sang-Jung Kwon","doi":"10.51467/asko.2023.09.19.3.308","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308","url":null,"abstract":"애니메이션은 주로 비판적 수용 능력이 낮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반복적으로 감상하는 경우가 많아 표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콘텐츠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정형성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1995년 처음 공개된 후 2019년 4편까지 공개된 작품 〈토이 스토리〉를 젠더 고정관념과 여성주의 정체성 모형에 근거해 분석했다. 〈토이 스토리〉는 작품성과 대중성이 뛰어난 작품이면서 25년이라는 세월 동안 하나의 세계관 아래 캐릭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난감의 세계라는 설정으로 인해 하나의 작품 안에서 성 역할에 대한 다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본 여성 캐릭터는 제시에서 바비, 보를 거치면서 외형적으로는 활동적이지만 결정적인 순간 남성 캐릭터의 도움을 기다리는 수동 캐릭터에서 외형적으로는 전형적인 여성이지만, 독립적이면서 자기주도적인 인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람이 가지고 놀 때 1편과 2편에서는 수동적이고 도움을 기다리는 여성과 자신의 감정 표현에 적극적인 여성으로 그 괴리감이 컸지만, 4편에서는 놀이를 할 때나 캐릭터 자신일 때의 모습이 크게 다르지 않아 그 괴리감이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토이 스토리〉의 다층구조 속에서는 남성과 여성에게 각각 적절한 성 역할이 있고 그에 맞는 사회적 역할 수행을 강요하는 젠더 고정관념이 잘 드러나고 있으며, 1편에서 4편까지 시리즈의 확장 과정에서는 남성 중심 문화 속에서의 여성이 그러한 현실을 깨닫고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해나가는 여성주의 정체성 모형이론이 잘 투영돼 있음을 알 수 있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3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Representation of Capitalist Carnivorous Food Culture and its Critique in 〈Ok ja〉(2017) 资本主义肉食文化在《Ok ja》(2017)中的表现及其批判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82
Mi-Hwa Jang
{"title":"The Representation of Capitalist Carnivorous Food Culture and its Critique in 〈Ok ja〉(2017)","authors":"Mi-Hwa Jang","doi":"10.51467/asko.2023.09.19.3.82","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82","url":null,"abstract":"봉준호의 2017년 영화 〈옥자〉는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를 활용해 실사와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새로운 시각 효과를 선보였다. 이 영화에서 슈퍼 돼지 옥자의 재현은 동시대 신자유주의가 가성비 높은 육류를 개발하기 위해 동물을 비도덕적으로 착취하는 면을 고발한다. 비인간적인 존재로서 동물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감정과 고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3D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가상 배우 옥자의 고통은 동물의 권리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고 있다. 이 영화는 오늘날의 음식 문화에서 육식 위주의 서구 문화가 가진 비도덕적인 면을 자본가 루시, 낸시와 한국의 소녀 미자의 대립 구도로 나타내고 서사적으로 자본주의가 생산한 공간들을 경유한다. 이에 한국의 강원도 산골이 판타지적인 공간으로 나타나면서 서양의 음식 문화에 대한 대안적인 문화가 제시된다. 영화의 초반에 강원도 산골에서 옥자와 미자의 일상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재현된다. 이 공간은 서구 육식 문화와는 다른 동물에 대한 관점을 나타낸다. 이 논문은 〈옥자〉의 공간과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실사 이미지가 합성된 영화 속의 옥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영화적 재현에서 주장하는 동물의 권리에 대해서 도덕적인 차원에서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인간과 마찬가지로 동물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해도 인간이 동물을 잔혹하게 도살하는 방식은 도덕적으로 옳지 못하다. 시작과 끝에서 반복되는 공간은 그러한 육식 소비문화가 야기하는 불안 심리를 반영한다. 이 영화에서 공간의 순환성은 프로이트적인 반복 강박을 드러낸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의 유토피아란 불가능하다는 데에서 오는 불안을 반영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Exploring Pedagogical Methods Using Transmedia of Virtual Convergence Metaverse 虚拟聚合元宇宙跨媒体教学方法探索研究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149
Jeong-A Park, Wan-Seop Kim
{"title":"A Study on Exploring Pedagogical Methods Using Transmedia of Virtual Convergence Metaverse","authors":"Jeong-A Park, Wan-Seop Kim","doi":"10.51467/asko.2023.09.19.3.149","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14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현대 교육에 가상 융합 메타버스와 트랜스미디어 러닝 학습법을 효과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을 탐구하고 제안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주로 혁신적인 교수 학습 모형과 교수법을 개발 중인 교양학부의 참여형 교수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적 공간과 가상 메타버스가 융합된 환경에서 트랜스미디어 활용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연구하였다.BR트랜스미디어의 교수 학습 활용은 새로운 기술 변화와 뉴미디어, 디바이스의 융합을 통해 가능해지며,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로써 교육의 접근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학생들의 참여 촉진, 학습 성과 향상 및 유연한 학습 환경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근법은 학문 분야에서도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기술과 융합, 교수 학습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BR앞으로의 연구 방향으로는 가상 융합 메타버스와 트랜스미디어를 융합한 인게이지 러닝의 다양한 교수 학습 모델의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된다. 