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最新文献

筛选
英文 中文
Effects of Substrate Sizes and Organic Contents on Larval Settlement and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the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 基质大小和有机物含量对多毛藻早期幼虫沉降和生长的影响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132
War War Phoo, Sung-kyun Kim, Chang-hoon Kim
{"title":"Effects of Substrate Sizes and Organic Contents on Larval Settlement and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the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authors":"War War Phoo, Sung-kyun Kim, Chang-hoon Kim","doi":"10.5657/KFAS.2020.0132","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32","url":null,"abstract":"갯벌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중 갯지렁이는 종수와 서식밀도 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9,000종 이상 의 종이 알려지고 있다(Rouse and Pleijei, 2001). 해양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유기물 섭식과 분해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Rhoads, 1973)할 뿐 만 아니라,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가 치를 가지는 갯지렁이는 주로 어류 및 갑각류의 먹이원 및 낚 시용 미끼로써 전 세계의 연안국에서 이용되어져왔다(Byrd, 1996). 주요 생산국은 중국과 유럽이고, 소비 시장이 아시아, 남미,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널리 형성되어 있어서(Olive, 1994; Watson et al., 2016), 상업적인 잠재력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Olive, 1999). 또한 유럽에서는 이미 이들 자원의 효 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여 양식 기술개발에 점 차 지원을 늘리고 있다(Wat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300여종의 갯지렁이 중 낚시용 미끼로 써 많이 이용되고 있는 종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 청충),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본 충),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 석충), 넓적발참갯지 렁이(Nectoneanthes oxypoda, 황금충) 등의 대형종이다(Paik, 1989). 그러나 1980년대 이후부터 자원의 회복력을 무시한 남 획으로 생산량은 줄어드는 대신, 수입량은 2002년 이후 점차 증 가하고 있다(KCS, 2015). 따라서 갯지렁이 자원 확보 및 어민 소득증대(현재 유통가격, 8-10만원)를 위해 양식기술개발이 무 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종묘생산과 양성기술 분야에서 바위 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등을 연 구하였으나, 바위털갯지렁이를 제외한 갯지렁이는 경제성 부 족으로 양식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바 위털갯지렁이는 퇴적물 속에 서식굴을 파고 생활하므로 사육시 퇴적물이 필요하며, 서식공으로부터 몸체를 완전히 노출시키 지 않고 대부분 서식 기질의 보호 아래 먹이활동 및 배변활동 등 을 한다(Kang at al., 2000). 또한 갯지렁이류는 초기 생활사 과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 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8 1","pages":"132-138"},"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07891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Maturation and Spawning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Near Jeju Island, Korea 韩国济州岛附近日本大头带鱼的成熟和产卵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001
H. Kim, Jeong-Ho Park, D. Kwon, Yeonghye Kim
{"title":"Maturation and Spawning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Near Jeju Island, Korea","authors":"H. Kim, Jeong-Ho Park, D. Kwon, Yeonghye Kim","doi":"10.5657/KFAS.2020.0001","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001","url":null,"abstract":"갈치류(Trichiurus spp.)는 전세계 온대와 열대해역에서 모두 분포하며(Fishbase, 2019), 형태적으로는 비슷하나 DNA 차이 가 있어 나라마다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 는 갈치도 Trichiurus lepturus로 동정하였지만, 미토콘드리아 DNA 중 COI 영역을 분석한 결과 T. japonicus로 확인되었다 (Lee and Kim, 2014). 갈치류의 전세계 총 어획량은 2016년에 1,280,214톤으로 집 계되었다(FAO, 2019).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갈치(Trichiurus japonicus)는 가장 중요한 상업어종 중 하나이며, 어장은 대 부분 남해안과 제주도 해역이다(NIFS, 2013). 