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arrative Features of Yuri Norstein"s Work, Centered on the Communication of Themes through Poetic Images

Seouck-ki Yun
{"title":"A Study on The Narrative Features of Yuri Norstein\"s Work, Centered on the Communication of Themes through Poetic Images","authors":"Seouck-ki Yun","doi":"10.51467/asko.2023.09.19.3.169","DOIUrl":null,"url":null,"abstract":"러시아를 대표하는 애니메이터로서 러시아형 애니메이션 장르를 확립한 인물인 유리 놀슈테인의 대표적인 작품을 바탕으로 주제 전달 중심의 작품 속 서사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BR작가는 제작 방식으로 컷-아웃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였는데, 컷-아웃 애니메이션이 갖는 한계인 2차원적 평면성과 부자연스러운 캐릭터의 움직임을 멀티플레인 애니메이션 촬영 시스템을 특수 제작하여 극복하고자 하였다.BR그의 작품 〈이야기 속의 이야기〉(1979)의 쇼트는 비서사적 연결을 통해 쇼트가 단순화 및 파편화되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의 의미 전달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이는 현대 영화의 파편화 경향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뱅상 아미엘의 ‘몽타주의 미학’에서 소개된 서사, 담론, 대응 몽타주의 세 가지 유형에서 이미지 내면에서 어떤 새로운 울림을 생산하는 대응 몽타주를 의미하며, 활용된 작품은 작가주의적이거나 시각 영상적인 작품으로 평하는데, 유리 놀슈테인의 작품 〈이야기 속의 이야기〉(1979)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속에서의 서사 특성은 파편화된 쇼트로 구성되어 대응 몽타주를 통한 주제 의식 전달 확장과 시적 몽타주 영상을 통한 반복의 결과로 나타나는 특이성의 차이에 대한 심미적, 철학적 의미를 묘화로 표현된 회화적인 이미지에 보이지 않는 내면화 의식도 같이 포함한다. 또한 그의 서사성은 은유와 환유의 상징적 영상을 근간으로 서사 속의 비서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주제 의식 및 새로운 인식의 차원에 대한 확장을 강조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e'ni'meisyeon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16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러시아를 대표하는 애니메이터로서 러시아형 애니메이션 장르를 확립한 인물인 유리 놀슈테인의 대표적인 작품을 바탕으로 주제 전달 중심의 작품 속 서사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BR작가는 제작 방식으로 컷-아웃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였는데, 컷-아웃 애니메이션이 갖는 한계인 2차원적 평면성과 부자연스러운 캐릭터의 움직임을 멀티플레인 애니메이션 촬영 시스템을 특수 제작하여 극복하고자 하였다.BR그의 작품 〈이야기 속의 이야기〉(1979)의 쇼트는 비서사적 연결을 통해 쇼트가 단순화 및 파편화되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의 의미 전달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이는 현대 영화의 파편화 경향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뱅상 아미엘의 ‘몽타주의 미학’에서 소개된 서사, 담론, 대응 몽타주의 세 가지 유형에서 이미지 내면에서 어떤 새로운 울림을 생산하는 대응 몽타주를 의미하며, 활용된 작품은 작가주의적이거나 시각 영상적인 작품으로 평하는데, 유리 놀슈테인의 작품 〈이야기 속의 이야기〉(1979)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속에서의 서사 특성은 파편화된 쇼트로 구성되어 대응 몽타주를 통한 주제 의식 전달 확장과 시적 몽타주 영상을 통한 반복의 결과로 나타나는 특이성의 차이에 대한 심미적, 철학적 의미를 묘화로 표현된 회화적인 이미지에 보이지 않는 내면화 의식도 같이 포함한다. 또한 그의 서사성은 은유와 환유의 상징적 영상을 근간으로 서사 속의 비서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주제 의식 및 새로운 인식의 차원에 대한 확장을 강조한다.
尤里·诺斯坦作品的叙事特征研究——以诗意意象的主题传达为中心
作为代表俄罗斯的动画师,确立了俄罗斯型动画片类型的人物尤里·诺尔斯泰因的代表性作品为基础,想了解一下以主题传达为中心的作品中的叙事特性。BR作家以制作方式使用了cut - out动画片,想要通过特殊制作多动画拍摄系统来克服cut - out动画片所具有的局限性——二维平面性和不自然的人物动作。BR他的作品《故事中的故事》(1979)的短节目通过秘书史的连接,使短节目简单化和碎片化,扩大了想要传达的主题的意义,这体现了现代电影的碎片化倾向。这뱅상阿米尔的《蒙太奇的美学》中介绍的叙事蒙太奇,谈论,对应三种类型在形象,内心却生产某种新的共鸣应对意义,利用蒙太奇的作品是作家主义或公平,有利于为视觉影像的作品玩施泰人的作品《故事中的故事》(1979)可以将成为最具代表性的例子。因此,他的作品中的叙事特点是碎片化的短组成应对通过蒙太奇的主题意识传达扩张和诗意剪辑视频,通过反复的结果出现的特异诚意对审美差异,表现为画家绘画的哲学意义的形象就不见内在化也一起包括意识。另外,他的叙事性以隐喻和换喻的象征性影像为基础,以叙事中的秘书史特性为基础,强调对人类的主题意识及新认识层次的扩张。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