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Jeon, J. Choi, Yang-Jae Im, Hae-Won Lee, Jae-Won Kim
{"title":"Maturity and Spawning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authors":"B. Jeon, J. Choi, Yang-Jae Im, Hae-Won Lee, Jae-Won Kim","doi":"10.5657/KFAS.2020.0036","DOIUrl":null,"url":null,"abstract":"보구치는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동해 남 부와 서해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에서 인도, 태평양까 지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140 m의 모래와 개펄 지역의 저층 부에 서식한다. 형태는 몸과 머리는 측편되어 있고, 체고가 약 간 높은 방추형으로 등은 황갈색, 배는 은백색을 띄며 아가미 뚜껑에 크고 검은 반점이 1개 있다(NFRDI, 2004; Kim et al., 2005). 보구치는 주로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 쌍끌이대형기선 저인망, 연안복합, 근해자망 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며(NFRDI, 2010), 어획량은 1984년까지 증가하여 10,655톤까지 높은 수 준을 보이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3년에는 929톤 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KOSIS, 1996). 이후 다시 소폭의 증가 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2018년 2,700톤 정도의 여전히 낮은 수 준에 머무르고 있다. 보구치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보구 치에 대해서 연령과 성장, 지리적 변이에 따른 성장, 생식주기 및 성성숙에 관한 연구(Higuchi et al., 2003; Yamaguchi et al., 2004; Yamaguchi et al., 2006)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후기 자 어의 먹이 선택성 및 식성에 관한 연구(Cha and Park, 2001; Koh et al., 2014) 등이 있으며, 1999년 보구치의 자원생태학적 연구(Baik et al., 1999; Kwon et al., 1999; Kang et al., 1999; Zhang et al., 1999a; Zhang et al., 1999b) 및 한국 연근해 보구 치의 자원변동 예측(Lee and Zhang, 2001)에 관한 일련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보구치 자원의 효율적인 이 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구치의 재생산에 관련된 산란생태를 파악 하기 위한 생식소 숙도의 월별 변화, 포란수, 성숙체장 등을 구 명하여, 과거의 연구 자료와 비교 검토하고, 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2 1","pages":"36-42"},"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3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보구치는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동해 남 부와 서해 및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에서 인도, 태평양까 지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140 m의 모래와 개펄 지역의 저층 부에 서식한다. 형태는 몸과 머리는 측편되어 있고, 체고가 약 간 높은 방추형으로 등은 황갈색, 배는 은백색을 띄며 아가미 뚜껑에 크고 검은 반점이 1개 있다(NFRDI, 2004; Kim et al., 2005). 보구치는 주로 외끌이대형기선저인망, 쌍끌이대형기선 저인망, 연안복합, 근해자망 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며(NFRDI, 2010), 어획량은 1984년까지 증가하여 10,655톤까지 높은 수 준을 보이다가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3년에는 929톤 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KOSIS, 1996). 이후 다시 소폭의 증가 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2018년 2,700톤 정도의 여전히 낮은 수 준에 머무르고 있다. 보구치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본 근해에 서식하는 보구 치에 대해서 연령과 성장, 지리적 변이에 따른 성장, 생식주기 및 성성숙에 관한 연구(Higuchi et al., 2003; Yamaguchi et al., 2004; Yamaguchi et al., 2006)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후기 자 어의 먹이 선택성 및 식성에 관한 연구(Cha and Park, 2001; Koh et al., 2014) 등이 있으며, 1999년 보구치의 자원생태학적 연구(Baik et al., 1999; Kwon et al., 1999; Kang et al., 1999; Zhang et al., 1999a; Zhang et al., 1999b) 및 한국 연근해 보구 치의 자원변동 예측(Lee and Zhang, 2001)에 관한 일련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보구치 자원의 효율적인 이 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구치의 재생산에 관련된 산란생태를 파악 하기 위한 생식소 숙도의 월별 변화, 포란수, 성숙체장 등을 구 명하여, 과거의 연구 자료와 비교 검토하고, 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普口鱼属于鲈鱼目民鱼科,广泛分布在韩国东海南部和包括西海及济州岛的南海、日本到印度、太平洋,栖息在水深20-140米的沙子和泥滩地区的低层。身体和头部侧侧,体高约为纺锤形,背部黄褐色,腹部银白色,鳃盖上有1个大黑斑(NFRDI, 2004;kim et al, 2005)。看着奇主要是外吸引大型轮船拖网,双拖网吸引大型轮船,延安被复合、刺网近海渔业捕捞,捕捞(nfrdi, 2010), 1984年,增加到10,655吨表现出较高的水平,此后开始减少,1993年929吨急剧减少(kosis, 1996)。之后又出现小幅增加和减少,2018年仍停留在2700吨左右的低水平。从宝口鱼的研究来看,对栖息在日本近海的宝口鱼,根据年龄和生长、地理变异的生长、生殖周期及性成熟的研究(Higuchi et al., 2003;yamaguchi et al ., 2004;Yamaguchi et al., 2006)等。Cha and Park, 2001;Koh et al., 2014年)等,1999年Baik et al., 1999年kwon et al ., 1999;kang et al ., 1999;张豫et al ., 1999a;Zhang et al., 1999b)和Lee and Zhang(2001)进行了一系列资源生物学研究。此后,为了有效利用和管理宝口资源,有必要进行周期性、持续性的研究。因此,本研究是看着有关价值的再生产的散射,为掌握生态生殖小肃的月度变化、炮란수,成熟体章责令等区,过去的研究资料和比较研究,资源的合理利用和管理方案为基础,提供有关的资料。