국내 어획량은 1980년대에 평균 12만 4천톤이였지만, 최근 5년동안의 평균 어 획량은 4만 4천톤(KOSIS 2019)으로 감소되는 추세이다. 어류의 성숙과 산란은 어류 생활사에서 가장 중요하며, 자원 량과 환경변화에 따라 산란생태에 대한 정보는 변화하게 된다 (Taylor and Cruz, 2017). 특히, 가치가 높은 상업어종은 매년 자원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현 시점에서 명확한 연구결과를 얻어야 한다. 산란생태에 대한 결과는 현재 설정된 포획금지체장과 포획금지기간 같은 자원 관리를 설정하고 보완 여부가 있는지 등을 판단하는 근거자료 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새로운 어업규제방법을 제시할 수 도 있다. 과도한 어획의 징후 중 하나는 밀도-의존 법칙에 따라 개체 군 유지하기 위해 50% 성숙항문장이 낮아지는 것이다(Zhang, 2010). 자원량을 고려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50% 성 숙항문장을 기준으로 포획금지체장을 설정하는 것은 자원량 회 복 및 유지되는 결과를 얻기 힘들다. 따라서, 고강도의 어업규제 가 필요한 수산자원의 경우, 자원량 감소 정도에 따라 어미 개 체수 및 산란 횟수 등을 고려하여 포획금지체장을 설정해야 하 며, 기준이 되는 성숙항문장을 50%, 75%, 97.5%의 성숙체장 으로 고려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각각의 성숙항문장을 제시 하였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갈치 생활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 과, 갈치는 4월부터 10월까지 긴 산란기를 가지며, 산란장은 남 해 연안과 서해 남부해역으로 알려져 있다(Kwok and Ni, 1999; 한국 제주도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갈치(Trichiurus japonicus)의 산란 생태","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3 1","pages":"1-8"},"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3411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for Larvae and Juveniles of Deepwater Dragonet Bathycallionymus kaianus (Callionymidae, PISCES) from Korea 韩国深水龙科深海龙(Bathycallionymus kaianus)幼虫和幼鱼的分子鉴定和形态描述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074
Jin-Seok Kim, Jin-Koo Kim, Jeong-Ho Park, Hwan-Sung Ji, Hae-Won Lee
{"title":"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for Larvae and Juveniles of Deepwater Dragonet Bathycallionymus kaianus (Callionymidae, PISCES) from Korea","authors":"Jin-Seok Kim, Jin-Koo Kim, Jeong-Ho Park, Hwan-Sung Ji, Hae-Won Lee","doi":"10.5657/KFAS.2020.007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074","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8 1","pages":"74-8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48766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Evaluation of Cosmeceutical Properties of Fish Skin by-product Hydrolysates Collected During Surimi Manufacturing Process 鱼糜生产过程中鱼皮副产物水解物药妆性能的评价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297
Jae-Young Oh, Hyo-Geun Lee, Jun-Geon Je, Lei Wang, Hyun-Soo Kim, Y. Jeon
{"title":"Evaluation of Cosmeceutical Properties of Fish Skin by-product Hydrolysates Collected During Surimi Manufacturing Process","authors":"Jae-Young Oh, Hyo-Geun Lee, Jun-Geon Je, Lei Wang, Hyun-Soo Kim, Y. Jeon","doi":"10.5657/KFAS.2020.0297","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297","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6 1","pages":"297-30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0507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Molecular Bi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of Imported Groupers(Epinephelus moara ♀×E. lanceolatus ♂) 进口石斑鱼(Epinephelus moara♀)的分子生物学物种鉴定×E。飞刀♂)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566
Yong Hwi Kim, Jong-Yeon Park, Jae Hoon Kim, I. Bang
