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ourism preparedness on the evaluation of a destination: Focusing on tourists in Muju","authors":"Gang-Hee Gwak","doi":"10.21298/ijthr.2023.9.37.7.95","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9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무주관광객의 방문행동 및 무주군이 제공하는 관광수용태세에 대한 만족도가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더불어 당일관광객과 숙박관광객의 비교를 통해 마케팅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해서는 적절한 모형설정이 요구되는데 다양한 형태의 독립변수의 투입이 허용되는 프로빗 모형(pr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독립변수의 구성에 있어서, 관광수용태세를 변수화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먹거리, 편의성, 자원성 등 3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무주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자료 수집은 2021년 7월 한 달 동안 태권도원, 와인동굴, 무주향교 등 무주의 주요 목적지에서 수행되었다. 총 250를 배포하고 결측치가 없는 231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활용되었다. 프로빗 모형의 추정결과, 당일관광객과 숙박관광객 간의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설명변수의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이를 확정하는 과정으로 우도비율검증을 통해 증명하였다. 두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논의될 수 있는 시사점은 먼저, 여성은 숙박여행보다는 당일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과 모바일 정보채널의 활용은 아무래도 당일여행객들보다 숙박여행객들이 선호하고 있었다. 관광수용태세에 있어서, 당일여행객들은 먹거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숙박여행객들은 무주의 보유자원에 보다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9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attitude-behavioral intention (VAB) system for visitors to complex cultural spaces: Focusing on visitors to the Asia Culture Center","authors":"Ji-Heun Kim","doi":"10.21298/ijthr.2023.9.37.7.49","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49","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복합문화공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Homer and Kahle (1988)이 제안한 VAB(가치, 태도, 행동)의 모델을 적용하였다. 방문객이 문화공간에서 경험한 지각된 가치는 태도를 형성하게 하고, 형성된 태도는 궁극적인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착안하여 가치요소를 다차원적 가치 (기능적, 감정적, 사회적)를 측정도구로 태도 및 행동의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기능적 가치와 태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 결과, 기능적 가치 요인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가치 요인과 태도와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 결과, 감정적 가치 요인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가치 요인과 태도와의 영향관계 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 요인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태도 요인과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결과, 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결론에 논의되었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9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meta cogni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authors":"Jung-Ha Park","doi":"10.21298/ijthr.2023.9.37.7.159","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15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간의 구조 관계 연구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2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이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간에 관계를 분석하였다. 제시된 연구모형에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메타인지(조절, 점검)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메타인지의 계획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자기효능감은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 되었다. 이에 따라 이론적 시사점은 메타인지가 대학생들의 학습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신의 학습과정을 조절하며 자신의 학습에 대해 점검하는 활동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메타인지 요인의 계획은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며, 통제할 수 있는 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활의 환경에서 셀프리더십의 역량을 갖춘 인재가 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에서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메타인지의 조절과 점검하는 활동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자기효능감은 셀프리더십을 향상시켜 사회에 진출하여 스스로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64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tudying continued intention to use SNS tourism informa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personality","authors":"Seung-Haeng Cho","doi":"10.21298/ijthr.2023.9.37.7.65","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6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델을 토대로 SNS관광정보를 이용하는 잠재관광자 측면에서 개인의 성격유형이 SNS 관광정보의 지속사용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측정 항목은 기술수용모델(TAM)의 4개 개념 12문항과 성격유형요인 10문항의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설문 4문항을 포함하여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257개의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들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그리고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태도 간에 개방성 성격유형은 유의한 부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 간에 개방성 성격유형은 유의한 정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은 부분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것에 개방적이고, 도전적이며, 창의적이고, 새로운 상상하는 것을 좋아하는 개방적 성격 유형을 가진 관광자에게는 쉽고 단순하게 비쳐지는 것에는 덜 흥미롭기 때문으로 풀이해 볼 수 있다. 둘째, 유용할수록 개방적성격유형이 긍정적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한계는 성격유형의 실증 조사에 사용했지만, 향후 다른 유형의 성격검사를 통해 SNS관광정보 경험 고객의 지속이용의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의미 있는 시사점이 도출되리라 기대된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8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mediator of attractiveness and loyalty at world heritage tourism sites: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tourists in Guangdong Province, China","authors":"Yi-Dan Piao, Yi-Hua Piao","doi":"10.21298/ijthr.2023.9.37.7.5","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5","url":null,"abstract":"기존의 연구들은 국내외 대학생의 관광 동기 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행동 특성 등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관광 전・중・후 대학생의 행동 반응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 종속변인, 매개변인을 각각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세계문화유산을 방문한 적이 있는 광동성 광주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947명의 유효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구체적인 분석 결과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문화유산 관광 목적지 매력이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장소 애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 2, 3이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와 장소 애착이 모두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4, 5, 6이 채택되었다. 