이를 위해서는 변화하는 기술과 교육 콘텐츠의 융합을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또한, 가상 융합 메타버스에서의 트랜스미디어 활용 연구는 구체화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탐색과 제안 연구로 시작하여 실제 실행에 도달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중요하다.BR이러한 노력과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기술 융합을 통한 교육 전략을 구축하고,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따라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도 혁신적인 교수 학습 모델의 개발과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탐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1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Effect of Game Mechanisms in VR Movies on Emotional Cognition VR电影中游戏机制对情绪认知的影响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62
Jiadong Shen, Yong-Soo Lee
{"title":"The Effect of Game Mechanisms in VR Movies on Emotional Cognition","authors":"Jiadong Shen, Yong-Soo Lee","doi":"10.51467/asko.2023.09.19.3.62","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62","url":null,"abstract":"초기의 VR 영화는 일반적으로 360도 파노라마 영상 형식으로 구현되어 관객은 가상현실 안경이나 머리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통해 체험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VR 영화는 전통적인 영화 관람에 대한 시각과 각도의 확장으로 시청각 언어 측면에서 큰 변화가 없었으며 둘 다 수동적 관람이다. 상호작용성은 VR 영화 발전의 중요한 방향이며, 이는 VR 영화가 전통 영화와 본질적으로 차별화되는 특성이다.BRVR 영화는 상호작용, 게임 메커니즘 및 스토리를 결합하여 관객이 영화 내용의 발전과 결말에 더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시청자는 핸들, 터치 장치 또는 신체 동작을 통해 영화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가상 환경의 캐릭터와 상호작용하거나 줄거리에 참여할 수도 있다. 상호작용성과 스토리성이 결합된 이러한 VR 영화는 관객들에게 더욱 풍부하고 몰입감 있고 개성화된 영화 관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BR스토리에서 감정 인지는 사람들이 영화 줄거리를 인식하고 이해할 때 감정과 정서를 포함한 인지 과정을 말한다. 감정 인지를 통해 관객은 영화와 더 깊은 감정을 연결하고 풍부한 감정적 내용을 경험하며 영화 관람 체험의 질과 개인의 감정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BR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서사 과정에서 시청자가 감정 인지를 갖도록 유도하는 데 필요한 조건 및 그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또한 VR 영화에 게임 메커니즘을 추가한 후 게임 메커니즘의 네 가지 특성이 이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창작자의 관점에서 VR 영화와 게임 메커니즘을 결합한 창작에 참조할 아이디어와 방법론을 제공하고자 한다.BR게임에는 네 가지 메커니즘이 있는데, 창작자는 게임의 창작 방법과 특성을 VR 영화에 통합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사의 전송 과정을 실현하여 관객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영화 줄거리를 감지하고 이해하고 감정 인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VR 영화에서 게임 메커니즘의 사용은 서사의 전 과정을 관통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를 통해 감정 인지의 생성을 ‘현장 감각, 몰입감, 공감, 플로우(flow) 체험’의 네 가지 조건으로 요약했다. 창작자는 게임의 메커니즘을 이 네 가지 조건에 통합하여 각 조건에 능동성과 상호작용성을 증가시키고 더 나은 시청각 체험과 상호작용 방법을 제공하여 감정 인지의 생성을 보장할 수 있다.BR〈Crow: The Legend〉 사례 분석에 따르면 VR 영화에서 감정 인지의 발생은 ‘현장 감각, 몰입감, 공감, 플로우 체험","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17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Industry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the Cse of Kenya 发展中国家动漫产业发展方向研究——以肯尼亚动漫产业为例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263
Sunyoung Lee, Sungjin Lee
{"title":"A Study on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Industry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the Cse of Kenya","authors":"Sunyoung Lee, Sungjin Lee","doi":"10.51467/asko.2023.09.19.3.263","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263","url":null,"abstract":"애니메이션 산업화 추진은 일자리 창출, 문화 향유 기반 마련, 국가적 기술 선도 이미지를 제고한다. 애니메이션은 노동 집약적 콘텐츠로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한다. 애니메이션 제작기술을 보유하는 것은 자국 내의 콘텐츠 제작뿐 아니라 해외 콘텐츠 제작까지 가능하므로 지속이 가능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도상국이 애니메이션 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개발도상국 중 하나인 케냐는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 의지가 높다. 하지만 케냐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전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장비, 소프트웨어, 인력 등에 대한 자원이 부족하다. 이는 애니메이션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인프라 중 하나이다. 또한 제작을 위한 제작사와 제작 노하우를 축적하고, 국내외 유통 채널 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이런 케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중 나선 모델을 중심으로 케냐의 애니메이션 산업을 분석하고 정부와 산업, 대학의 협력 관계 구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제작사와 연구자, 협회, 정부 등의 각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각 분야에서 진행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작사는 창작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하며, 협회는 정부와 제작사를 잇고 애니메이션 제작업에 종사하고 싶은 사람들의 권리를 마련해야 한다. 