{"title":"Molecular Bi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of Imported Groupers(Epinephelus moara ♀×E. lanceolatus ♂)","authors":"Yong Hwi Kim, Jong-Yeon Park, Jae Hoon Kim, I. Bang","doi":"10.5657/KFAS.2020.056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566","url":null,"abstract":"바리과(family Serranidae) 어류는 전 세계에 5아과 73속 522 종이 분포하고 있다(Eschmeyer et al., 2010; Myoung et al., 2013). 주요 분포지역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암초 및 산호초 지 대로 알려져 있으며(Kim et al., 2014, Tahir et al., 2018), 그동안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12종의 우레기속(Genus Epinephelus) 어 류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Kim et al., 2005), 최근 제주도 연안 및 마라도 부근에서 대문바리(E. areolatus), 대왕바리(E. lanceolatus), 마라바리(E. radiatus) 등이 추가로 확인되어 현재까지 약 15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Kim and Song, 2010; Myoung et al., 2013; Han et al., 2014). 또한, 바리과 어류의 전 세계 양식생산량은 최근 2017년 을 기준으로 183,989톤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2010년 의 양식생산량 79,692톤과 비교하면 230%의 매우 가파른 증가 량을 기록하였다(FAO, 2017). 특히, 바리과 어류 중에서도 참 바리속 어종들은 먹거리로써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관상용으로 도 각광을 받고 있어, 수산자원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자바리(E. moara)를 비롯하여 붉바리(E. akaara), 대왕 바리(E. lanceolatus), 갈색점바리(E. fuscoguttatus), 갈색둥근 바리(E. coioides), 흉기흑점바리(E. malabaricus), 미끈다금바 리(E. tauvina), 내소바리(E. striatus) 등이 인공증식에 선전하 고 있다(Govindaraju and Jayasankar, 2004; Tian et al., 2017). 바리과 어류들은 양식 대상종으로서 빠른 성장속도, 광범위한 서식수온, 질병 내성 등의 이점을 얻기 위하여 자바리와 대왕바 리간의 잡종(E. moara×E. lanceolatus), 갈색점바리와 대왕바 리간의 잡종(E. fuscoguttatus×E. lanceolatus), 붉바리와 대왕 바리간의 잡종(E. akaara×E. lanceolatus), 갈색둥근바리와 대 수입산 바리과(Family Serranidae) 잡종 어류(Epinephelus moara ♀× E. lanceolatus ♂)의 분자생물학적 판별 김용휘·박종연·김재훈·방인철*","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3 1","pages":"566-571"},"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3464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Maturity and Spawning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韩国南海白花鱼的成熟和产卵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036
B. Jeon, J. Choi, Yang-Jae Im, Hae-Won Lee, Jae-Won Kim
{"title":"Maturity and Spawning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authors":"B. Jeon, J. Choi, Yang-Jae Im, Hae-Won Lee, Jae-Won Kim","doi":"10.5657/KFAS.2020.003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036","url":null,"abstract":"보구치는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동해 남 부와 서해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에서 인도, 태평양까 지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140 m의 모래와 개펄 지역의 저층 부에 서식한다. 형태는 몸과 머리는 측편되어 있고, 체고가 약 간 높은 방추형으로 등은 황갈색, 배는 은백색을 띄며 아가미 뚜껑에 크고 검은 반점이 1개 있다(NFRDI, 2004; Kim et al., 2005). 보구치는 주로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 쌍끌이대형기선 저인망, 연안복합, 근해자망 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며(NFRDI, 2010), 어획량은 1984년까지 증가하여 10,655톤까지 높은 수 준을 보이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3년에는 929톤 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KOSIS, 1996). 이후 다시 소폭의 증가 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2018년 2,700톤 정도의 여전히 낮은 수 준에 머무르고 있다. 보구치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보구 치에 대해서 연령과 성장, 지리적 변이에 따른 성장, 생식주기 및 성성숙에 관한 연구(Higuchi et al., 2003; Yamaguchi et al., 2004; Yamaguchi et al., 2006)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후기 자 어의 먹이 선택성 및 식성에 관한 연구(Cha and Park, 2001; Koh et al., 2014) 등이 있으며, 1999년 보구치의 자원생태학적 연구(Baik et al., 1999; Kwon et al., 1999; Kang et al., 1999; Zhang et al., 1999a; Zhang et al., 1999b) 및 한국 연근해 보구 치의 자원변동 예측(Lee and Zhang, 2001)에 관한 일련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보구치 자원의 효율적인 이 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구치의 재생산에 관련된 산란생태를 파악 하기 위한 생식소 숙도의 월별 변화, 포란수, 성숙체장 등을 구 명하여, 과거의 연구 자료와 비교 검토하고, 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2 1","pages":"36-4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533242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Geochemical Indicators for the Recovery of Sediment Quality after the Abandonment of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ing in South Korea 韩国放弃牡蛎、长牡蛎养殖后沉积物质量恢复的地球化学指标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773
