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Game Mechanisms in VR Movies on Emotional Cognition","authors":"Jiadong Shen, Yong-Soo Lee","doi":"10.51467/asko.2023.09.19.3.62","DOIUrl":null,"url":null,"abstract":"초기의 VR 영화는 일반적으로 360도 파노라마 영상 형식으로 구현되어 관객은 가상현실 안경이나 머리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통해 체험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VR 영화는 전통적인 영화 관람에 대한 시각과 각도의 확장으로 시청각 언어 측면에서 큰 변화가 없었으며 둘 다 수동적 관람이다. 상호작용성은 VR 영화 발전의 중요한 방향이며, 이는 VR 영화가 전통 영화와 본질적으로 차별화되는 특성이다.BRVR 영화는 상호작용, 게임 메커니즘 및 스토리를 결합하여 관객이 영화 내용의 발전과 결말에 더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시청자는 핸들, 터치 장치 또는 신체 동작을 통해 영화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가상 환경의 캐릭터와 상호작용하거나 줄거리에 참여할 수도 있다. 상호작용성과 스토리성이 결합된 이러한 VR 영화는 관객들에게 더욱 풍부하고 몰입감 있고 개성화된 영화 관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BR스토리에서 감정 인지는 사람들이 영화 줄거리를 인식하고 이해할 때 감정과 정서를 포함한 인지 과정을 말한다. 감정 인지를 통해 관객은 영화와 더 깊은 감정을 연결하고 풍부한 감정적 내용을 경험하며 영화 관람 체험의 질과 개인의 감정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BR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서사 과정에서 시청자가 감정 인지를 갖도록 유도하는 데 필요한 조건 및 그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또한 VR 영화에 게임 메커니즘을 추가한 후 게임 메커니즘의 네 가지 특성이 이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창작자의 관점에서 VR 영화와 게임 메커니즘을 결합한 창작에 참조할 아이디어와 방법론을 제공하고자 한다.BR게임에는 네 가지 메커니즘이 있는데, 창작자는 게임의 창작 방법과 특성을 VR 영화에 통합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사의 전송 과정을 실현하여 관객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영화 줄거리를 감지하고 이해하고 감정 인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VR 영화에서 게임 메커니즘의 사용은 서사의 전 과정을 관통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를 통해 감정 인지의 생성을 ‘현장 감각, 몰입감, 공감, 플로우(flow) 체험’의 네 가지 조건으로 요약했다. 창작자는 게임의 메커니즘을 이 네 가지 조건에 통합하여 각 조건에 능동성과 상호작용성을 증가시키고 더 나은 시청각 체험과 상호작용 방법을 제공하여 감정 인지의 생성을 보장할 수 있다.BR〈Crow: The Legend〉 사례 분석에 따르면 VR 영화에서 감정 인지의 발생은 ‘현장 감각, 몰입감, 공감, 플로우 체험","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17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e'ni'meisyeon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6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초기의 VR 영화는 일반적으로 360도 파노라마 영상 형식으로 구현되어 관객은 가상현실 안경이나 머리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통해 체험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VR 영화는 전통적인 영화 관람에 대한 시각과 각도의 확장으로 시청각 언어 측면에서 큰 변화가 없었으며 둘 다 수동적 관람이다. 상호작용성은 VR 영화 발전의 중요한 방향이며, 이는 VR 영화가 전통 영화와 본질적으로 차별화되는 특성이다.BRVR 영화는 상호작용, 게임 메커니즘 및 스토리를 결합하여 관객이 영화 내용의 발전과 결말에 더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시청자는 핸들, 터치 장치 또는 신체 동작을 통해 영화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가상 환경의 캐릭터와 상호작용하거나 줄거리에 참여할 수도 있다. 상호작용성과 스토리성이 결합된 이러한 VR 영화는 관객들에게 더욱 풍부하고 몰입감 있고 개성화된 영화 관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BR스토리에서 감정 인지는 사람들이 영화 줄거리를 인식하고 이해할 때 감정과 정서를 포함한 인지 과정을 말한다. 감정 인지를 통해 관객은 영화와 더 깊은 감정을 연결하고 풍부한 감정적 내용을 경험하며 영화 관람 체험의 질과 개인의 감정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BR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서사 과정에서 시청자가 감정 인지를 갖도록 유도하는 데 필요한 조건 및 그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또한 VR 영화에 게임 메커니즘을 추가한 후 게임 메커니즘의 네 가지 특성이 이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창작자의 관점에서 VR 영화와 게임 메커니즘을 결합한 창작에 참조할 아이디어와 방법론을 제공하고자 한다.BR게임에는 네 가지 메커니즘이 있는데, 창작자는 게임의 창작 방법과 특성을 VR 영화에 통합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사의 전송 과정을 실현하여 관객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영화 줄거리를 감지하고 이해하고 감정 인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VR 영화에서 게임 메커니즘의 사용은 서사의 전 과정을 관통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를 통해 감정 인지의 생성을 ‘현장 감각, 몰입감, 공감, 플로우(flow) 체험’의 네 가지 조건으로 요약했다. 창작자는 게임의 메커니즘을 이 네 가지 조건에 통합하여 각 조건에 능동성과 상호작용성을 증가시키고 더 나은 시청각 체험과 상호작용 방법을 제공하여 감정 인지의 생성을 보장할 수 있다.BR〈Crow: The Legend〉 사례 분석에 따르면 VR 영화에서 감정 인지의 발생은 ‘현장 감각, 몰입감, 공감, 플로우 체험
早期的vr电影,一般以360度全景影像的形式体现,观众佩戴虚拟现实眼镜或头mounted display (head mount display,赞语)可以通过体验,这些vr电影的传统视角和角度对观看电影的扩张,从视听语言方面没有发生太大变化,两人都是被动的观看。互动性是VR电影发展的重要方向,这是VR电影与传统电影本质上的区别。BRVR电影结合了相互作用、游戏机制及故事情节,使观众能够更多地参与电影内容的发展和结局。观众可以通过方向盘、触摸装置或身体动作与电影相互作用,也可以与虚拟环境中的人物相互作用或参与故事情节。这种互动性和故事性相结合的VR电影可以为观众提供更加丰富,投入感和个性化的电影观看体验。BR故事中的感情认知是指人们在认识和理解电影情节时,包括感情和情绪的认知过程。通过感情认知,观众可以将与电影的感情联系起来,体验丰富的感情内容,并谋求观看电影的体验质量和个人感情上的成长。BR本论文的研究问题是探索在叙事过程中诱导观众产生感情认知所必需的条件及他们之间的相互关系。在VR电影中加入游戏机制后,分析游戏机制的4个特性对这一过程产生什么影响。本论文将从创作者的观点出发,为结合VR电影和游戏机制的创作提供借鉴的创意和方法论。BR游戏有四种机制,创作者可以将游戏的创作方法和特性整合到VR电影中,通过多种方法实现叙事的传送过程,使观众在相互作用的过程中感知、理解电影情节,并产生感情认知。VR电影中游戏机制的使用贯穿了叙事的全过程。本论文通过研究将感情认知的生成概括为“现场感觉、投入感、共鸣、flow体验”四个条件。创作者可以将游戏机制整合到这四个条件中,增加各条件的能动性和相互作用,提供更好的视听体验和相互作用方法,保障感情认知的生成。根据BR < Crow: The Legend >的事例分析,VR电影中感情认知的发生是“现场感觉、投入感、共鸣、体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