연구소는 학교와 교육 기관 내에 애니메이션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정부는 이러한 각 분야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단계별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케냐는 유럽권 국가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적극적인 시장 진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케냐에서 제작하고 있는 창작 애니메이션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콘텐츠 판매를 위한 전략보다 마케팅 DB를 구축하고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 기반을 마련하는 동안 마케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의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영상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을 선도하는 것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신기술을 확보하여 신성장 동력으로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자국 내에서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를 이루는 것은 어린아이들과 청소년들이 교육적이고 재미있게 예술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풍요로운 문화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으로, 자국민의 문화 향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노력은 케냐의 콘텐츠 위상 정책에도 영향을 주어 콘텐츠 글로벌화 이미지를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61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Narrative Features of Yuri Norstein"s Work, Centered on the Communication of Themes through Poetic Images 尤里·诺斯坦作品的叙事特征研究——以诗意意象的主题传达为中心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169
Seouck-ki Yun
{"title":"A Study on The Narrative Features of Yuri Norstein\"s Work, Centered on the Communication of Themes through Poetic Images","authors":"Seouck-ki Yun","doi":"10.51467/asko.2023.09.19.3.169","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169","url":null,"abstract":"러시아를 대표하는 애니메이터로서 러시아형 애니메이션 장르를 확립한 인물인 유리 놀슈테인의 대표적인 작품을 바탕으로 주제 전달 중심의 작품 속 서사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BR작가는 제작 방식으로 컷-아웃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였는데, 컷-아웃 애니메이션이 갖는 한계인 2차원적 평면성과 부자연스러운 캐릭터의 움직임을 멀티플레인 애니메이션 촬영 시스템을 특수 제작하여 극복하고자 하였다.BR그의 작품 〈이야기 속의 이야기〉(1979)의 쇼트는 비서사적 연결을 통해 쇼트가 단순화 및 파편화되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의 의미 전달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이는 현대 영화의 파편화 경향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뱅상 아미엘의 ‘몽타주의 미학’에서 소개된 서사, 담론, 대응 몽타주의 세 가지 유형에서 이미지 내면에서 어떤 새로운 울림을 생산하는 대응 몽타주를 의미하며, 활용된 작품은 작가주의적이거나 시각 영상적인 작품으로 평하는데, 유리 놀슈테인의 작품 〈이야기 속의 이야기〉(1979)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속에서의 서사 특성은 파편화된 쇼트로 구성되어 대응 몽타주를 통한 주제 의식 전달 확장과 시적 몽타주 영상을 통한 반복의 결과로 나타나는 특이성의 차이에 대한 심미적, 철학적 의미를 묘화로 표현된 회화적인 이미지에 보이지 않는 내면화 의식도 같이 포함한다. 또한 그의 서사성은 은유와 환유의 상징적 영상을 근간으로 서사 속의 비서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주제 의식 및 새로운 인식의 차원에 대한 확장을 강조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22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f Improvement Plans on Tax Reliefs Supporting Animated Audio-Visual Production 支持动画视听制作的税收减免改进方案研究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328
Jin-Bong Choi
{"title":"A Study of Improvement Plans on Tax Reliefs Supporting Animated Audio-Visual Production","authors":"Jin-Bong Choi","doi":"10.51467/asko.2023.09.19.3.328","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328","url":null,"abstract":"최근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우리나라의 영상 콘텐츠가 전 세계의 관심과 주목을 받게 되면서 K-콘텐츠의 경쟁력이 향상되고,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과 국민들의 자긍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K-콘텐츠의 국제적 경쟁력 향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영상 콘텐츠 제작 현장은 여전히 열악한 상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영상 콘텐츠 제작비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턱없이 낮아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우리나라 영상 콘텐츠 산업의 육성을 위해 국내 영상 콘텐츠 사업자들이 해외 영상 콘텐츠 사업자들과의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해외 국가들의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영상 콘텐츠 사업자들이 해외 사업자들과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적절한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의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첫째, 국내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의 공제율을 대기업 10%, 중견기업 15%, 중소기업 20%로 상향 조정하고, 둘째, 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해 간접적으로 투자한 금액도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 번째로 영상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지출된 제작비용에 대해 수익이 발생하기 이전에라도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영상콘텐츠 제작 투자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손실 금액의 일부에 대해 부분적으로 손실을 세액공제를 통해 보존해 주는 ‘부분 손실보전 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7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Female Figures in Chinese Animation Based on Laura Mulvey"s Gaze Theory : Focusing on 〈Green Snake〉 从穆尔维凝视理论看中国动画中的女性形象——以《青蛇》为中心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9-30 DOI: 10.51467/asko.2023.09.19.3.239