Boram Sim, Hyungchul Kim, Sungchan Kang, D. Lee, Sokjin Hong, Sang Heon Lee, Ye-Jung Kim
{"title":"Geochemical Indicators for the Recovery of Sediment Quality after the Abandonment of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ing in South Korea","authors":"Boram Sim, Hyungchul Kim, Sungchan Kang, D. Lee, Sokjin Hong, Sang Heon Lee, Ye-Jung Kim","doi":"10.5657/KFAS.2020.0773","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773","url":null,"abstract":"우리나라는 연안 해역에서 어류, 패류, 해조류 등 다양한 품종 을 양식하고 있으며, 특히 패각류(Bivalves) 생산량은 중국 다 음으로 높다(FAO, 2020). 전체 패류 양식생산량의 약 74%는 굴이며, 굴 양식생산량은 1990년에 약 20만톤에서 2019년 기 준 약 30만톤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MOF, 2020). 패류 양 식은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연안 해역을 중심으로 성행하고 있 으며, 2018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굴 생산량의 81%가 경상남 도에서 생산되고 있다(MOF, 2020). 경상남도의 경우 통영 및 거제시 관할 칠천도, 가조도, 원문만에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 고, 참굴과 피조개 양식생산량이 높으며(NFRDI, 2002), 특히 원문만은 수하식 패류양식이 가장 활발하다(Cho et al., 1982). 우리나라는 태풍, 파랑 등 외력으로부터 안정되고 접근성이 좋은 내만에서 밀집된 양식을 하고 있으며, 적절한 어장휴식 없 이 장기간 해수면(공유수면)을 이용해왔다. 어류양식장은 인위 적인 사료공급에 의해 미섭이된 사료와 어류의 배설물질 등이 퇴적층 바닥으로 침강하여 퇴적물 내 유기물의 축적률이 높다 굴(Crassostrea gigas)양식 중단 이후 퇴적물 질 회복에 관한 지화학적 지표 탐색","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31 1","pages":"773-783"},"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9765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Maturation of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in Waters of Southern Korea 韩国水域黑喉海参的成熟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103
H. Kim, D. Kwon, Jeong-Ho Park, Yeonghye Kim
{"title":"Maturation of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in Waters of Southern Korea","authors":"H. Kim, D. Kwon, Jeong-Ho Park, Yeonghye Kim","doi":"10.5657/KFAS.2020.0103","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03","url":null,"abstract":"눈볼대(Doederleinia berycoides)는 농어목(Perciformes) 반 딧불게르치과(Acropomatidae)에 속하는 어류로 약 40 cm까지 성장하며, 중, 대형외끌이 어업을 비롯한 기선저인망어업에 어 획되는 대표 어종으로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 중 하나이 다(Cha et al., 2010; Huh et al., 2011). 특히 한국, 일본 등지에서 수산 식품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며, 눈볼대의 생산량은 2004 년 처음으로 3,000 톤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후 2018년 까지의 추이를 살펴보면, 2006년 2,044톤으로 가장 적게 생산 되었고, 2018년에 3,949톤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KOSIS, 2019). 생산 금액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생산금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다(KOSIS, 2019). 2000년대 들어서 눈볼대를 비롯한 대부분의 자원량이 감소했 다고 알려져 있지만 눈볼대의 생산량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Choi et al., 2019). 