셋째, 관광 목적지 매력과 충성도 간에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관광 목적지 매력이 지각된 품질을 통해 충성도에 대해 유의미한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매개 가설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8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ultural ecosystem services contribution on tourism in Anatolia: a review","authors":"Betül Tülek","doi":"10.1080/13032917.2023.2264307","DOIUrl":"https://doi.org/10.1080/13032917.2023.2264307","url":null,"abstract":"ABSTRACTCultural ecosystem services (CES), which includes many components regarding humans, and is defined as benefits and services that ecosystems provide to humanity. Tourism experiences provide a unique opportunity for people and tourism interactions influence human well-being. This study evaluates CES studies made for Anatolia between 2017–2022. This review study sought answers to four questions: (i) What is the number and content of CES studies? (ii) What are the methodological studies, on which occupational disciplines they focus? (iii) Are the CES studies for the Anatolia sufficient for tourism management? (iv) What are the gaps, benefits and deficiencies in CES and in Anatolia tourism? The results are expected to shed light on future studies regarding the CES and tourism for Anatolia.KEYWORDS: Ecosystem servicescultural ecosystem servicesrecreationtourismAnatolia Disclosure statement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was reported by the author(s).Data availability statementData has been obtained from Dergipark, TUBİTAK Ulakbim database and Scopus®.Additional informationNotes on contributorsBetül TülekBetül Tülek holds a PhD i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e Çankırı Karatekin University, Turkey. She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Çankırı Karatekin University. She develops her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landscape design, landscape planning, ecosystem services, cultural ecosystem services, cultural heritage. She has several publications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ORCID: 0000-0002-6584-041X).","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8027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oyalty i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ervice industry employees","authors":"Jeong-O Kim","doi":"10.21298/ijthr.2023.9.37.7.117","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117","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에서 종사원들의 이직 의도를 낮게 하는 방안을 찾고자 다양한 변수를 이용하여 설문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진행하였다. 기업에서 이직 의도를 낮게 한다면 그 기업은 인적자원에 대한 강한 힘을 갖게 되고 인력 개발에 투여되는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직에 대한 신뢰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조직 충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2023년 4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 온라인을 통해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지 총 227부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215개의 설문지를 SPSS 20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했다. 연구 결과 조직 신뢰는 이직 의도를 낮게 하고 조직 신뢰와 이직 의도 사이에서 조직 충성도는 확실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직문화에서 조직 신뢰와 조직 충성도를 높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4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institution selection and market segmentation of students in the credit bank system: A case study of tourism management majors in the offline credit bank system","authors":"Seung-gil Lee","doi":"10.21298/ijthr.2023.9.37.7.147","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147","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이 학습기관을 선택하는 선택속성을 요인분석하고 어떠한 군집으로 세분화하며 세분화된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정하는데 있다.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전공은 관광경영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학습기관의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은 ‘편리성 및 학습체계’, ‘학위취득의 용이성 ’, ‘교수진 및 강의 질’, ‘수강료 및 주변의 추천’ 그리고 ‘지명도 및 부가 혜택’으로 분석되었다. 요인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진행한 결과 군집은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1은 학습기관의 선택에 있어 소극적인 그룹, 군집2는 학습기관 수강료와 주변의 추천에 영향을 받는 그룹, 그리고 군집 3은 학습기관을 선택하는데 매우 적극적인 그룹으로 분류되어 각각의 그룹을 ‘소극적 집단’, ‘수강료 및 주변 추천 추구집단’, ‘다목적 추구집단’으로 군집명을 정하였다. 또한 분류된 세 가지의 군집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수를 추정하기 위해 다항선택모형(MNL)을 적용한 결과, 각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결혼 유무, 교육 수준, 연령, 직업, 소득수준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9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f the perception of price on Jeju food tourism: A usage of semantic network analysis","authors":"Munhyang(Moon) Oh, Jungmo Seo","doi":"10.21298/ijthr.2023.9.37.7.173","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17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제주 음식관광 가격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불만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에서 제주 음식점에 대한 온라인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52개 음식점에 대한 1,031개 리뷰 중 가격에 대한 언급이 있는 178개(18.3%) 리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인 와키타-쯔루미 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가격에 대한 언급이 있는 리뷰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였고 주요 군집 6가지를 도출하여 제주 음식관광 가격에 대한 인식, 불만 원인, 해결책 모색을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 음식관광 가격에 대한 인식과 불만의 원인을 군집화하여 6개 군집을 도출하였는데, 군집 1은 비싼 값을 매기는 흑돼지에 대한 불만, 군집 2는 낮은 서비스 품질과 비싼 음식, 군집 3은 유명세에 걸맞지 않은 맛과 바가지 가격, 군집 4는 낮은 가치(가격 대비 품질), 군집 5는 높은 가치(가격 대비 품질), 군집 6은 만족스럽지만 비싼 가격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 음식관광의 인식 개선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제주 음식관광의 관리와 발전에 기여하며, 관광산업 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정보와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8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The effect of place brand complexity on place identification: Focusing on the residen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authors":"Seung-Hoon Han","doi":"10.21298/ijthr.2023.9.37.7.105","DOIUrl":"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105","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여러 지역에서 장소 브랜딩을 통해 지역주민의 애착을 더욱 강화하는 유용한 방향과 관련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이다. 이러한 목적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장소 브랜딩을 계획할 때 복잡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며, 그 결과로서 지역주민은 자신의 지역과 자기가 마치 하나가 된 듯한 정체성을 갖게 된다는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장소 브랜드 복잡성, 적합성, 최적의 구별성, 매력성, 그리고 장소 정체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민이며, 2019년 8월 한 달의 기간 동안 수집한 총 31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빈도, 신뢰도, 상관관계, 확인적 요인,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장소 브랜드 복잡성은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소 브랜드 복잡성은 최적의 구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소 브랜드 복잡성은 매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적의 구별성은 장소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적합성과 매력성은 장소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소 브랜드 복잡성과 장소 정체성 간의 제한적 관계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규명할 수 있었으며, 지역의 특색 있고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장소 브랜드 복잡성과 최적의 구별성을 확립하는 것이 장소 정체성 강화에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12681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