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Female Figures in Chinese Animation Based on Laura Mulvey\"s Gaze Theory : Focusing on 〈Green Snake〉","authors":"YU AN, Chang-Wan Han","doi":"10.51467/asko.2023.09.19.3.239","DOIUrl":null,"url":null,"abstract":"중국 여성의 성장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백사2: 청사의 시련〉은 2021년 개봉해 여성이 새로운 서사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그동안 여성이 종속적인 이미지로 등장했던 한계를 돌파했다. 그러나 여전히 남성의 시선으로 응시한 여성 이미지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여성이 강하고 남성이 약해 보이는 ‘여강남약(女强男弱)’의 서사 모델에도 여전히 가부장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한 시각적 쾌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BR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백사2: 청사의 시련〉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로라 멀비의 응시 이론을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시각적 쾌락의 발생 메커니즘 관점에서 〈백사2: 청사의 시련〉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분석했다. 이에 관음증의 여성 이미지가 타자에 종속되는 기호화 과정에 대해 고찰하면서 동시에 잠재적인 가부장적 매커니즘, 숨겨진 남성 주체의 서사, 여성이 남성으로 성전환되는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여 여성을 주제로한 서사 속 남성의 거세 불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남성 감독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 이미지에 대한 부정확한 표현을 고찰함으로써 남성의 가부장적 질서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에 대해 논증했다. 그리고 중국 여성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속 여성 이미지가 여전히 남성의 발언권과 권력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비판적인 관점에서 〈백사2: 청사의 시련〉 속 남성 중심의 질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잘못된 표현을 탐구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계점을 해소함으로써 여성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가 진정한 의미로 남성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e'ni'meisyeon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23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중국 여성의 성장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백사2: 청사의 시련〉은 2021년 개봉해 여성이 새로운 서사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그동안 여성이 종속적인 이미지로 등장했던 한계를 돌파했다. 그러나 여전히 남성의 시선으로 응시한 여성 이미지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여성이 강하고 남성이 약해 보이는 ‘여강남약(女强男弱)’의 서사 모델에도 여전히 가부장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한 시각적 쾌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BR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백사2: 청사의 시련〉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로라 멀비의 응시 이론을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시각적 쾌락의 발생 메커니즘 관점에서 〈백사2: 청사의 시련〉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분석했다. 이에 관음증의 여성 이미지가 타자에 종속되는 기호화 과정에 대해 고찰하면서 동시에 잠재적인 가부장적 매커니즘, 숨겨진 남성 주체의 서사, 여성이 남성으로 성전환되는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여 여성을 주제로한 서사 속 남성의 거세 불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남성 감독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 이미지에 대한 부정확한 표현을 고찰함으로써 남성의 가부장적 질서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에 대해 논증했다. 그리고 중국 여성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속 여성 이미지가 여전히 남성의 발언권과 권력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비판적인 관점에서 〈백사2: 청사의 시련〉 속 남성 중심의 질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잘못된 표현을 탐구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계점을 해소함으로써 여성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가 진정한 의미로 남성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