수산 식품으로써 지속된 높은 선호도와 생 산량 증가 및 생산 금액 증가 양상으로 볼 때 눈볼대의 가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눈볼대의 높은 상업적 가치에 비해 이와 관련된 연구 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눈볼대에 대한 연구로는 분포 위치, 회유 경로 및 성장 양상에 관한 연구(Lee, 1965; Park, 1970), 연 령과 성장에 관한 연구(Kojima, 1976; Choi et al., 2012), 산란 기와 성숙생태에 관련한 연구(Cha et al., 2010), 주 먹이생물에 관한 연구(Oh, 2009; Huh et al., 2011), 자원학특성치(Choi et al., 2014)와 같은 연구가 일부 진행 되었지만,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신뢰도 높은 평가 지표를 위해 현재 생물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전 연구와의 산란기, 성숙도 등과 같 은 변동 사항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눈볼대 의 생식소숙도지수, 성숙도와 같은 변화하는 눈볼대 자원의 성 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9 1","pages":"103-106"},"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93206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Comparison of the Model-predicted and Measured Target Strength of Cuttlebones from Golden Cuttlefish Sepia esculenta 模型预测与实测值对金墨鱼靶骨强度的影响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209
Dae-jae Lee
{"title":"Comparison of the Model-predicted and Measured Target Strength of Cuttlebones from Golden Cuttlefish Sepia esculenta","authors":"Dae-jae Lee","doi":"10.5657/KFAS.2020.0209","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209","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1 1","pages":"209-21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7750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 of Low Salinity on Growth, Survival and Stress Response of Juvenile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E. polyphekadion) 低盐度对杂交石斑鱼幼鱼生长、存活及应激反应的影响fuscoguttatus×E。polyphekadion)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Pub Date : 2020-01-01 DOI: 10.5657/KFAS.2020.0499
I. Lee, J. Park, H. Lim
{"title":"Effect of Low Salinity on Growth, Survival and Stress Response of Juvenile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E. polyphekadion)","authors":"I. Lee, J. Park, H. Lim","doi":"10.5657/KFAS.2020.0499","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499","url":null,"abstract":"꼬리큰점바리(Epinephelus polyphekadion)는 열대 바리과 어종으로써 아프리카 동부와 홍해, 일본 남부, 동남아시아, 폴 리네시아, 호주대륙에 주로 서식하며, 태평양과 인도양의 넓은 열대 해역에 걸쳐 서식지가 분포되어 있다. 주로 조간대의 수 심 5-15 m, 연간 평균 수온 20-32°C 범위인 해양 저층의 암초나 산호초 및 해조류 덤불 사이에서 보호색을 띄며 생활한다(Lau and Parry-Jones, 1999). 이 어종은 식용으로 인기가 있어, 서식 지 주변국들의 어부들은 오랜 기간 낚시나 작살과 같은 재래식 어업방법으로 꼬리큰점바리를 어획해 왔다. 특히 독특한 체색 으로 인해 바리과 어류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에서 높은 기호성 을 갖고 있다. 세계 바리과 유통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홍 콩 시장에서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호주 등지로부 터 꼬리큰점바리가 수입되고 있다(Ahemad, 2015). 그러나 연 안의 오염과 해양 저층의 서식지 파괴, 그리고 남획으로 인해 꼬리큰점바리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 종 의 생태조사와 자원 보호 및 양식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가 오 래 전부터 이루어져 오고 있다(Sadovy et al., 2003). 꼬리큰점 바리는 시장에서 기호성이 높은 어종임에도 불구하고 성장 속 도가 느려 실제 양식 현장에서는 사육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 다. 그러므로 중동과 동남아시아 일대의 양식장에서는 꼬리큰 점바리 순종보다는 다른 종류의 바리과 어류와 교잡종을 만들 어 성장률과 생산성 향상을 꾀하여 왔다(James et al., 1998). 꼬 리큰점바리와 교잡 대상종들 중 갈색점바리(E. fuscoguttatus) 는 꼬리큰점바리와 서식지가 비슷하고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Haemestra and Randall, 1993), 바리과 어류의 양식장에서 교 잡 대상종으로 선호되는 종 중 하나이다. 특히 중국, 대만, 베트 저염분이 바리과 교잡종(Epinephelus fuscoguttatus×E. polyphekadion) 의 성장, 생존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일영·박중열·임한규*","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43 1","pages":"499-50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16699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相关产品
×
本文献相关产品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