YU AN, Chang-Wan Han
{"title":"Female Figures in Chinese Animation Based on Laura Mulvey\"s Gaze Theory : Focusing on 〈Green Snake〉","authors":"YU AN, Chang-Wan Han","doi":"10.51467/asko.2023.09.19.3.239","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239","url":null,"abstract":"중국 여성의 성장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백사2: 청사의 시련〉은 2021년 개봉해 여성이 새로운 서사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그동안 여성이 종속적인 이미지로 등장했던 한계를 돌파했다. 그러나 여전히 남성의 시선으로 응시한 여성 이미지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여성이 강하고 남성이 약해 보이는 ‘여강남약(女强男弱)’의 서사 모델에도 여전히 가부장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한 시각적 쾌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BR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백사2: 청사의 시련〉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로라 멀비의 응시 이론을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시각적 쾌락의 발생 메커니즘 관점에서 〈백사2: 청사의 시련〉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분석했다. 이에 관음증의 여성 이미지가 타자에 종속되는 기호화 과정에 대해 고찰하면서 동시에 잠재적인 가부장적 매커니즘, 숨겨진 남성 주체의 서사, 여성이 남성으로 성전환되는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여 여성을 주제로한 서사 속 남성의 거세 불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남성 감독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 이미지에 대한 부정확한 표현을 고찰함으로써 남성의 가부장적 질서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에 대해 논증했다. 그리고 중국 여성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속 여성 이미지가 여전히 남성의 발언권과 권력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비판적인 관점에서 〈백사2: 청사의 시련〉 속 남성 중심의 질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잘못된 표현을 탐구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계점을 해소함으로써 여성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가 진정한 의미로 남성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179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alysis of kids content operation strategy of OTT platform : Focusing on the VRIO model of resource-based theory OTT平台儿童内容运营策略分析:以资源基础理论的VRIO模式为重点
Ae'ni'meisyeon yeon'gu Pub Date : 2023-03-31 DOI: 10.51467/asko.2023.03.19.1.58
So-Yeon Bae
{"title":"Analysis of kids content operation strategy of OTT platform : Focusing on the VRIO model of resource-based theory","authors":"So-Yeon Bae","doi":"10.51467/asko.2023.03.19.1.58","DOIUrl":"https://doi.org/10.51467/asko.2023.03.19.1.58","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4개 OTT 플랫폼의 키즈 콘텐츠 운영 전략을 자원준거 이론 VRIO 모델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각 플랫폼이 어떠한 전략을 취하는지 파악하고, 향후 핵심 소비 대상이 되는 어린이 사용자와 부모 소비자들을 어떻게 확보해 나갈지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키즈 콘텐츠 독점 확보 및 플랫폼 운영에 있어 차별화된 전략을 제공하는 네 개의 OTT 플랫폼으로는 해외 플랫폼에서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를, 국내 플랫폼에서 티빙과 쿠팡 플레이를 선별하여 비교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치, 희소성, 모방 불가능성, 조직화 측면에서 네 플랫폼이 운영하는 전략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핵심 운영 방향을 도출한다. 더하여 현재까지 어린이 이용자를 독점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플랫폼이 없다는 점에서 지속해서 전략적인 키즈 콘텐츠 확보 및 서비스 구축, 사업화를 통해 이용자를 확보 및 유지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operation strategies of kids content of the four OTT platforms serviced in South Korea through the resource-based theory VRIO model, identifies which strategy each platform adopts, and identifies Kids users and Parent consumers, who will be key consumption targets in the future. We want to come up with a strategy on how to secure them. Four OTT platforms that provide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securing exclusive kids content and operating kids content are compared and analyzed by selecting Netflix and Disney Plus on overseas platforms and Tving and Coupang Play on domestic platforms. Through this study, we compared the strategies of the four platforms in terms of Value, Rareness, Inimitability, and Organization, and derived key operating directions. Additionally, the absence of a platform that exclusively occupies kids users suggests the need to continually secure strategic kids\" content, develop services, and commercialize them to attract and retain users.","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89738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